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rt Classes Based on Design Thinking on Compassion Capacity Focused on 1st graders
Authors
박나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디자인사고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비즈니스의 혁신도구로 출발하여 환경, 의료, 안전, 교육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결 도구로 활용되었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에 설립한 디스쿨(d. school)에서는 디자인사고를 교육 과정에 도입하여 혁신적인 성공사례를 만들어냈으며, 그 영향으로 국내외 교육기관에 디자인사고를 도입하여 혁신적인 사고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육성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동향에 따라 미술 교육 분야에도 디자인사고에 주목하고 디자인사고의 적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디자인사고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의 창의력, 문제 해결력, 공감 능력, 창의·융합 능력, 수업의 흥미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음을 밝히고 있다. 특히, 디자인사고 방법론은 미술교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미술교과는 시각적 사고를 다양하고 깊게 자극하는데, 시각적 사고는 디자인사고에서 핵심으로 다루고 있는 혁신적 문제해결의 바탕이 되는 사고능력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자인사고가 기존의 문제해결 과정과 차별되는 것은 공감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디자인사고에서의 공감은 문제 상황에 결부된 사람에 대한 공감을 통해 그들의 문제를 철저하게 이해하고, 팀 구성원 간의 깊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협업을 통한 집단지성을 최대한 끌어올린다(김지영 외, 2018). 공감이란 타인의 감정이나 느낌에 대한 내면의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Lipps, 1907) 과도기적 과정에 있는 청소년의 사회화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변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공감은 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으며(박성희, 2004) 미술교육에서 다루는 시각적 사고는 공감교육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시각적 사고는 다양성과 개방적 사고를 촉진하고 타인의 관점에서 인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고 이는 타인에 대한 공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공완욱, 2018).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 기반의 디자인사고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술수업을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적용하여 학습자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문제 상황에 놓여있는 사용자에 대한 공감을 통해 핵심 문제를 정의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디자인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공감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수업을 설계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자인사고와 공감능력의 이론적 배경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단원을 설정하고 ‘학교 안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분리수거함 디자인’ 주제의 총 6차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도구를 작성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24명의 동일집단을 선정하여 데이비스(Davis, 1980)가 개발한 성인용 대인관계 반응척도를 김성은(1997)이 중학생용으로 번안·수정한 공감능력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2차시마다 학습자가 수업여정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수업 후 학생 대상의 인터뷰를 질적 분석 하였다.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사전·사후검사 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한 뒤 혼합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한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능력의 평균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에서는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활동지와 실기 결과물, 수업여정지도, 인터뷰의 질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공감능력과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공감능력, 정서적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적 공감능력이 정서적 공감능력보다 높게 향상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실험수업에서 향상된 공감능력은 ‘사용자에 대한 공감’과 ‘모둠 구성원 간의 공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학습자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 욕구에 공감하며 문제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모둠 구성원 간의 상호 보완적 협력 관계를 통해 ‘모둠 구성원 간의 공감능력’ 또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공감능력의 향상은 학습태도와 학습능력에 관련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미술과목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가 향상되었으며 과제에 대한 도전의식이 고취되었다. 또한 모둠 구성원 간의 공감 능력 향상은 학습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협동성을 높여 집단지성을 끌어올림으로 더욱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효과적인 수업임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후속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성별에 대한 균형을 맞추어 실험집단을 폭넓게 선정하고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모둠 구성원 간의 공감’에 대한 검증된 측정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분석 코딩 체계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재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수업의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Design thinking started out as an innovation tool for business in a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and was used as a tool for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from environment to health care to safety to education. D. school, established at Stanford University in the U.S., has created an innovative success story by introducing design thought into its curriculum, and its impact is continuing efforts to foster talented people with innovative thinking skills. According to these trends, the art education sector is focusing on design thinking, actively researching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design thinking, and shows that classes using design thinking have been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problem solving, empathy, creativity and convergence skills, and class interest. In particular, design thinking methodology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art subjects. The art class stimulates visual thinking in a variety and depth, as it is the ability to think on the basis of innovative problem solving, which is central to design thinking. What distinguishes this design thinking from the existing problem solving process is that it starts with empathy. Empathy in design thinking thoroughly understands their problems through empathy with people involved in problem situations, and creates a deep consensus among team members to maximize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collaboration. Empathy is an experience of inner feelings for others and is important in that it is an effective variable that will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socialization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ransition. Empathy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and visual thinking covered by art education can be more effective in empathy education. This is because visual thinking promotes diversity and open thinking and enables real communi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recognize it from another person's perspective, which can lead to empathy for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rt classes based on empathy-based design thinking process to high school freshmen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learners' empathy skills. Art classes designed to foster empathy by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es that define and solve key problems through empathy with users are as follows. Uni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sign thinking and empathy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 total of 6th clas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under the ‘Separation box for solving garbage problem in school’ theme were developed and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A group of 24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for the study to conduct a empathy test in advance and after. The test is a empathy test that Kim Sung-eun(1997) changed and modified Davis' the Interpersonal Reactive Index.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urse journey maps prepared by learner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The pre- and post-mortem results col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ere compil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program, analyzed and discussed the mixed results, before reaching a conclus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mparative results of pre- and post-mortem examinations of empath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verage of empathy increased,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comparisons of pre- and post-testing in the sub-domain of empathy to ‘perspective’,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estress’ have all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In other words, art classes based on design thinking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of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Secon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activity sites, practical results, class journey maps, and interviews, the art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but the cognitive empathy improved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d empathy consisted of ‘empathy between users’ and ‘empathy between members’ in this experimental class. The learners have improved their empathy toward users to access problems, empathizing with the discomfort and desire of users who are not ostensibly exposed. And learners formed a complementar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he group, which also confirmed that the empathy among the members of the group had improved. Fourth, the improvement of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bility. Interest in art subjects,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have improved and challenge awareness has been promoted. In addition, improved empathy among the members of the group promotes smooth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and boosts collective intelligence by enhancing co-operation, which enabled them to produce high-quality results.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art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among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and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class to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learning attitudes and learning ability.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o b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balance the region and gender in order to select a wide range of experimental groups and generalize the findings. Second, the development of proven measurement tools for ‘empathy among members of the group’ needs to be implemented and the effects need to be reaffirmed using the analysis coding system. This research resulted in the positive effect of the design thinking-based art class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rt class to improve empathy was explored, and the educational effect was verif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