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on High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uthors
정소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오늘날 우리는 수많은 이미지에 노출되며 일상 속에서 다양한 시각문화를 접하고 이를 통해 소통하며 살아간다. 특히 오늘날 청소년들은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 디지털 언어를 구사하는 원어민으로 '디지털 네이티브'라 불릴 만큼 이전 세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정보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언어를 구사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미디어가 있다. 그러나 미디어는 투명한 창을 제공하지 않고, 이미지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며 세상을 다르게 재현하여 소통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이렇듯 미디어는 세상을 바라보는 선택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에서 전달하는 정보는 재현된 2차적 생산물로 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수용하는 ‘비판적 사고 성향’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배경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핵심 역량으로 ‘지식 정보 처리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적 소통 능력’을 교과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러한 맥락에서 미술교과에서 시각문화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하는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하지만 2015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시각문화 단원은 아직까지 시각문화의 역할과 가치를 알아보는 내용과 이를 활용하여 표현하는 활동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시각문화에 반영된 사고방식과 생활양식, 문화, 가치, 관습 등은 더 확장되고 끊임없이 변화되어 새로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비평과 제작이 공존하는 시각 문화 미술수업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교육의 내용이 표현활동 중심이 아니라 제작과 비평 활동으로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 구성되어야 한다. 비평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은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켜 시각문화를 객관적으로 읽어내고 해석할 수 있게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 내린 판단과 판단 과정 중에 사용된 서로 다른 기준에 대해서 성찰해 보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미술 교과 내의 시각문화 비평능력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계획과 실행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G고등학교의 미술 동아리의 1학년부터 3학년의 학생 1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펠드먼의 비평 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을 총 6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김명숙(2002)이 개발한‘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를 수업 사전·사후에 진행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비평문에 대한 평가도구로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영역의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판적 사고 성향의 측정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업의 결과문인 비평문 및 수업만족도 평가를 통하여 질적 서술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업 전과 수업 후를 비교하였을 때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이 더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각 하위 영역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증진에 효과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수업의 비평문 평가 ‘상’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평문을 분석한 결과, 펠드먼의 비평단계 중 기술과 분석단계에서 시각문화를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고 검증해보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유의미한 정보를 분별하고 구성해나가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주체적인 가치판단을 거친 비평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수업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시각문화 영상을 기술, 분석, 해석, 판단의 4단계를 거치며 체계적으로 보는 과정과 이에 대한 모둠원의 각기 다른 해석을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비평에 대한 흥미를 유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스터 제작 활동을 통해 비평과 제작 활동의 연계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였고 자기 주도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판단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평을 반영하여 표현활동을 하는 등 비평과 제작을 상호작용의 관계로 보는 시각을 길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하여 시각문화를 비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시각문화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스스로 유의미한 정보를 찾아 재구성하여 비평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시각문화의 미적 가치와 사회적 이슈를 함께 탐구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평 모형이 분석되고 활용되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시각문화를 올바르게 바라보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Today, we are exposed to countless number of images, experience diverse visual culture in daily life, and communicate these experiences. In particular, teenagers are called as 'digital natives' - people who speak digital language through computer and smartphone - who think and process information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compared to previous generations. Members of the modern society speak various digital languages and media is at the center of this phenomenon. However, media do not provide transparent window and provide the channel so that images are transmitted indirectly and communicated in the way that the world is reproduced differently. In that sense, media offer selective standpoints of viewing the world. Thus,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in media, which are secondary reproduced products, it is essential to have critical thinking tendency based on critical interpretation and accommodation. Based on such a social backgrou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ugges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s its key competency and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is suggested as a curriculum competency in the art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In this context, the contents which critically interpret and utilize the meaning of visual culture have to encompassed in the art curriculum.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most visual culture units are comprised of the role of visual culture,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and the activities of expressing visual culture. However, way of thinking, lifestyle, culture, value, and customs reflected in visual culture are being expanded and renewed. Thus, the ability to properly interpret and make criticisms toward it is required. This is why visual culture art classes in which criticism and production coexist are necessary. This is why art classes should be comprised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criticizing activities and not focus on expression activities.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criticism model can suggest directions for students to objectively understand and interpret visual culture by improving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and help them think about decisions made by themselves and different standards used in judging process. Therefore,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have to be planned and implemented to promote visual culture criticizing ability within the art curriculum. In this l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effects of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on high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Thus, this study conducted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for six sessions targeting 15 high school students in an art club at G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research classes influenc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critical thinking tendency test' developed by Kim Myung-sook (2002)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Assessment tool toward reviews was used after referring to accomplishment standard and achievement level in high school art curriculum domai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en it came to data processing, the measured results of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program. Conclusion was derived after analyzing qualitative descriptions through reviews and class satisfaction assessmen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clas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inc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matching samples t-test to identify pretest and posttest changes with regard to respective subordinate domains in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it has been found that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had positive influence on respective subordinate domains of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Consequentl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were effective in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view by a student who had submitted a high-grade review, the student distinguished and organized significant information by objectively observing visual culture, exploring relevant information, and verifying information in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stage out of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The criticism contents which went through subjective value judgment by students were discovered based on it.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class satisfaction survey filled out by the student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nterest toward criticism was aroused through systematic process and the activity of sharing respective interpretations by group members after going through four stages -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 regarding visual culture video. Furthermore, interest toward connecting criticism and production activities was aroused through poster making activity 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students have become able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 self-directed attitude.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that the classes nurture the view to see criticism and production as interacting relationship when seeing that they participated in expression activities after reflecting criticism.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visual culture after applying the criticism stages by Feldman, it has been found that students made improvements in the ability of objectively observing visual culture and making criticisms after reorganizing significant information. Therefore, diverse criticism models have to be analyzed and utilized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naturally explore aesthetic values and social issues of visual culture and critically interpret them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suggesting directions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look at and utilize visual culture should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