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사례연구

Title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for the Improvement on the Connection Art Class and Youth Education Programs in Art Museums : Focusing on the Art Club of ‘K’ Middle School
Authors
진미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enter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domestic art education is low in other liberal arts subjects. Therefore, students who do not wish to pursue art major in future ignore the art curriculum, and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s overlook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self-education ability' as a human being from the viewpoint of 'human formation' (Park-Hui Rak, 2003). In the flow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esthetic sensibility,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creative and convergence ability,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are presented as the arts subjectivity.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lso refers to the center of experience-based learner experience. In order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link schools with art museums with space and time constraints. The art museum provides experience that can not be experienced at school through opportunity to experience real art works.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reative and subjective ability to connect the life and the various life of oneself through various visual cultures and expression methods of real art works, without departing from the restriction that the art class in the school should be completed within a fixed time. Therefore,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art museum education is essential and must be deeply rela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existing art museum school-linked education program focuses onl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 program that meets the individual situation of the art museum, and has limitation in applying it to the school. In addition,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about educational programs linked with art museums and schools.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subjects of art museum school-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on students who are the main subjec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the linkage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the teacher in the program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program.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it needs researches and the theme was select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the subject which was related art museum and 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prior research analysis. Second, the researcher examines the relation and necessity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 related education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meaning of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art museum school. Third, the art museums in Korea and overseas are examined theoretically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official websites to understand the types of art museums and schools linked education. Four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arts - school - linked education program from the viewpoint of the participants, a researcher develops an interview paper for students where the school - linked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is carried out. Fifth, the meaning of the museum - school - linked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acilitator, a researcher develops an interview paper for the teacher. Sixth, a researcher conducts a pre-interview for students and a teacher of K-school middle school 'art video appreciation group' where art museum linked school education program is going on. Seventh, a researcher observes a class of K middle school students' club activity. Eighth, the post-interview is conducted for students and a teacher of K middle school 'art video viewing club' where art museum school-related education program is going on. Nint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 are combin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In the tenth, the results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researcher discusses the meaning and improvement plan of the arts education - linked education program in the art museum and dra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tual cooperation among art museums, schools, and the education office of government is necessary. Second, art museum environment and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operator. Third, rel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linked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meaningful that concrete developmen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linked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is derived by integrating each data. A researcher hopes that the data and research results collec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art education including school-linked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that will continue to expand the scale of operation.;입시 중심의 교육 환경에서 국내 미술교육은 기타 교양과목으로서 입지가 낮다. 따라서 진로로 미술 전공을 희망하지 않은 학생들은 미술교과를 외면하고, 미술교육의 의미에 대해서는 간과되는 것이 미술교육의 현실이다. 하지만 미술교육은 ‘인간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인간으로서 ‘자기 교육력’함양이 중요하다(박휘락, 2003). 2015개정 교육과정의 흐름에서도 미술교과 역량으로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능력, 창의‧융합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제시한다. 교수‧학습 방향 역시 역량 기반의 학습자 체험 중심을 주요 사항으로 언급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지닌 학교와 미술관 수업을 연계시켜야 한다. 미술관은 실물 작품 체험 기회를 통하여 학교에서는 체험할 할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한다. 학교 내 미술교육이 일정한 교과 내용을 정해진 시간 내에 이수해야 하는 제한에서 벗어나 실물 작품의 다양한 시각문화와 표현방식을 통해 스스로의 삶과 다양한 삶을 연결시켜 보는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와 미술관 교육의 연계는 필수적이며 서로 깊은 관련성을 맺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은 미술관의 개별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분석 및 개발과 교육에만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학교에서의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 관련 연구도 상당히 미비한 실정이다.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연구 대상을 살펴보면 미술관교육에 대한 학교장, 교사, 학부모의 인식 혹은 만족도 연구들이 많으며 정작 교육 대상인 학생에 대한 연구는 단 1건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참여 학생과 담당 교사의 경험을 통해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의미를 제고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 관련 문헌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주제를 선정한다. 둘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의 관계와 필요성을 짚어본다. 셋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국내와 국외 미술관을 관련 문헌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미술관과 학교에서 실행되는 유형을 파악한다. 넷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미를 참여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지를 개발한다. 다섯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미를 진행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지를 개발한다. 여섯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K중학교 ‘미술영상감상반’동아리 학생과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를 진행한다. 일곱째, K중학교‘미술영상감상반’동아리 학생과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관찰을 실시한다. 여덟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K중학교‘미술영상감상반’동아리 학생과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한다. 아홉째, 인터뷰 및 수업관찰은 종합하여 정성 분석한다. 열째, 정성으로 분석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의미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한 후 결론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한 사례연구에 따른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이해관계자 측면에서 미술관, 학교, 교육청 간에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운영자적 측면에서 미술관 관람 환경 및 학교 교육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제도적 측면에서 교육청과 미술관에서 관련 정책 및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미술관과 학교의 개별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연구의 측면이 아니라 현장성에 초점을 두고 실제 사례를 참여관찰하고 참여 학생과 교사의 경험 변화에 대해 사전, 사후 심층면담을 질적 결과로 분석하여 각각의 자료를 종합하여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와 연구 결과가 앞으로도 운영 규모를 지속·확대해 갈 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학교예술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