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중년기 여성의 미술 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중년기 여성의 미술 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Middle-Aged Female Art Learners : Centered on Self-Efficacy
Authors
박세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본 연구 주제에 관한 관심은, 인생의 전환적 시기에 있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미술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외부를 향했던 에너지가 내부를 향하는 시기인 중년기에는 그동안 억압되었던 자아의 인식을 고취시키는 ‘교육적’ 관심이 필요하지만, 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미술이 가진 시각적 이미지의 표출이라는 창조적 기능이 중년기 여성이 겪는 자아의 혼란을 극복하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미술 학습은 삶의 긍정적인 면을 계발하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한 중년기 여성들은, 미술 학습을 통해 내면의 경치를 탐색하는 데(Eisner, 2002)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고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독립성과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 미술 활동 과정에서 삶을 되돌아보며 스스로 가치를 찾고,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 해소를 통해 중년기 여성들은 시기적 특성에 기인한 우울 수준을 낮추고 평온감과 만족감, 행복감 등 정서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연구자는 중년기 여성이 직면한 어려움을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기반으로 자기 효능감 이론을 함께 제시한다. 학자 반두라(Bandura, 1997)는 정신 건강을 위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자기 효능감’을 통해 삶이 질적으로 혁신되고 새롭게 거듭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자기 효능감’이 중년기 여성이 직면한 정서적 위기와 고난을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자는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고 중년기 여성의 학습 과정 및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 학습이 중년기 여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반두라가 고안한 자기 효능감의 형성 근원인 성공 경험,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정서적 상태를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년기 여성 3인으로,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4차시에 해당하는 자기 효능감 미술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직접 진행하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대표적 방식인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선정하여, 현장 참여 관찰 및 심층 면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자 월코트(Wolcott)의 연구 절차를 따라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현장 참여 관찰 과정에서는 참여자들의 작품 완성 과정과 참여 태도, 감정 등을 읽어내려 하였으며 매 수업 녹음하여 수업 직후 전사를 하였고, 녹음된 내용 외에도 관찰 가능했던 특정한 비언어적인 부분들을 함께 기록하고자 하였으며 수업 시간에 완성한 작품은 사진으로 찍어 자료화하였다. 모든 수업 종료 후에는 1회 미술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하여 구조화된 문항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참여 관찰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와 함께 사용하여,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개방코딩작업을 통해 하위 범주 및 상위 범주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고 공통된 주제를 탐색하여 분석 및 해석하였다.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1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위 범주 ‘자아 인식’에 따른 하위 범주로는 ‘자기 발견’, ‘자기 인식’, 상위 범주 ‘중년 인지’에 따른 하위 범주는 ‘중년의 우울감과 극복 의지’, ‘노화 인지 및 수용’, ‘공감과 위로’로 범주화되었다. 상위 범주 ‘만족감과 성취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몰입의 즐거움’과 ‘성취의 즐거움’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상위 범주 ‘자기 효능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격려로 인한 자기 효능감’, ‘학습에 대한 의지’, ‘자신감’, ‘긍정적인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였던 중년 여성 학습자들은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스스로에 대해 고찰해보는 시간을 가졌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추구하는 ‘나만의 영역’을 형성하였다. 내면을 돌아보고 자신을 이해하는 기회를 얻고 나아가 인생의 전환적 시기에서 새로운 자아를 맞이하는 기회를 얻었으며 삶의 능동적 주체임을 다시금 깨닫고 새로운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중년 여성 학습자들은 미술 학습 과정에서 작품 완성에 도달하는 성취감을 매 회 경험하며 자신감을 얻었다. 재료를 편하게 다룰 수 없던 초반에는 그림의 소재로 다양한 것들이 주어졌을 때 가장 ‘그리기 쉬운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회차를 거듭하면서 도구 사용에 익숙해지고,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성취해내는 반복적인 경험을 한 후에는 점차 배운 지식을 응용하고 사고하게 되었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제도 ‘해보고 싶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관한 믿음인 자기 효능감으로의 확장으로 연결되었다. 미술 학습이라는 구체적 상황에서 발휘된 자신감과 확신은, 그들이 마주하는 높은 난이도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년기’, ‘엄마’, ‘딸’, ‘주부’, ‘미술’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의 긍정적인 피드백, 공감과 격려를 통해, ‘나만 힘든 것이 아니다’, ‘서툴러도 괜찮다’라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위로를 받으면서 점점 더 자신 있게 내면을 드러내는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중년 여성들은 중년기라는 시기적 특성에서 오는 우울감을 겪고 있긴 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싶은 강한 의지로 미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삶을 되돌아보고 이해 및 수용하는 과정을 거쳐, 미술 학습을 통한 반복적인 성취를 경험하고, 자신의 가능성을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다르면서도 같은 상황에 있는 동료 참여자들의 깊은 공감과 격려로 힘을 얻고 나아가 편안하게 자아를 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술 교육 학계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중년 여성의 미술 학습을 질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주목할 만한 주제와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중년기를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이 주체가 되는, 시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Interest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began with awareness of the need