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노년기 삶에서 예술 활동이 갖는 평생학습적 의미

Title
노년기 삶에서 예술 활동이 갖는 평생학습적 의미
Other Titles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Artistic Activities in Later Life : Through Older Adults’ Visual Arts Activities
Authors
김하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활동 경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오랜 기간 동안 시각 예술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노인들의 삶과 예술 활동 경험을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으로 면밀히 들여다보았다. 이를 통하여 노년기 예술 활동 경험의 과정은 어떠하며, 예술 활동은 노년의 삶과 어떠한 유기성을 갖는지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그 속에 내재된 평생학습적인 의미의 본질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서, 특정 노인 기관의 프로그램에 소속되지 않고 자발적으로 10년 이상 예술 활동을 지속해온 5명으로 선정이 되었다. 분석 자료로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 전사 기록과 그들의 작품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예술 활동 경험의 과정’에서는 경험의 발전 과정에 따라 예술 활동이 동기화되고, 안정화되며, 심화되고, 의미화되는 흐름이 발견되었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예술 활동을 시작하기 전, 자신의 생애 속에서 활동의 기반이 될 만한 심미적인 경험과 선행된 경험을 하였다. 이들은 성인 후기에 이르러 빈둥지 시기, 퇴직 등과 같은 삶의 변화를 맞게 되면서 나름의 동기를 가지고 예술 활동에 진입하게 되었다. 예술 활동 초기에는 기초적인 실력의 부족, 교수자와의 갈등, 인지적인 노화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그것을 적극적으로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예술 활동은 발전하였고 안정화되었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이 예술 활동을 장기간 지속해온 데에는 활동을 유지하는 공통의 비결이 존재하였다. 이들은 활동 자체를 즐겼고, 노후와 관련된 지속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활동을 가시화하였고, 가족의 지지와 타인의 인정을 받았으며, 생활 규칙을 가지고 중도(中道)의 원칙을 고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활동을 지속해오는 도중에 중단의 위기를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그것을 극복하고 재활성화 하는 과정에서 예술 활동은 더욱 확장되었고 심화되었다. 예술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반성적으로 고찰이 되었으며, 치유, 놀이, 아름다움 등으로 의미화되었다. 둘째, ‘노년기 삶과 예술 활동의 유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예술 활동은 노년기 삶의 상황에 의해 추동되고, 창의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노년의 삶에 창의적인 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먼저 ‘노년기 삶에 의해 추동되는 예술 활동’에서, 노년에는 역할 변화 및 상실을 계기로 자기 존재에 대한 관심이 회귀되고, 나만을 위한 일 혹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자 하는 갈망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기는 성인기 동안 유예되어온 표현적 욕구를 해방시키는 노력으로 이어졌는데, 이때 예술 활동은 표현적 욕구를 표출하고 충족시키는 자아 중심적인 활동이 되었다. 한편, 노년에는 노화로 인하여 다양한 한계를 경험하게 되는데, 연구 참여자들 역시 고립, 의존, 소외, 정체와 같은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에게 이러한 한계는 예술 활동을 지속시키는 결핍 동기가 되었고, 예술 활동을 통해 극복되고 초월됨으로써 자신의 삶에는 적용되지 않는 문제로 인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예술 활동을 지속해감에 따라 성장과 배움에 대한 욕구도 갖게 되었다. 성장 욕구 역시 예술 활동을 통해 충족됨으로써 배움과 활동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노년기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적 경험’에서는 노년의 예술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인 상상과 몰입경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상상은 노년의 축적된 생애 경험과 지혜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창의적인 상상을 통하여 자기 치유, 유희, 타인과의 공감적 소통이라는 긍정적인 영향을 경험할 수 있었다. 한편, 예술 표현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몰입은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의식을 상실하게 하고, 자아를 망각하게 하였으며,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였다. 이로써 연구 참여자들은 예술 활동에 몰입함으로써 일상으로부터의 분리가 될 수 있었고, 그들의 자아와 경험은 확장되고 초월될 수 있었다. ‘노년기 삶에 방사되는 창의적 힘’에서는 창의 활동을 지속해온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서 발견되는 창의적 노년의 특성이 밝혀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적인 역할과는 구별된 예술가적인 자기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체성은 노년의 역할 변화와 상실에서 비롯될 수 있는 심리사회적인 혼란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은 예술 활동을 통해 노화로 인한 불안과 불편, 한계를 조절하고 자신의 노화 과정을 안정적으로 경험해나가고 있다. 또한 죽음에 대해 초월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죽음에 집중하기 보다는 남아있는 삶을 미래지향적이고 도전적으로 사는 데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노년기 삶에서 예술 활동이 갖는 평생학습적 의미는 ‘창의적 학습 경험을 통한 자기완성에로의 여정’이다. 이러한 의미는 다음의 두 가지 하위 의미를 내포한다. 첫째, 예술 활동 경험 과정을 통한 학습과, 삶·예술·학습의 통합이다. 예술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는 학습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학습 경험은 노년의 창작자를 학습의 주체이자 온전한 삶의 주체로 거듭나게 한다. 아울러 예술 활동 경험을 지속하는 과정은 예술과 학습을 일상화함으로써 노년의 삶 자체를 예술적이고 학습적인 일상이 되도록 이끌어준다. 둘째, 창의적인 경험을 통한 노년기 잠재력 발현과 과업 달성이다. 예술 활동은 노년의 한계에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수단이자, 유예된 욕구를 해방하고 충족하는 통로이며, 노년의 성장과 초월을 이끄는 전환적 매개이다. 또한 표현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적인 상상과 몰입의 경험을 통하여 잠재된 노년의 창의성을 발현하고 계발하는 장이 된다. 이로써 노년의 예술 활동은 창의적으로 노화하는 과정이자 노년의 삶을 창의적으로 사는 방법이 되며, 나아가 초월과 성숙이라는 노년의 궁극적인 과업을 달성하는 노인 평생학습의 과정이 된다. 