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무용 숙련도에 따른 은유·명시적 지시형태의 동작학습효과

Title
무용 숙련도에 따른 은유·명시적 지시형태의 동작학습효과
Other Titles
The Difference in Dance Workmanship with metaphorical and explicit commandment type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Movement Learning
Authors
임송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숙련도에 따른 은유적, 명시적 지시형태의 동작학습효과차이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무용동작학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실험은 32명(16명의 초보자: 한국무용사전경험이 없는 여성, 16명의 경험자: 한국무용학습기간이 1년 이상 3년 이하의 여성)으로 한국무용 숙련성이 상이한 20대 여성으로 구성하였고, 학습형태(은유적, 명시적)와 숙련도(초보자, 경험자)별로 네 집단에 8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무용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안무한 한국무용 창작 동작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보자와 경험자의 기술수준별 난이도 설정을 위해 초보자는 3개의 동작, 경험자는 5개의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예비실험 후 사전검사단계, 습득단계, 습득단계 10분경과 후 즉각 파지단계, 그리고 일주일 후 지연파지단계로 실시하였으며 습득단계에서 반복 측정된 집단(2)x시행분단(8)과 파지단계에서 반복 측정된 집단(2)x시행분단(2)의 요인설계하에서 이루어졌다. 동작수행에 대한 평가는 한국무용전문가 3인으로 구성된 평가자에게 비디오 자료를 분석한 후 동작수행평가지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그 목적에 따라 독립 t-검정, 반복측정 이원 변량분석(two-way ANOVE with repeated- measures), 사후검증(Bonferroni), 급내 상관계수(ICC)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습득단계에서 초보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험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와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파지단계에서는 초보자 집단에서 분단과 학습형태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와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자가평가에서 초보자 집단은 학습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험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무용동작 수행에서 은유적 학습방법과 명시적 학습방법 모두 초보자 집단과 경험자 집단의 수행에 효과적이었다. 무용동작 학습에 있어서는 초보자 집단은 은유적 방법이 학습을 지속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경험자 집단은 은유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자가평가 만족도에서도 초보자 집단은 은유적 학습 집단이 자가평가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험자 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맞춰 학습방법이 적절히 활용될 때 무용동작학습을 촉진시키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무용지도자들이 학습자의 숙련성에 따른 적절한 학습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며, 그동안 동작시범에 의존해오던 무용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지도방법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무용 연구자들이 효율적인 동작습득을 위하여 운동학습 및 제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과학적으로 접근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a stepping stone for effective dance movement learning by studying the difference in the efficiency of movement learning according to dance workmanship with metaphorical and explicit commandment type. The research consisted of 32 people with diverse workmanship of Korean Dance (16 beginners: without prior knowledge of Korean dance, 16 experienced persons: Korean dance learning period between 1 to 3 years), and was assigned to four groups of 8 according to indicator type (metaphorical, explicit) and level of workmanship (beginner, experienced). The learning assignment was made up of newly created Korean dance movements with the help of dance expert to properly fi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dance movements were consisted of 3 movements for beginners and 5 for the experienced group to set different difficulty levels.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was in the order of: pilot test, preliminary inspection stage, acquisition stage, immediate annihilation stage after 10 minutes of acquisition stage and natural annihilation stage after one week. It was constructed that there are repeatedly measured group during acquisition stage(2) x implementation division and repeatedly measured group during annihilation stage(2) x implementation division. The assessment of performance of action was done by a group of 3 Korean dance experts by analyzing video data and recording on action performance assessment sheet. To analyze the data,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long with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E with repeated-measures, Bonferroni and ICC. As the result of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achieved. First, beginner group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in main effects according to groups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and education method.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forementioned effects. Second, in the annihilation stage, the beginner group displayed difference in effect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ps and education typ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ffects. Third, during self-evaluation, the beginner group did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ducation whil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To sum up, metaphorical education method and explicit education method were both effective in both beginner group and experienced group’s performance. When it came to dance movement education, metaphorical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sustaining education for the beginner group, while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type of education. For self-evaluated satisfaction level, the beginner group taught metaphorically ha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hil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us, when education method is affectively utilized according to the educated’s skill level, dance movement studies can be expedited and it will be effective method. On the same note,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 for dance guides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workmanship of the educated and wishes to aid in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which heavily relied upon movement demonstr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ance researchers to approach effective dance acquirement scientifically by using motor learning and principles of contr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