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현대미술 비평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현대미술 비평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es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High School Second Graders
Authors
이하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다양한 정보와 이미지들과 마주친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해석 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이 요구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력은 미술교육에서 감상영역과 비평수업의 과정을 통해 길러질 수 있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기호, 2013).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은 우리나라에서 2011년에 이르러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김형숙, 2015).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과목으로 진로선택에서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이 신설되면서 미술 교육에서 비평 수업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을 위해서 다양한 미술 비평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편, 현대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여 다양성과 다원화된 사회를 반영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예술가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여 과거의 미술과 대중문화 등을 차용하여 재해석하는 역할로 예술가를 바라본다. 미술비평교육에서는 이러한 현대미술의 특징을 반영하는 비평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해준다. 그리고 미술작품에 대해 토론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작품 비평과 토론활동을 통해서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비평수업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비평한 작품들을 활용하여 모의전시를 기획하는 표현활동을 연계시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 비평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각각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과 현대미술, 그리고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미술과목의 감상 및 비평영역과 제시된 현대미술 작품을 분석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차용의 방법을 활용한 헌대미술 작품을 대상으로 총 7 차시의 비평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Y고등학교 2학년 학생 18명을 선정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숙(2006)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도구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업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시행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검사지를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업 과정에서 나온 비평 활동지와 실기결과물, 수집된 수업 만족도 조사와 인터뷰, 관찰일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서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를 비교해볼 때, 비판적 사고성향과 그 하위영역의 평균이 증가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비판적 사고성향에 있어서 사전검사에서 사후 검사로 그 평균이 0.15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성향의 8개 하위영역 중에서는 ‘진실에 대한 가치 지향’, ‘사고의 신중성’, ‘사고의 공정성 및 독립성’, ‘사고의 자기규제성’의 4가지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수업 중에 수집된 비평 활동지와 실기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함을 통해서 현대미술 비평수업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지를 차용한 현대미술 작품을 원작과 비교하고, 앤더슨과 밀브란트(2007)의 비평단계에 따라 비평하며, 논란이 되는 작품에 대해 토론하고 모의전시를 기획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었으며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비평 활동에 대한 흥미를 보였다. 셋째, 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와 학생들의 소감,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함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태도에 더하여 미술 비평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이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현대미술 비평수업은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미술비평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였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In a changing society, we encounter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In today’s society,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logically analyze and interpret these data is required.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in art education, and it is known to be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tendency (Choi gi-ho, 2013).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are being discussed in earnest in Korea in 2011 (Kim Hyong-sook, 2015).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ourse has been added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a variety of art criticism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needed to live in the 21st century life. Contemporary art,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by postmodernism and diversity and diversified society. In addition, the viewpoint of the artist is changed, and the artist looks at the role of reinterpreting and interpreting the past art and popular culture. In art critic education, criticism clas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allows students to view their wo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analyzing art works,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raised.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study designed the class which can positively affect critical thinking tendency through art criticism and discuss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y conducted a series of expressive activities to plan a mock exhibition using criticized wor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the sub-areas of high school second grader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ppreciation and critical education, contemporary art, and critical thinking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mment and criticism area of ​​the high school art course of the revised art curriculum of the 2015 revision and the contemporary art work presented. After that, I developed an art criticism program of 7 times in total using art works Which take the method of “borrow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students of Y high school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measur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test' tool developed by Kim, Myung-Sook (2006) was reconstructed and utiliz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e conducted a pre- and post-test and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qualitative activities, practical results, collected class satisfaction survey, interviews and observation lo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the average of the sub-domains increased w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with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 of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was increased by 0.15 from the pre-test to the post-t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mong the eight sub-domains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four sub-domains: 'value orientation toward truth', 'thoughtfulness of thought', 'fairness and independence of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accidents' It looked. Secon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activities and the results of the criticism collected during the class, it was discovered that contemporary art criticism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Comparing contemporary art works borrowing images from the original works, criticizing them in the critical stages of Anderson and Millbrant (2007), discussing controversial works and planning mock exhibitions,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lass. Third, by analyzing satisfaction surveys, students’ impression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it was found that they positively influenced the attitude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interest in art criticism cla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riticism program of contemporary art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the second graders of high school. And it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because it raised interest in art criticism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