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실용무용전공 학생들의 현대무용 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

Title
실용무용전공 학생들의 현대무용 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s in the Physical Self-Effectiveness and the Immersion of Practical Dance by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Contemporary Dance Class
Authors
한선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은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due to the participation of practical dance major students in the modern dance class. This study will also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actical dance curriculum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This study will als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hysical self.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frequency of participants in modern dance clas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20 practical dance students from first grade to fourth grade attending 4 year colleges in Seoul, Gyeongsangbuk - do and Chungcheongnam - do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wards, 3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ones with missing and false answe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dance students,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 - efficacy and dance commitment was found to be on average, slightly higher in males than that of females. In terms of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grade and career, the higher the grade and career, the higher the physical self - efficac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maj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participation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participation in contemporary dance classes, it was found that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contemporary dance classe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frequency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modern dance class. Four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in both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odern dance class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modern dance class. In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due to participation in contemporary dance classes of practical dance students. Physical self - efficacy and practical dance commitment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dance group.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practical dance student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course through participating in modern dance class.;본 연구는 실용무용 전공 학생들의 현대무용 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를 규명하고,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변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현대무용 수업 참여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 현대무용 수업 참여자들의 참여 기간, 참여 빈도에 따라서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실용무용 몰입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충청남도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실용무용학과의 1학년부터 4학년 실용무용 전공자 32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누락된 응답,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30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ANOVA(일원변량분산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무용전공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 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평균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과 경력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에서는 학년과 경력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학년과 경력에 따라 무용 몰입에는 유의한 차이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실용무용 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용무용전공 학생들의 현대무용 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무용 수업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실용무용 몰입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대무용 수업 참여 기간과 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 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실용무용 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현대무용 수업 참여경험이 없는 집단과 현대무용수업 참여경험이 있는 집단 모두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실용무용 몰입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실용무용 전공 학생들의 현대무용 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에는 차이가 있었다. 현대무용 수업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실용무용 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대무용 수업 참여를 통해 실용무용 전공 학생들의 효과적인 발전과 교육의 질을 높이고 실용무용 교육과정 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