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학습자 중심의 전시 감상 수업을 통한 미술관과 학교연계 교육 방안 연구

Title
학습자 중심의 전시 감상 수업을 통한 미술관과 학교연계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xhibition appreciation class
Authors
이채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미술관은 과거의 수집, 보존, 연구와 같은 전통적 기능의 시설에서 더 나아가 교육적 기능이 강조되며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사회적, 교육적 기능을 실행하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미술관 교육의 증가와 연구가 확대 되면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관의 맥락에서 그 성장과 배경에 구성주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따른다(남정은, 2017). 일반적으로 교육은 사회와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나타나는데 앞으로 맞이할 미래 사회는 고정되고 축적된 지식의 양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관 교육은 관람자의 주관과 해석이 들어간 의미생성을 중요하게 보는‘학습자 중심주의’관점에서 사고하기를 기대한다(김지호, 2012). 학습자 중심주의를 교육적 관점에서 보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자로서 지식을 개별적이고 사회적으로 구성하며 상황적, 협력적인 환경을 통해 학습하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미술관 교육은 형식적 교육의 체제를 가진 학교교육의 대안적 환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늘날 학교 역시 형식적 교육체제를 가지지만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을 지향한다. 따라서 미술관이 그 대안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국내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유형은 학교의 청소년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로나 감상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미술관과 학교를 연계한 미술관 교육의 질적 재고의 필요성이 선행 연구들과 현장을 통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과 학교가 지향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미술관과 학교가 연계된 전시 감상 수업의 효과성을 결과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 및 특징을 살펴보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미술 교육과의 연계성을 정리하였다. 둘째, 미술관과 전시 감상 교육,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의미 및 특징을 각각 살펴보고 국내외 미술관 학교연계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미술관 학교연계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을 반영한 토의법을 수업방법으로 선정하고,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미술관의 전시를 분석하여 이를 주제적 접근을 바탕으로 학습 자료와 도구를 제작하였다. 넷째, 서울시에 소재한 S 고등학교 미술동아리 학생들에게 신희진·김세준(2019)이 개발한 미적경험 검사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수업에 대한 효과와 학교연계교육 방안 모색을 위해 교사와 학생 면담, 수업 관찰, 만족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다섯째, 수업 실시 후 사전·사후 검사 차이에 대한 통계 검증을 SPSS/WIN Ver 22.0을 프로그램을 통해 수업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술관 학교연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과 학교를 연계한 학습자 중심의 전시 감상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미적경험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 총점과 하위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후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들은 미술관과 학교가 연계한 수업을 통해 전시 감상에 도움을 받게 되었으며 미술관과 학교가 연계한 수업의 필요성과 함께 수업에 대한 흥미도 역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음과 같은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바탕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 면담자료, 수업관찰일지 등을 질적 분석하여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과 학교연계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전시의 주제적 접근을 통한 사전 학습의 가능성 모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에 대한 주제적 접근은 전시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키며 학습자 개인의 삶의 맥락에서 확장하여 사고하고 내면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정 표집을 대상화했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가 있음으로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주제적 접근의 미술관 학교연계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학습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의 특성을 살린 수업과 학습 도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교수-학습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미술관과 학교가 지향하는 학습자의 협력적이고 주도적인 학습 환경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셋째,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학습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사후활동 연구가 필요하다. 미술관과 학교연계 감상 수업은 사전학습과 사후학습을 통한 미술관 학습을 지향한다. 하지만 이 때 학습자들의 사후학습에 대한 의견은 미술관 학습을 통한 감상활동 이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교육의 제공자는 이를 미리 파악하여 전시 경험마다 달라질 수 있는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반영한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전시 감상 수업을 개발하여 학습자에게 미치는 전시에 대한 미적경험의 효과를 확인하고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 활성화 방안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더욱 꾸준한 연구와 개발, 두 기관의 협력, 담당자의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이러한 과정에서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 환경과 질적 개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에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감상교육이 실천되어 청소년들의 학습 환경 개선과 미술 문화에 대한 긍정적 경험의 제공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일조하기를 바란다.; The art museum emphasizes the educationa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unctions as the collec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and provides various academic programs while executing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as a place for lifelong education. As the art museum education increases and its research expands and research of art museums expands, the education follows the new paradigm of constructivism in the context of postmodern art museum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Nam, 2017). In general, education reflects the needs of society and the times, and for society to come a significant amount of fixed and accumulated knowledge is no longer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for learne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based on present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is context, postmodern art museum education retains a learner-centrism's perspective that signifies the creation of the subjective and interpreted meaning of the observer (Kim, 2012).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learner-centrism is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which, though defined differently among scholars, in general, learners are the protagonist of the learning process where knowledge is person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nd learning proceeds through the circumstantial and cooperative environment. Museum educat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act as an alternative environment for school education with a formal education system. Modern schools also maintain a formal educational system, but its curriculum aims for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Like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rt museum can provide an alternative environment. The types of th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in Korea are variously supplied to the youth and teachers of the school, with a focus on their careers or appreciation. In addition, during the course of this education, the need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and qualitative consideration were confirm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e working education sce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result analysis of the exhibition appreciation clas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hat both museum and school aim for and suggest measure to revitalize th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ummarized the connection betwee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art education. Secon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both art museum and its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and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confirmed the need for art museum school linkage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nkage program. Third, discussion method that reflects the natur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as selected as the teaching method, and the study materials and tools were produced based on thematic approach by analyzing the exhibition of the public art museum in Seoul. Fourth, students from S high school art club participated in pre-class and post-class tests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e aesthetic experience test scale developed by Shin and Kim (2019).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possible measures for school linkage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and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Fifth, after class, pre-test and post-tests result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 SPSS/WIN Ver 22.0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and from it measures to revitaliz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testing and post-testing of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er-centered exhibition appreciation class linking art museums and scho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and all sub-domains. Afterward,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demonstrated that the students were help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through the school linkage class. Class interest was high as well as the necessity of the classes felt by the participants. Second,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described below,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interview materials of the teacher and students and class observation reports and suggested measures to revitaliz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describ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h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finding measures for possible prior learning through the thematic approach of the exhibition is require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thematic approach to the exhibition increased th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 itself. Also, the thematic approach helps the learners consider and internalizes the exhibition in the context of the learner’s independent life. Generalization of this finding is limited, however, as this study targeted specific population samples, and therefore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rt museum school linkage program that embraces the thematic approach for learner characteristic is required. Second, learner-centered classes and learning tools need to be developed to activat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Classrooms and learning tools that take advantage of learner-centered characteristics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 teacher-learn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site, as well as increase lear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learning the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collaborative and proactive as art museum and school aim for. Third, post-activity research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learners is needed to revitalize school linkage education. Art Museums and school linkage appreciation classes aim for art museum education through pre-learning and post-learning. However, learner’s opinions on post-learning may vary after appreciation actives through art museum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providers to grasp their specific response in advance and offers classes that reflect learner’s learning need. This study developed the learner-centered exhibition appreciation clas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n the exhibition to learners, and proposed three ways to activate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vitalization of art museums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require cons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and the interest of their staff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qualitative improvement and the enhanced environment of art museum and school link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hopes that it aids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provide a pleasant experience in art culture by implementing various appreciation education focused on learner-centered school linkag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