본 연구가 가진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과 노년의 삶에 대한 새로운 조망을 제공한다.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패러다임에서는 신체적인 노화를 중심으로 노인과 노년의 삶을 노쇠하고 무기력하며, 비효율적임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본 연구가 지향하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는 노인은 자기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의 주체이고, 그들의 모든 경험은 학습의 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그들의 일상은 학습이 촉발되고 진행되는 배움의 근간이 된다. 한편, 예술의 관점에서 볼 때, 노년은 삶의 본질을 음미하고 그 농익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여유와 시간 개념을 갖춘 시기이다. 아울러 노년은 당면한 한계를 초월하고 성숙의 과업을 달성해야 함으로써 예술을 통한 승화와 초월의 경험이 더욱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노인과 노년의 삶에 대한 재해석의 계기를 마련하고, 노년이 갖는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밝힌다는 점에서 기존의 노년기 관점에 시사를 제공한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 예술 활동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게 한다. 지금까지 노인 예술 활동은 여가 선용을 위한 취미 활동으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노인 예술 활동은 노년의 축적된 경험과 지혜에 예술성과 공적인 의미를 부여해주는 통로이자, 노년의 욕구를 충족하고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이며, 창의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과정이다. 무엇보다도 노인 예술 활동은 예술과 학습의 실천을 통하여 성숙과 초월의 과업을 이루어 가는 평생학습의 과정이다. 따라서 노인 예술 활동은 노년의 잠재력을 발현하고, 노년의 궁극적인 과업을 달성하는 노인 평생학습으로서 그 의미가 재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 예술 활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평생학습적인 의미를 규명하였다는 학문적인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는 고령 사회에서 평생교육이 가져야 할 관심과 가치 지향에 대해 시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노년의 예술 활동 경험과 삶을 세밀히 들여다봄으로써 그간 평생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져온 노인 학습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노인 예술 활동의 활성화에 불씨를 당기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노년기 삶과 예술 활동, 그리고 노년기 학습 욕구 및 창의성의 유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기존의 기관 중심적이고 프로그램 중심적인 노인 평생교육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노년의 잠재력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촉발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노년의 성숙과 초월이라는 궁극적인 생애 과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노인 평생교육이 간과해온 본연의 역할을 되살리고자 하였고, 이로써 고령 사회 평생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artistic activities pursued in the later years of life. For this research, the life and artistic experience of seniors, who have been continuing their visual art activi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ere closely observ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Fiv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ge of 65 years and older who were not affiliated to any programs organized by a specific elderly institution but have been voluntarily engaged in art activities for more than 10 years. Analysis data wa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also on their art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urse of arts experience at old age,” the flow of artistic activities being synchronized, stabilized, deepened, and signified was observed over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experience. Prior to begin artistic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aesthetic and antecedent experiences from their life that became the basis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changes such as an empty nest syndrome and retirement in their later years that motivated them to start artistic pursuits. In the beginning of artistic activities, they were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basic skills, conflicts with instructors, and cognitive decline; however, their artistic activities were improved and stabilized during the process of positively solving the problems at hand. The study participants had their secret to continue art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ey enjoyed the arts itself, set the intentional purpose for their later life, visualized the activities, gained support and recognition from their family and others, and adhered to the principles of moderation while having the rules of life. Although the participants underwent a crisis of discontinuation as they continued their activities, their artistic pursuits expanded and deepened in the course of overcoming the crisis and reactivating.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rtistic activities was considered to be self-reflective to the participants, and also signified as healing, amusement, beauty and etc.