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Universal design Classes Apply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Empathy : Focusing on Middle school freshman
Authors
구은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niversal design class apply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y. Therefore, the study aims to suggest and design a lesson for all members of the society with a sincere interest in the social underprivileged, and cultivates talented students with ‘Ability to understand, respect, consider and cooperate with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Ministry of Education, 2015)’by enabling them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actively in art activities. In the content of class, the study enabled students to design the creative design for everyone based on consideration of design class related to thei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others in daily life.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all of the members interact positivel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in this process, the study put an emphasi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so that they can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each one's ro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ctivities of sharing opinions and discussing the opinions of the other party, the study has arranged a process to coordinate the opinions and carry out the common goal.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niversal design and empathy discussed in Korea and abroad, and identified the theory of the necessity of empathy ability. Second,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lesson was analyzed through analyzing textbook and 2015 revised version of art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which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t the school site, and a universal design class using LT cooperative learning was designed. Third,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empathy ability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universal design class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on the empathy abilit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as the ver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by Davis (1980), which was adapted and revised by Kim Seong Eun(1997). Two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having 32 stu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tiliz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universal design class with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activity without apply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Fourth, SPSS WIN 20.0v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fter the class treat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In addi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lass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athy ability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changes of the sub-factors of empathy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area of viewpoint taking, empathic attention, personal agony, imagination, whereas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Thir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better evaluation on averag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bility to cooperat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class, as well as its satisfaction level was also high. Comprehensive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ubfactor of the statistical results about the empath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as shown by improving the post-averaging mean,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results for the lessons,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class were also verified to be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universal design class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empathy.;본 연구는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갖고 사회구성원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하는 수업을 구성하여,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미술 활동에 참여하면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교육부, 2015)’을 함양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수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업의 내용 면에서는 생활 속에서의 타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에 관련한 디자인 수업으로 배려하는 마음을 기반으로 하는 모두를 위한 창의적인 디자인을 하도록 고안하였다. 수업의 방법 면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구성원 모두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그 과정 속에서 개인의 책무성에 비중을 두어 각자의 맡은 역할에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고, 철저한 역할분담과 과제분담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의견을 나누고 토의하는 상호 협력적인 활동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자세를 가지고 함께 의견을 조율하여 공동의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논의되고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공감에 대한 개념과 관계성 및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공감능력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2015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을 연구·설계하였다. 셋째,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감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는 데이비스(Davis, 1980)의 『성인용 대인관계 반응척도(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 IRI)』를 김성은(1997)이 중학생용으로 번안·수정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의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 32명, 통제집단 32명으로 총 64명을 선정하여 공감능력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변인은 LT협동학습 모형이며, 실험집단에는 LT협동학습 모형이 적용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LT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소집단 모둠활동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넷째, 수업 처치 후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WIN 20.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 결과를 토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결과물의 질적 분석 내용과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후 두 집단 간 공감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공감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개인적 고통,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 상상하기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무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업 결과물을 질적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적으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실험집단은 수업에서의 구성원들 간의 협력 및 상호 소통하는 능력이 더 높았으며 수업의 흥미도와 만족도 또한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통계 결과값은 공감능력의 전체 하위 영역의 사전 대비 사후평균이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업의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 및 수업의 흥미도와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수업이 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