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오브제 애니메이션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오브제 애니메이션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Objet Animation Art Classes on Middle School First Grad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By Applying CPS Model
Authors
김소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에 청소년들에게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라는 역량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요구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구성의 중점을‘미래사회가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하는 데에 두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위한 교수 방법과 지도안이 개발되어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을 통해 함양 될 수 있어 계획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배우고 사용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함양 것에 주목하였으며 교육의 소재를 오브제 애니메이션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오브제 애니메이션 미술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오브제 애니메이션은 스토리를 오브제로 치환하여 한 프레임씩 변화를 주어 촬영한 후 촬영한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영사하여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활동이다. 이러한 표현을 위한 발상과 제작 기법 및 과정은 창의성을 필요로 하며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하였다. 또한 비판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로 문제에 접근하여 자신의 생각을 작품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경험은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애니메이션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개념을 명확히 하여 효과적인 미술수업을 개발하는 단계부터 시작하였다. 이후 2015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미술 교과 내 애니메이션교육을 분석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 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8차시의 미술 수업을 개발하였다. 실험 연구학교를 섭외하여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4명, 여학생 14명 총 28명의 단일 학급에 오브제 애니메이션 미술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활동지와 산출물, 연구일지 인터뷰 자료, 관찰일지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과 실험수업 사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파일 검사지(CPSPI: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ile Inventory)측정도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양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어 혼합적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파일 사후 검사(CPSPI)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문제 발견 및 분석’,‘아이디어 생성’,‘실행계획’,‘실행’,‘설득 및 소통’의 5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증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업의 관찰일지와 인터뷰, 활동지 및 애니메이션 제작 결과물 등 수업의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창의적인 발상과 표현능력, 표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및 응용력, 표현 매체 사용의 능숙함 등을 보여주었으며 수업이 진행될수록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수업 태도로 변화가 있었다. 이는 종합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필요역량들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양적 자료 분석 결과와 질적 자료 분석 결과를 보아 창의적 문제해결 단계마다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기법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은 제작 과정에서 문제를 재미있는 발상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로 변환하고, 통합적인 사고를 발휘하여 재료와 용구의 다양한 응용력과 표현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작자와 감상자가 서로 의견을 나누며 작품 활용 방법에 토의하며 제작물에 대해 공감을 유도하고 이를 설득하며 창의역량이 발현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독창적인 사고로 문제를 재구조화하고 풍부한 미적 감수성으로 생활 속 오브제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서로 협동하여 오브제 애니메이션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오브제 애니메이션 미술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처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으로서 함양될 수 있으며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역량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언을 고려하여 미술교육으로서 다양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수법이 개발되기를 바라며 이를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In ever-changing information ag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mpetencies -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are increasing. According to such a social dem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cultivating ‘talented creativity and convergence-combined youth equipped with right-minded personality by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future society' and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are being provided after corresponding teaching methods and guiding plans were developed at sites of education. Si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an be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learning and using planned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cultivat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art education and set objet animation as educational materia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e effects of objet animation art classe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bjet animation is an activity of making movements by replacing story with objet, shooting one frame each after giving change, and consecutively projecting the images. Idea and production technique and process for such expression require creativity and it seemed that it will influe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addition, it seemed that experiencing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one's thoughts through artwork after approaching problems with critical and open-minded thinking would influenc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procedure of this study began from the stage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developing effective art classes by clarifying concept through literature study on anima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fterward, eight-session art classes producing objet animation apply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model after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nimation education within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were developed. After casting experimental research school, objet animation art classes were conducted at a single classroom consisted of a total of 28 middle school first grade students (14 boys and 14 girls). When it came to the study method,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which collected and analyzed activity sheets, outcomes, study journal, interviews, observation journal, etc. and the quantitative study method which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CPSPI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ile Inventory) conduct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classes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ere used. As a result of study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si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CPSPI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ince all five subordinate 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discovering and analyzing problems', ‘generating ideas', ‘implementation plan', ‘implementation', and ‘persuading and communicating' - increa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materials during the classes such as observation journal, interviews, activity sheets, and animation production outcomes, students showed creative thinking, expression ability, coping ability and application ability toward problem situations taking place expression process, proficiency in using expression media, etc. an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became active and positive as time went by. In sum, this proves that they solved problems by using necessary competenci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s previously mentioned,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y explored and analyzed problems by themselves through experiencing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ing thinking technique at every creative problem-solving stage when referring to quant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Learners converted problems into visual images by using humorous thinking and showed diverse application ability of materials and tools and effective use of expression media by utilizing integrative thinking in production process. Furthermore, producers and appreciators shared opinions, discussed ways of utilizing artworks, induced sympathy toward artworks, and expressed creative competency during the process of convincing. This has been found to influe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y restructuring problems with creative thinking, looking at objet in daily life from different viewpoints with ample aesthetic sensibility, and collaborating with one ano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derived the result that objet animation art classes exert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an be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and it is a key competency to prepare for future society. Therefore, variou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suggestions by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and efforts verifying corresponding effectiveness need to take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