View : 1095 Download: 0

고등학생 집단의 성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 및 영향변인 검증

Title
고등학생 집단의 성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 및 영향변인 검증
Other Titles
Difference in career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uthors
김영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eliable basic framework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eenagers. It examines sex differences i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hich are known to be key elements of career choices.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have already been actively conducted. Yet, among many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related behavior,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gender of students at two different levels, individual and peer group levels. Previous studies tended to have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s an individual factor and one’s career behavior. However, if we bring gender into group level, gender can be seen as an environmental element, turning from once an unchangeable element given at birth into a changeable element, as individuals actively interact with others within a group, influencing each other. Moreover, being a changeable element also means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 and thus,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career education. This study differentiates peer groups’ sex using the type of high schools, co-educational and single-gender sch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chool provides major peer groups that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 addition to school peer group, this study also examines friend groups for closer investigation of group environ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s they tend to interact more frequently and powerfully with them, and influence each other. The gender of friends groups,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 group is same gender dominant or not.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9.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gender and residential areas. A total of 869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30.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self-efficacy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maturity. Yet, there were some elements that showed gap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mong sub-factors of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the type of school, that is, whether the school is co-educational or not, did not influenc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ird, the type of school had no impact on th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oth in male and female students groups. Fourth, the impact of career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not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Fifth, gender and the type of school did not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self- efficacy, but the gender of friend groups did. In addition, type of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self-efficac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gender of friends groups. Sixth, unlike the sex and type of school, gender of friend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maturity. The factors of gender and school typ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rough two-way interaction, and gender type of school, and the gender of friend group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rough three- way interaction. Additional factors - school grades, intention of going to university, influence of peer groups,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education, relevance of career education and desired career paths, level of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have been tested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ut they did not have meaningful impact o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t confirmed influence of gender of peer groups in career self-efficacy and gender of individual in career maturity. This suggests that gender needs to be seriously considered for making policies on career education. Lastly, analysis on level of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relevance of career education and desired career paths, level of participation on school activities, and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 life was conducted amongst types of high schools - normal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s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n career education than normal high schools. Higher level of relevance of career education and desired career paths was shown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compared to normal high school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for the rest of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career education in normal high schools is lacking and does 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calling for a need for better policies.;학생에 대한 진로교육은 지난 이십 여 년 간 매우 강조 된 정책 중 하나이다. 1990년대 말 경제 외환위기 이후 경제 및 사회의 변화는 교육정책과 행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진로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정책현장에서도 관심을 불러 모으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의 시기는 다양한 교육을 통해 자신의 소질을 계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를 시작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준비하는 것은 사회로의 진출을 앞둔 청소년에게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사회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학교에서의 교육은 청소년들의 진로와 관련된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보다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위한 학과공부에 관한 교육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선택을 위한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도 정책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선행연구들은 진로효능감이 부모의 영향, 교사의 영향, 진로집단 프로그램, 성별 등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는 성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또래집단의 성별이라는 성별의 사회적 성격에 집중한다. 