for art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in a transitional period of their lives. Whil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attention for them, there is little research in academia. I believe that the creative function of expressing visual images of art can be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 chaos of self-image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In the course of their art learning, they can look back on their lives and find values for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emotional stability by relieving their desire to express them. Furthermore, I present the theory of self-efficacy as the basis for actively solv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middle-aged women. The scholar Bandura suggests that life can be qualitatively innovative and renewed through ‘self-efficacy’,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for mental health. This means that ‘self-efficacy’ can serve as a basis for overcoming the emotional crisis and hardships faced by middle-aged women and moving toward new hope. Therefore, I designed and conducted art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self-efficacy and looked at the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ree middle-aged women, who devised and conducted a self-efficacy art program for a total of 24 hours from March to May 2019, and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which is representativ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nd various forms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Then they are analyzed in stage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study procedure of the scholar Wolcott.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into subcategories and upper categories by open-coding and analyzing and interpreting common themes, a total of four higher categories and 11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categorization is as follows. Upper category ‘self-awareness' was categorized as ‘self-discovery' and ‘self-awareness'. Upper category ‘mid-life awareness' was categorized as ‘mid-life depression and willingness to overcome', ‘aging awareness and acceptance' and ‘sympathy and consolation'. Upper category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was categorized as ‘pleasure of immersion' and ‘joy of achievement'. And upper category ‘self-efficacy' was categorized as ‘self-efficacy due to isolation', ‘determination on learning', ‘confidence' and ‘positive chang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female learners, who wer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d time to think about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an art program that considered self-efficacy, formed the ‘area of themselves' that they sought. They looked at their own mind and understanded themselves, and further, to greet a new self in a transitional period of their life, to realize once again that they are active players in life and express their willingness to actively embrace new changes. Second, middle-aged female learners gained confidence by experiencing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reaches the completion of their work in the course of art learning every step of the way. In the beginning they tended to choose the most 'easy to draw' when they were given various objects and materials, but after experiences of successfully accomplishing a given task, they gradually applied and thought of the knowledge they had learned. They also expressed confidence for a relatively high level of task. Finally, research participants with the common points of "mid-life", "mother", "daughter", "housewife" and "art" showed changes that showed themselves more and more confidently, with each other's positive feedback, empathy and encourag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In summing up this conclusion, middle-aged women are in the process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art learning with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depression that comes from their middle-aged nature, and finding new egos. Through an art program that considere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repeated achievements through art learning, and reaffirmed their potential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back, understanding and accepting life.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learning, he experienced a profound empathy and encouragement from fellow participants in different and same situations, and, by extension, a relaxed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remarkable topic and implications by qualitatively exploring art learning by middle-aged women, who have not been seen as a subject of study in art, education, and academia. In subsequent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art education will be expand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iming characteristics of adults of different ages, including the middle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