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fe of old age and art activity,” artistic pursuits were found to be driven by the situation of old people’s lives, to provide a creative experience and to have an influence of creative power on lives of old people. First of all, “the art activities driven by the old age” showed that the change or loss of role led to regain interest in their existence and a desire to do things for themselves or what they want in later life. This motivation led the elders to liberate their expressive needs that was deferred during their adulthood; in the meantime, their art activities became self-centered activities that would express and satisfy their expressive needs. On the other hand, the elders faced various limitations due to aging,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aware of the limitations such as isolation, dependence, alienation, and stagnation. However, these limitations acted as a deficiency motivation for continuing their artistic pursuits and they were no longer considered as a problem because they were managed and transcended through artistic activities. As the study participants continued their artistic activities, they developed a need for learning and growth. By fulfilling growth needs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e area of activities and learning was expanded and deepened as a result. In “the creative experience through artistic pursuits in later years,” creative imagination and immersion experience were accomplished through art activities in old age. Creative imagination was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life experience and wisdom of old age while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the positive effects such as self-healing, amusements, and sympathetic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creative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immersion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artistic expression could cause the participants to lose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o forget their self, and to experience positive sentiments. This allow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be separated from their daily lives by immersing themselves in art activities, and also allowed their self and experience to be expanded and transcended. In “the creative force that radiated into later life,” the characteristic of creative later lives was found in the l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ntinued their innovative activities. The participants had artistic self-awareness that was distinct from their social roles. Such identities formed from art activities prevented the psychosocial confusion that arose from the change and loss of role in later years. Meanwhile, the participants managed their anxiety, discomfort and limitations of aging and steadily overcome the process of aging through art activities. Moreover, they showed a serene attitude toward death, yet they showed future-oriented and passionate attitude toward the rest of their liv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fined the significance of lifelong learning of artistic activities in the elderly life as “the journey to ego-integrity through creative learning experience.” This meaning implies the following two semantic compositions. First, it is artification and learning of everyday through the process of art experience. Learning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having art activities, and these learning experiences bring the elderly creator into full self. In addition, the process of sustaining the experience of artistic pursuits makes the old age itself an art and daily learning by routinizing the arts and learning. Second, it is the completion of tasks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potential ability of old age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rt activities in later years are a method to creatively cope with the limitations of being old, a channel to liberate and satisfy deferred needs, and a transformational medium that leads to self-improvement and transcendence in old age. Moreover, it is also a place to express and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nd immersion experience that were formed during the course of expression. Therefore, artistic pursuits in old age are the process of creative aging and living, and that of achieving the ultimate tasks such as transcendence and matu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