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시각예술가들이 인식한 평생교육요구로서의 예술역량 분석

Title
시각예술가들이 인식한 평생교육요구로서의 예술역량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Art Competence as a Lifelong Education Needs Recognized by Visual Artists
Authors
박안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예술분야에서 핵심예술역량과 그 개발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최근 평생교육에서 개인의 행복한 삶을 다루는 교육의 기획 중 하나로 예술교육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예술교육은 내용이나 방법 등 실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심미감과 행복감 증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는 회의적이다.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어떠한 교육목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예술과 삶의 결함, 그리고 이를 통한 개인과 사회의 질적인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예술교육을 통해 미적인 경험을 해보고, 개인의 창조성을 발휘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것은 개인과 사회의 성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심미적 자질 함양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평생교육 범주 안에서 이루어지는 시각예술프로그램의 교육설계와 실천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예술역량을 시각예술가들에 의해 축적된 경험과 인식의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예술역량은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교육 기획과 실천에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시각예술가들이 실제 예술활동을 통해 발휘 하고 있는 예술역량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둘째,‘예술가들이 발휘한 예술역량 중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핵심예술역량과 개발방법은 무엇 인가?’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면담과 관찰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장에서 예술활동을 하는 시각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어떠한 예술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 면담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핵심적인 예술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예술핵심역량을 어떻게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지에 대한 예술가들의 제안을 토대로 예술역량 개발방안을 탐구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과 예술역량모델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 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인 예술가들을 통해서 사전면담과 심층면담 직접 관찰 등을 진행하였다. 둘째, 수집한 자료를 집중 분석하고 범주화하여 예술역량 목록 초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전문가그룹을 선정하여 행동사건면담법(BEI)과 간편 델파이기법 등을 활용하여 예술역량목록을 확정하고 교육요구로서의 예술핵심역량을 선별하였다. 끝으로 표적집단면접법(FGI)과 개별면담을 통해 예술교육의 방향과 예술핵심역량의 개발방법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시각예술영역의 예술역량으로 크게 4개의 역량군 (자기이해역량군, 구상/표현역량군, 전달역량군, 공통역량군)과 그 하위역량으로 17개의 예술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1)자기이해역량군에는 자아존중, 맥락파악, 자기개발로 3개의 역량이 있었고, 2)구상/표현역량군에는 개념구성, 표현기술, 창의적 표현으로 3개의 역량이 있었다. 3)전달역량군에는 관람객 이해, 프리젠테이션 및 큐레이션(presentation and curation), 소통, 예술환경 이해로 4개의 역량이 있었고, 4)공통역량군에는 목표지향,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전문지식, 직업의식, 안전지향, 호기심으로 7개의 역량이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는 5개의 핵심예술역량과 3개의 중요예술역량이 도출되었다. 전문가그룹을 통해 도출한 시각예술영역의 핵심예술역량은 자기개발, 개념구성, 표현기술, 비판적 사고, 호기심이 도출되었고, 중요예술역량으로는 맥락파악, 창의적 표현, 전문지식이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교육요구와 교육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개발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의 주도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방법과 환경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개념구성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예술 작품의 본질적 의미와 예술가의 의도를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이해한 바를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표현기술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의도한 예술작품을 실제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재료나 도구, 기법 등의 습득과 시행착오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기법을 완성하고 자신의 작품에 적용해 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비판적 사고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선입견 혹은 습관의 함정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도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호기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흥미와 관심사를 살피고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idea that art education takes an important role in fulfilling individual happiness as well as social demands in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and programs of art education need to be re-examined in order to improve social as well as personal progress, and to seek alternatives plans to combine art and life. Through art education and artistic experiences, an individual can develop one’s ability to create, express, communicate and harmonize, which enables growth of society and persona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value of artistic competencies in visual arts programs, which supports planning and actualizing the visual art education programs further with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t can also contribute to developing more effective plans and practices in the field of visual art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accomplished to discover what kinds of artistic competencies professional visual artists need. As this could suggest the artists’ ideas, the results of the survey enables investigation into how to cultivate key artistic competenc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artistic competencies that the visual artists actualize in their art works? Second, what are the most important key artistic competencies and developing methods which the artists displayed? The research methods used are as follows. After studying the models of artistic competencies and other research, the art competency list is composed based on observation method and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Competency list is confirmed with the use of BEI: Behavior Event Interview and Delphi method, which were applied to the expert group selected. Furthermore, key artistic competencies were sorted. Also, ideas on education plans about the ways of art/competency edu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The main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 visual art, four major (Foundational competency group, Designing/Expression competency group, Interactive competency group, General competency group) and 17 minor artistic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 detail, there are three types: self-esteem, understanding context, self-development in (1) Foundational competency group, the other three types: concept making, technical skill, creative expression in (2) Designing/Expression competency group. There are four types: understanding visitors, presenting and curating,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rt-environment in (3) Interactive competency group, and the other seven types: goal-oriented,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 knowledge, occupational consciousness, safety awareness, curiosity, in (4) General competency group.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re are five key artist competencies - Self-development, concept making, technical skill, critical thinking, curiosity - and three main art competencies - understanding context, creative expression, professional knowledge application - are obtained from examining the professional visual artists group. Therefore, required progra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art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method and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learner’s autonomy and to improve self-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in order to improve Designing/Expression competency, education programs should support understanding the core meaning of arts/artists and expressing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with the learner’s own way. Third, to improve technical skill competency, it is important to train oneself and practice using materials or tools and to actualise various technics in depth so that the learner can discover one’s own way and experiences. Forth, to foster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should help the learner to overcome one’s prejudice or repetitive faults and examine oneself reasonably. Fifth, to cultivate curiosity competency,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learner’s personal interests and features, and create the circumstances to encourage one’s problem solving capacity. This research has certain limitations to generalize or expand the results to general art education, as it is arranged as qualitative research. Thus, it will be supported by follow-up research with quantitative research as well as qualitativ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