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Title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Other Titles
A Need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In-service Training Contents for Instructor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uthors
권지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사회 문화적 문제의 해결책이자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화 복지의 한 측면으로 자리 잡았다. 문화예술교육은 한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성장하도록 돕고 개인이 자신의 삶을 넘어 사회와 소통하고, 타인과 만나 조화로운 삶을 이루게 한다. 모든 사람은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그리고 그 누구도 이 권리에서 차별받거나 배재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은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제정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교육과정은 오히려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추세이다.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예술강사의 전문성은 단순히 예술강사의 경험에만 의존할 수 없다.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 장애인 교육대상자를 만나야 하는 예술강사가 느끼는 당혹감과 어려움은 예술강사가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을 회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은 현재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예술강사를 위한 연수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연수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적합한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107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수교육 요구를 다음의 7개 영역에 대한 응답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1) 장애이해와 장애인에 대한 기본 태도; (2)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3) 장애 특성을 고려한 교수방법; (4) 수업 중 발생하는 수업 방해 행동 및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5) 교과 및 직업 연계 방법; (6) 실습 및 수업현장 참관; (7) 관련법의 이해. 질문지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관련 워크샵과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자 및 예술강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서면 질문지와 모바일 질문지가 동시에 배부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는 총 117부로 이 중 응답이 불성실 하거나 연구 대상자가 아닌 사람의 응답 10부를 제외하고 10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절차는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처리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위한 연수교육 요구의 개관과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위한 연수교육의 7개 영역별 요구를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변경변인에 따른 연수교육 요구의 차이를 전공분에 따른 차이는 빈도분석을 통한 우선순위를 살펴보는 것으로, 예술강사의 활동 경력 및 교육대상자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t 검정을 실시하여 각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들은 모든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장애이해와 장애인에 대한 기본 태도’, ‘장애 특성을 고려한 교수방법’, ‘수업 중 발생하는 수업 방해 행동 및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등에 대한 교육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둘째,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연수교육 요구는 예술강사의 전공분야나 활동경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육대상자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수교육 내용요구를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직접 조사했다는 의미를 지니며, 연구 결과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위한 실제적인 연수교육 교육과정 내용 구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Culture and art education today has been established as a solution for socio-cultural issues as well as one aspect of inevitable cultural welfar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Culture and art education helps individuals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life, communicate with the society beyond personal life, and balance with other people’s life. Everyone has a right to have good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No one has to be discriminated or excluded from such right.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has been consistently developed since enactment of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in 2005. However, training cours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end to be reduced or disappeared. Professionalis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just lean on experiences of the instructors. Embarrassment and difficulty felt by the instructors who have to fac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ithout knowledge specialized in disability, make them avoid involving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espite unmet needs, no training course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stablished and there is lack of study on training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 instru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raining need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raining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raining needs via 7-domain questionnaire as below in 107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over the country: (1)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basic attitude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3) teaching method that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4) behaviors interrupting class and countermeasures to emergency; (5) method to connect curriculum to occupation; (6) practical training and class visiting; and (7) understanding of relevant law.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s hard copy or via online at the same time to culture and art training workshop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ente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online communities for in-charge pers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rt instructors. Among total 117 copies of questionnaire returned, 107 copies were used in analysis except 10 copies with responses by non-study subjects. All statistics of this study were processed using SPSS 25.0 and included the following topics: 1. Overview of training need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7-domain requirem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raining for instructors of the disabled were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2. Differences in training needs betwee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by specialty and career of the instructor/age of education target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High demands for training over all domains were found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articularly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basic attitude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eaching method that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nd ‘behaviors interrupting class and countermeasures to emergency’. 2. Difference in training needs betwee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by specialty or career was not found, bu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of education targe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that training curriculum for professionalis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s directly investigated among the instructors and that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tilized in organizing actual training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