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비디오 촉진을 적용한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음식점 서비스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 촉진을 적용한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음식점 서비스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Vocational Instruction Using Video Prompting on Restaurant Service Skills
Authors
최아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지적장애 고등학생이 졸업 후 독립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직업은 필수적인 요소로 학령기부터 체계적인 직업교육이 실시되어야한다.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는 실제 직업현장의 자연스러운 맥락 속에서 직업기술을 교수하는 방법으로 지적장애 학생의 직업교육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증거기반의 실제이다. 학령기 지적장애 학생에게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비디오 촉진은 목표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학생이 한 단계(또는 한 그룹)씩 관찰하여 목표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디오 촉진을 적용한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음식점 서비스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2명의 지적장애 여학생을 대상으로 세 가지 목표행동에 대하여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확인했다. 중재는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음식점에서 음식점의 시설과 도구를 그대로 활용하여 실시했다. 본 연구의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에는 비디오 촉진 전략이 적용되었다. 비디오 촉진 자료 제작을 위해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세 가지 음식점 서비스 직무(손님 안내하기, 테이블 정리하기, 주문받기)를 직무 지도 담당자가 수행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촬영한 영상은 과제분석 내용에 따라 2-5개씩 묶어서 한 클립의 영상으로 편집되었으며, 학생들은 편집된 영상을 클립 단위로 봐가면서 목표행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했다. 만약 학생이 비디오 클립의 시청 후에도 목표행동의 수행이 어려운 경우 음식점의 직원이 직무 지도 담당자로서 최소-최대 촉진법을 토대로 촉진을 제공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촉진을 적용한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음식점 서비스 직무 수행률을 향상시켰다. 둘째, 비디오 촉진을 적용한 지역사회 중심 직업교수의 결과로 향상된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음식점 서비스 직무 수행률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이 구조화된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의 직업교수에 지역사회 중심 교수가 매우 효과적이며, 이를 실행함에 있어 비디오 촉진 전략이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사업체의 직원을 직무지도를 위한 성공적인 교수자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vocational instruction using video prompting. In this study, video prompts by tablet PC were used for teaching two high school students in a real restaurant sett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accurate completion of three restaurant service skills. During the baseline phas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target behaviors without any assistance from instructors or video prompt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the participants learned three restaurant service skills using video prompts. They watched the video clip showing the job instructor's successful performance on the skills. And they conducted what they had seen. If they completed the steps correctly, they watched the next video clip and kept performing. If they made incorrect responses, they were allowed to rewatch the video clip and given a chance to correct the errors in their prior performance by themselves. If they made an incorrect response in their second trial, the instructor taught them the correct way to perform the skills by using least-to-most prompts.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the effects were assessed over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in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he results indicated two things: first,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vocational instruction using video prompting increased all three restaurant service skills of two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ncreased restaurant service skills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