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국내 미술교육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Title
국내 미술교육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Other Titles
Trend Analysis of Theses in Korean Art Education : Focusing on the period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uthors
김성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른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미술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십 년간 개정된 세 번의 수시개정 교육과정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미술교육 학위논문 연구에 대한 분석과 성찰을 모색하려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은 미래사회의 교육이 앞으로 더 모호하고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하여, 이러한 변화에 따른 미술교육 연구의 발전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연구의 현주소를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관련 학위논문을 수시개정 교육과정 시기인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미술교육 학위논문 분류기준을 정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선행연구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이후 새롭게 고시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이후인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위논문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이와 같이 대상을 정하였다. 둘째, 국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수여대학을‘교육대학원’학과정보를‘미술교육’으로 지정하여 검색하였고 미술교육과 관련 없는 논문과 원문 확인이 되지 않는 논문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분석 대상 학위논문을 분류기준대로 구별하고 수시개정 교육과정별로도 나누어 분석하였다. 미술교육 학위논문을 수시개정 교육과정 시기별로 나누어 종합적인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통계적으로 처리하였으며 비교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 학위논문의 연도별 현황 중 가장 큰 특징은 2009년 이후 연도별 전체 논문의 수가 점차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대상의 연구 비율이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가장 높았으나, 중학교 연구대상 비율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 연구대상의 비율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특수학교, 특성화·예술학교, 영재학교, 대안학교 관련 연구 대상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 학위논문 분포는 서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에 집중된 양상을 보인다. 미술교육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선, 학위논문의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연구주제별 학위논문 분포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인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6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연구자들이 학교현장에서 현실적으로 반영 가능한 주제를 주로 선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술교육 심리는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아 교육과정의 방향성이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으로 이어져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연구영역별 학위논문 분포도에서 감상·비평 연구영역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다음은 디자인 교육이었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감상과 비평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돼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은 현실적인 삶과의 연계성이 가능할 수 있도록 미술교육이 방향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 영역과 관련이 깊다고 볼 수 있다. 삶과 연계된 디자인 영역에서 출발하여 공공미술, 공공디자인,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주변 생태환경 미술교육 관련 학위논문으로 확장된 모습을 보인다. 이 같은 학위논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미비한 비율을 보였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단계적 발전을 이루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융합과 진로교육영역 또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디자인, 공공미술과 함께 학위논문 연구에서 중점적인 쟁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시개정 교육과정 시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사회의 발전으로 정책과 교육과정의 변화가 미술교육 학위논문 연구에 다각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의도와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학위논문의 미술교육 연구가 사회적 요구와 환경 변화에 따라 많은 의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있음을 밝혔다. 향후 미술교육의 불균형한 양상을 바로잡고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면밀히 분석하고 꾸준한 연구분석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trend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various theses of art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goal was to analyze and reflect on the theses in art education written during the last decade about the three revised curriculum. One centralized conclusion throughout these Theses was that Education will become more vague and complicated in the future. And,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prediction that the state of education will become more complicated this current trend analysis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resent stat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bring more clarity and balance to art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have learned that past dissert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1) revised 2007 curriculum, 2) the 2009 curriculum and 3) the 2015 curriculum.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was breaking down the curriculum into three periods and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dissertations written about the standards of Art Education. It was apparent through this study that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dissertations were heavily centered on the 7th curriculum (pre-2007).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resources about post 2007 curriculum I have decided to focus on the years from 2007-2019. Secondly, I prioritized my study by using certain keywords in the domestic RISS database. The search terms I focused on we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epartment information as “Art Education”. All dissertations that were not available and papers that did not pertain to art education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Lastly, this Theses analyzes the Trend into differen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further broken down by three revised curriculum periods.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Theses on Art Education starting from 2009. Furthermore, the rate of resear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highest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but the ratio of middle school research subjects was the highest for the first time in 2009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high school research subjec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high school curriculum has risen sharply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t was noticeable that there were few studies done on special schools, specialization art schools, gifted and alternative schools.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ses by research method is concentrated on descrip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various research methods of studies and dissertations are necessary. Fourth, more than 60% of dissertations focused either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research.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researchers mainly select topics that can be realistically reflected at the school site. The art education psychology seems to reflect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fluenced by social change, leading to the overall growth of the students. Finally, in the distribution of Theses by research area, the field of appreciation / criticism was the largest, followed by design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nd critical education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is emphasized and can be seen as a phenomenon that appears to be influenced. The curriculum pursues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real life, which is related to the design field. From the design area linked to daily life, expanding to dissertations related to public art, public design, community art education, and surrounding ecology environment Art Education. This dissertation research showed a small ratio in the revision of the 2007 curriculum, but it seems to be gradually progressing from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Convergence and career education areas are also steadily rising, and they are also a major issue in Thesis research with design and public a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anges in policy and curriculum ar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society in various ways. This study through its analysis of intentions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 shows that art education is impacted by social demands and public environm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note that continuous analysis and research is necessary to correct the flaws in today’s Art Education and shape and develop a better curriculum for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