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1 Download: 0

직소(Jigsaw)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직소(Jigsaw)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Media Art Class Using Jigsaw IV Model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민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는 협동학습 모형 중 직소(Jigsaw)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의 방법 면에서는 Holliday(2002)가 제안한 직소Ⅳ모형을 본 연구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직소Ⅳ모형은 전체 학습과제에 대한 교사의 흐름 설명, 학생들이 수집한 정보의 정확성을 점검하기 위한 퀴즈 제공, 개별평가 후 부족한 부분을 확인 및 보충하는 재교수 단계를 추가하여 이전의 직소Ⅱ,Ⅲ모형이 가진 문제점을 개선한 모형이다. 수업의 내용 면에서는 직소모형 적용 시 유의사항을 고려함으로써 적절한 과제분담이 가능하고,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매체 중 하나인 미디어아트를 제재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히 다양한 매체를 탐색 및 감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디어아트에 대해 학생들이 직접 조사하고 다른 친구들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미디어아트 감상수업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설계에 앞서 직소모형,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미디어아트에 관한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현행 미술 교과서 10종을 바탕으로 미디어아트 단원의 내용, 구성, 관련 도판을 분석하고 수업을 계획하였다. 셋째,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근거하여 교수학습지도안, 수업도구,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넷째, 설계한 교수학습지도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J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16명을 단일집단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소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을 총 4차시에 걸쳐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 검사지의 결과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학습자가 작성한 활동지, 자기평가지 및 동료평가지, 수업소감 및 인터뷰, 그리고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과 질적 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학습동기 사전·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가 0.83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상승 폭을 보였으며, 학습동기의 다섯 가지 하위영역 중‘자신감’ 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증가율이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도 사전·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가 2.06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상승 폭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직소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학업성취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수업 활동 시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분석을 통해서 직소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학습목표 달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이 자료와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고 성실한 태도로 조사함으로써 미디어아트에 관해 정확한 지식을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작성한 자기평가지 및 동료평가지와 수업소감 및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미디어아트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이는 것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소모형의 특징인 전문가집단과 모집단을 통한 모둠활동이 미디어아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사고 확장에도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과정에서 iPad 활용과 모둠별 보상제공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도를 높이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직소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아트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교육에서 직소Ⅳ모형을 적용한 미디어아트 수업을 통하여 고등학교 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고, 평가도구 및 측정도구를 활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media arts class applied by Jigsaw IV model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terms of the teaching method, the Jigsaw IV model proposed by Holliday(2002) was applied to this study. Jigsaw IV model improves the problems of previous Jigsaw II and III models by adding a teacher's flow on the whole learning task, providing a quiz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students, and re-teaching steps to identify and supplement the gap after individual evaluation.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I used media art as a sanction by considering precautions when applying the jigsaw model. Media art is one of the media that learners frequently encounter in real life, and it is possible to share appropriate tasks. Through this, the media art’s appreciation class was planned to play an independent role of not only exploring and appreciating the various media but also for students to research media art and explain logically to other friend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rior to class design, theoretical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 on Jigsaw model,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 art. Second, based o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10 current art textbooks, the contents, composition, and related drawings of media art units were analyzed and classes were planned.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eaching tools, and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urriculum, and textbook.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16 female 2nd graders of J high school located in Yangcheon-gu, Seoul were selected as a single research subject, and preliminary tests for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nducted. Fifth, after conducting a total of four classes of media arts using the jigsaw IV model, a post-test was conducted. Sixth,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papers were verifi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activity sheets,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papers, class impressions and interviews, and researcher observation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as increased by 0.83, showing a relatively high increase rate in the "confidence" area among the five sub-fields of motiv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achie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by 2.06, indicating that the media art class applied by Jigsaw IV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heets written by students during class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media art class applied with the jigsaw IV model was effective in achieving learning go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gained accurate knowledge about media art by collecting and using information and investigating with sincerit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s, class impressions and interview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s, It was found that they are positive about not only improving stud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raising interest in media art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roup activities through professional groups and original groups, which were the characteristics of Jigsaw model, helped not only to understand media art but also to expand students' thinking. And it was discovered that using iPad and providing rewards were effective in raising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dia art class applied by the jigsaw IV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elp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media a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signed and applied a media art class applying the jigsaw IV model in art curriculum education,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using evaluation and measurement t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