성별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체로 남학생인 경우, 혹은 여학생인 경우로 구분하여 개인이 타고난 생물학적 성별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성별을 선천적인 생물학적 특징으로 고정 불변하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생물학적 성이 동일하더라도 개인이 속해 있는 집단의 성별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 간의 성 차이는 유전적, 신체적 선천적으로 결정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수많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는 시각으로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두 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또래집단의 성별만을 변인으로 채택하고, 또래집단의 성별을 학교 유형에 따라 남녀공학과 비공학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1. 또래집단의 성별 구성, 남녀공학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는 어떠한가? 1-2. 또래집단의 성별 구성이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가? 1-3. 또래집단의 성별 구성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비공학남녀공학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가?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학교유형을 일반고, 특성화고, 자사고 등으로 구분하여, 진로교육만족도,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 학교생활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2-1. 학교유형, 진로성숙도,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학교유형이 진로교육만족도 및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3. 학교유형이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4. 학교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베이를 실시해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응답 고등학생 869명 중 남성 46.3%(402명), 여성 53.7%(467명)이었고, 남녀공학 60.9%(529명) 비 남녀공학 39.1%(340명) 으로 비 남녀공학 학생 중 남자 고등학교 학생이 16.8%(146명), 여자 고등학교 학생이 22.3%(194명)이었다. 학년은 1학년 18.8%(163명), 2학년 32.7%(284명), 3학년 48.6%(422명)이었으며, 학교유형은 일반고 70.1%(609명), 특성화고·마이스터고 25.7%(223명), 자사고·외고·과학고·국제고·예고 4.3%(37명)이었다.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는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선택한 변인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성별, 남녀공학여부, 또래집단의 성별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원분산분석과 삼원분산분석을 실행하였고 학교유형을 특성화고, 일반고, 자사고로 구분하여 진로교육만족도,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 학교생활참여도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자기효능감은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진로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미래계획에서는 남학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진로성숙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각각 비교해 보았을 때, 여학생이 목적성,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남학생은 확신성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학교 유형의 차이, 즉 남녀공학인지 비 남녀공학인지의 차이는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각각에 대해 학교 유형의 차이가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주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남녀공학여부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자기효능감에 성별과 남녀공학여부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또래집단의 성별은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었다. 또래집단의 성별과 남녀공학여부는 또래집단의 성별과 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또래집단의 성별은 진로성숙도에도 성별과 남녀공학 여부와 달리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성별과 남녀공학여부는 이원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성별, 학교 유형, 남녀공학여부 그리고 또래집단의 성별 변수는 삼원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일반고, 특성화고, 자사고로 분류한 고등학교의 진로교육만족도,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 학교생활참여도,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교육만족도는 특성화고가 일반고 보다 더 높았고 일반고와 자사고, 특성화고와 자사고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진로교육장래희망연관성 세 학교종류 집단 간에 평균차이가 존재하였는데 특성화고와 자사고가 일반고 보다 높았고 특성화고와 자사고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는 걸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참여도와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종류 별 차이 없었으며 진로교육만족도는 교과 외 수업 참여도와 동아리활동 참여도가 높을수록 진로교육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성별 영향을 살펴본 기존 연구들과 달리, 청소년의 ‘성별’을 보다 세분화하여 개인성별 차이는 물론 개인이 속해있는 또래집단의 성별구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동안의 연구가 학생 개인의 특성으로서의 ‘성별’에 초점을 맞추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성별’이 갖는 함의를 개인이 속한 집단의 성별구성 특징에까지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내재적 요인으로서의 성별과 집단의 성별(남녀공학 여부와 또래집단의 성별구성), 즉 외재적 요인으로서의 성별의 상호작용효과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진로관련 행동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고등학생 집단의 성별은 개인이 타고난 성별과는 달리 고정불변의 요인이 아니며, 고정되어있지 않으므로 성별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줄여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높은 수준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는 진로교육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성별과 학교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지는 고등학교가 학교유형에 상관없이 획일화된 입시위주의 교육에 치중되어 있는 교과활동을 받는 학생들에게 교과활동을 포함한 교과 외 활동, 동아리 활동 등 그들의 적성을 고려한 진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만 연구대상으로 삼아 전체 청소년의 문제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고, 연구대상의 거주지 또한 서울, 경기지역이 50%로 지역 편향이 크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의 고른 연령의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용된 척도가 자기보고식 응답을 통한 양적연구로 반응편향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주로 성별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진로관련행동을 연구하였으나, 청소년의 진로관련행동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 넷째, 장기적 변화를 관측하기에 한계가 있는 횡단연구라는 한계가 있다. 청소년의 진로관련행동이 변화양상을 보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종단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진로교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진로행동을 촉진하는 요인만큼 저해요인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집단의 성별구성을 학교 유형으로만 구분했을 때 보다 실제 친구들의 성별이 이성인지 동성인지의 여부가 결과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그 원인에 대한 심리적인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실제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시작으로 집단의 성별이 생물학적 성별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진로관련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수많은 연구와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