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아동의 자기이해를 위한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 질적 연구

Title
아동의 자기이해를 위한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f Picture Book-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Self-Understanding of Children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Graders
Authors
김학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이해를 위한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에서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이 겪는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면밀히 관찰하여 아동의 자기이해 과정의 구성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수업의 효과를 양적으로 연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업에서 아동의 개인적인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자기이해 과정이 어떠한지 탐색하여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의 의미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 6명으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매주 총27차시의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미술수업의 기획과 설계는 초등학생 대상 통합예술교육의 경험이 있는 연구자와 주 강사 2인 총 3인이 함께 진행하였으며, 수업은 아동문학, 미술교육 전공자인 주 강사 2인과 보조강사 1인이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보조강사로 매 시간 수업에 참여하여 관찰하였고 매 차시 수업이 종료된 이후에 아동 6명을 대상으로 심층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포커스 그룹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외에 연구자가 참여자 관찰일지와 주관적 수업 평가 일지를 작성하였으며, 27차시 수업의 종료 후에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수업 후 참여자의 변화에 대한 지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자의 작품은 사진으로 기록하여 수집하였고 수업과 면담은 녹화, 녹음 및 전사하여 수집, 분석하였다. 수업의 과정에서 아동의 경험을 질적 분석하기 위해 월코트(Wolcott)의‘기술’,‘분석’,‘해석’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수업 자료는 개방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 하고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중범주, 14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이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경험했을 때 나타나는 범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타인의 관점 수용 범주에 따른 하위범주는 ‘타인을 향한 관심’,‘타인 의견 존중’,‘감정적 공감’,‘자신의 경험 연결하기’,‘타인의 긍정 반응에 대한 행동’,‘타인과의 친밀감’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력 향상 범주에 따른 하위 범주는 ‘자기인지’,‘내면의 성찰을 통한 변화’,‘자기 신뢰’,‘자신감과 적극적 태도’,‘성취감’,‘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만족감 증대의 하위 범주로는 ‘놀이의 즐거움’,‘창작의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대상의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에서 참여자들은 타인(그림책, 교수자, 또래 참여자)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이해의 변화를 보였다. 수업에서 참여자들의 자기이해는 순환적 과정을 통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기개념을 명료화하고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증진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 참여자들이 주체가 되어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원하고 타인과 지속적으로 대화 하며 풍부한 상호관계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와 충분한 수업 시간이 제공되었다. 둘째, 그림책 기반 미술수업에서 참여자들의 진정한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자기 표현력이 기반이 되어야 했다. 타인 관점 수용능력 , 자기표현 능력 두 가지 요인이 균형 있게 갖춰져야 자기와 타인에 대한 왜곡 없이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했다. 참여자가 자기이해의 선순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수자는 참여자의 생각과 감정을 차분히 들어주고 인정해주며 참여자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격려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수업에서 참여자의 개별 특성에 맞는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평가를 하고 참여자와 타인의 상호관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셋째, 놀이적 특성을 반영한 활동과 미술 창작 활동으로 인한 몰입의 경험은 참여자들의 자기만족감을 증대 시키고 자기이해 변화를 긍정적으로 지원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수업에서 다양한 방식의 그림책 연계 활동을 경험하면서 참여자들의 수업과 수업 공간, 교수자, 또래 참여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이는 참여자들이 수업을 기대하고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수업은 아동이 타인과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며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타인과 공존할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림책을 매개로 아동이 그림책 속 인물과 작가, 교수자, 또래 참여자들과 풍부한 상호관계성을 경험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 미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how components of a child's self-understanding course interact by closely observing the experience of a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a picture book-based art class for self-underst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meaning of picture book-based art class by understanding the children's personal inner world in class and exploring what self-understand process is like, away from the method of quantitatively studying the effects of class in many preceding stud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children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participated a total of 27 different picture book-based art classes every week from August to October 2019.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art class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with experience in integrated art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y a total of two main instructors, and the class was guided by two main instructors who majored in children's literature and art education and one assistant instructor. The researcher attended the class every hour as an assistant instructor and conducted in-depth group interviews with six children after each class was over.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focus group manner.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epared an observation log of participants and a subjective assessment log. After the 27th class, they conducted a written survey of the parents about the change of participants after the class. The work of the participants was recorded and collected in photographs, and the classes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out the history. In order to analyze children'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class, the study method of 'technolog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wolcott was applied and the class data collected were categoriz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open coding 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3 higher categories, 7 center categories, and 14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llowing are the categories that appear when a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experiences art classes using picture books. First,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acceptance of other people's perspectives appeared to be interest in others, 'respect for others' opinions', 'emotional empathy', 'connect one's own experiences', 'action on the positive response of others' and 'closeness with others'.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self-expression improvement were derived as 'self-awareness', 'change through inner reflection', 'self-confidence and active attitud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hope for the future'. Finally, subcategories of increased self-satisfaction appeared as 'joy of play' and 'joy of cre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of children's picture book-based art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a picture book-based art class, participants showed changes in self-understan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picture books, professors, and peer participants). The self-understand of the participants in the class appeared to be a series of processes that are continuous through the cyclical process.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clearly defined their concepts and accepted their appearance as they were, and based on this, understood and accepted other people's views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have given me confidence in my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do this, it should provide an acceptable atmosphere and sufficient time to support participants in the activities as the subject,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experience rich interrelationships. Second, for the participants' true self-understand in picture-book-based art classes, empathy and self-expression had to be the foundation. Only when two factors are balanced in terms of other people's perspective and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can they communicate smoothly without distorting themselves and others. In order for a child to experience a virtuous cycle of self-understand, the professor should calmly listen to and acknowledg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show an attitude of accepting and encouraging the existence of children as they are. It should also play a role in making positive and specific assessments to sui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in the class and connect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 and others. Third, the experience of immersion due to activities reflecting playful characteristics and art creation activities serv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self-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positively supported changes in self-understand.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picture book-linked activities in class, participants' perception of class, class space, professors, and peer participants changed positively, which affected the participa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in anticipation of the class. These conclusions show that art classes using picture books allow children to experience var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understand themselves and coexist with others with confidence giving them a positive view of their lives. In response,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need for art classes to support the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experience rich interrelationships with people in picture books, writers, professors, and peer participants and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o their heart's cont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