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4 Download: 0

남녀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에 미치는 영향

Title
남녀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on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황아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는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 가족관과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셋째,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 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전국의 고등학생 207명(남 102명, 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정현숙, 2001)에 기초하여 전영주(2005)가 이성교제 관계의 질로 수정, 재구성한 것을 원아름(2015)이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성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결혼이미지 측정을 위해 Osgood(1957)의 의미분별 척도를 유가효(1989)가 원용하여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결혼가치관은 미래세대의 결혼·자녀·양성평등에 관한 가치관 조사(학생용)(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의 설문문항 중 결혼에 관한 질문과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에서 미혼 남녀의 결혼 및 출산행태를 묻는 설문문항 중 결혼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와 태도에서 결혼에 관한 견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관은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에서 미혼 남녀의 결혼 및 출산행태를 묻는 설문문항 중 결혼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와 태도에서 가족에 관한 견해에 대한 질문과 입양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 t-test,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는 긍정적 인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은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방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이성교제 관계의 질은 결혼이미지, 가족관에 상관이 있으나, 결혼가치관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이성교제 관계의 질은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 가족관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과 가족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이성교제 관계의 질이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 가족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관계의 질은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 가족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이 이성교제 관계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건강하고 올바른 교제를 통해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성에 따른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가족 중심의 결혼가치관을 강요하기보다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미래세대의 결혼가치관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동거, 입양, 이혼, 재혼, 한부모 가구에 대해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가족으로 제시하는 교육과정상의 내용의 변화를 꾀해야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가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고등학교 인구교육의 내용요소를 구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was to find if there is difference in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effects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on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are set.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Second, what are the correlation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gender?,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on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102 males and 105 females) who have had or currently have date relationship. To identify the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the tool which was modified by Jeon Youngju(2005) from Korean Style Marriage Satisfaction Measurement(Jeong Hyeonsook, 2001) to measure the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and verified by Won Areum(2015) for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Additionally, to measure the marriage image, the tool made by Yoo Gahyo(1989) using the Semantic Scale by Osgood(1957) was used. To measure the marriage value, questions about marriage in the “Survey o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ren and gender equality in future generations (for student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and questions about marriage in general values and attitudes to marriage among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behavior of unmarried men and women from the “Survey on the nationwide fertility and family/health welfare status in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were used. Finally, to measure family value, questions about the family's views on general values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questions about adoption out of the questions asking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behavior of unmarried men and women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4 program and reliability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the review of the tendency of high-school students'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image were positive both in boys and girls,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were open.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boy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n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and marriage image than girls, while girls had franker perception in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than boys. Second, in the correlation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gender, among boys, the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had correlation with marriage image and family value, but it did not have correlation with marriage value. On the other hand, among girls,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had correlation with marriage image,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Third, when reviewing the effects of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on marriage image, and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made effects on marriage image,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in both gend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had correlation with marriage image, marriage value, and family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genders.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which can help them to perceive quality of date relationship positively, compose desirable relationship through healthy and right relationship,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it is time to change the curriculum to present various types of households as a family so that they can accept cohabitation, adoption, divorce, remarriage and single parent household without preoccupations,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marriage value of future generations to seek personal happiness rather than forcing family-centered marriage valu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high school curriculum regarding the population education to respond to the aging society with low birth r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