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6 Download: 0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on communicative abilities of second year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uthors
박다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빠르게 변화되는 현대사회에 따라 인간의 삶 또한 다양하게 변모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과열된 경쟁 속에서 개인주의 성향이 더욱 강해지면서 상호 간 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문제들로 점차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교 현장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한국교육 개발원 연구에 따르면 학교 폭력, 집단따돌림, 욕설, 자살 등의 현상들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부재와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들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있다(강기수 외, 2013). 따라서 학생들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추구하며 함께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기 위해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및 발전하는 것으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부에서는 원활한 소통능력을 강조하며 21세기 미래 인재양성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교육부, 2015). 학교 교육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을 각 교과 영역별로 강조하는데 그 중 미술교육에서는 의사소통을 기호, 상징 등의 다양한 이미지의 전달 방식을 통해 비언어적 매개체로써 활용할 수 있는 시각적 소통 교육으로 그 연결성을 보이며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소통 교육은 학생들의 삶 속에서 관련된 주변의 다양한 현상과 환경 등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육으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있다.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은 학습자에게 공동체의 역사, 문화, 생태, 현실적 문제 등에 관여하게 하려는 학교 및 학교 밖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이다(Chanda, 2007). 이를 통해 학습자는 미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자신과 연관된 공동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함으로써 타인 및 공동체와 소통을 자유롭고 활발하게 이루고 집단의 유대감을 형성하며 이해와 존중 등의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공동체 사회에서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소통 교육의 대안으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환경을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의 발달단계 및 소통을 목적으로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전달하는 미술적 표현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공동체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연계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중학교 2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동향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현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의 연계성을 살펴본 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미술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중학교 2학년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 중 의사소통능력 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 총 30명으로 구성된 1개의 학급을 단일 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8차시의 실험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의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자료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수업 실기 결과물, 학생 소감 인터뷰, 연구자 관찰일지 등의 질적 분석을 통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종합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영역인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전환능력이 각각의 하위 요소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질적 분석 중 특히 학생 소감 인터뷰와 연구자 관찰일지 분석에서 수업 전과 후를 기준으로 학습 후 의사소통능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이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어 양적·질적 분석을 바탕으로 그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With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human also changes in various aspects. As the individualistic tendency increases amid excessive competition, lack of mutual communication is being exacerbated into social problems, which occur frequently in school setting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sserted in a study that the phenomena such as school violence, bullying, insult, and suicide are problems close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lack of communication, and not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ich would promote communicative abilities in order to prevent them (Kang et al., 2013). Therefore, this requires an education which would enhance communicative abilities by enabling the build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of relationship among students,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ursue diversity, and to form communities. Based on this research,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mooth communicative abilities, asserting the necessity of nurturing future talent of the 21st century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chool education stresses communication functions under each subject education category. Among them, art education highlights the visu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shows connection to the idea, for it can be used as non-verbal medium through various methods of transferring images, such as signs and symbols. The visual communication education perceives various phenomena of the surrounding and the problems of environment related to the students’ lives, which can be practiced effectively through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t is an in and out-of-school art education program intended for learners to be involved in the community’s history, culture, ecology, and current issues (Chanda, 2007). Through this program,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rt activities, detect community problems related to themselves and search for solutions. By doing so, they can communicate independently and actively with people and community, build a sense of collective belonging, and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ve abilities such as understanding and respect. On this basis, the study applied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school art classes as an alternative to communication education for developing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future talent in the 21st century community society, and designed courses which would enable students, as its members, to enhance the environment constituting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y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expressive activities for expressing the community freely, in consideration of artistic expressions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stages and communica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centered art education on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second year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Stud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recent trend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studied theoretically.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for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its connectivity with communicative ab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2015 revised art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nd then designed art courses applicable to actual education fields.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abilities of second year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 communicative abilities questionnaire was used among other measuring tools developed by KEDI in 2003. One classroom constituted with a total of 3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was selected as one single group, and the changes in communicative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eight sessions of the experiment course were measured. The resulting statistic dat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which drew a conclusion integrated with qualitative analyses such as class practice results, student interviews and investigators’ observation log. The integrate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rt courses applied by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ies. Second, the communicative abilities’ sub-areas, the abilities of interpreting, performing roles, self-presenting, setting goals, and converting messages, showed overall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ions before and after, including each of sub-areas. Third, among qualitative analyses, in analyzing the student interviews and investigators’ observation log, it was verified that communicative abilities improved effectively after learning. To sum up, the group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wed improved communicative abilities through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e effects of which were therefor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