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직업준비도와 비장애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친 영향

Title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직업준비도와 비장애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친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ased Cafe Activity Club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Vocational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 Social Distance of Peer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한상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지적장애 학생이 고등학교 졸업 후 독립된 사회구성원으로서 안정된 삶을 영위하고 지역사회로 의미 있게 통합되기 위해서는 직업을 갖고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직업교육에 대한 성과는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지적장애 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 후 고용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직업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비장애인과 함께하는 직업 경험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앞으로 직업 환경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에 실제 고용을 준비하는데 최선의 실제이다. 본 연구는 카페운영에 창업교육 요소인 창업 이해, 창업계획, 창업 활동을 넣은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을 통해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 직업준비도, 비장애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등학교 지적장애 여학생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과 실험집단 비장애 여학생 14명이다. 실험집단 지적장애 학생 10명과 비장애 학생 14명은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 교실 수업 9회기(1회기 당 100분)와 카페운영 현장실습 모둠별 4회기(1회기 당 60분)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 직업준비도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와 비장애 학생의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지적장애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 사전-사후 변화에 있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결정 효능감 하위 영역인 문제해결, 미래계획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목표선택, 직업정보 영역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지적장애 학생의 사전-사후 직업준비도 변화 점수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직업준비도 하위 영역인 자존감, 사회기술, 직업 관련 기술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향상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일생생활기술, 인지기술, 직업의식, 작업기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비장애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사전-사후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회적 거리감 하위 영역인 사회적 의지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지식, 접촉, 정서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 기반 카페 통합동아리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직업준비도, 비장애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을 기반으로 한 직업교육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체계적인 직업교육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n order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ive a quality life and participate in communities after graduation from high schools, the students need to have and keep jobs. However, achie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re not so satisfactory. Therefore, in order systematic and structured vocational education is essential to promote transition to employ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job experience in integrated job-settings is the best practice to prepare them for 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ased cafe activity club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vocational readi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 social distance of peer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wenty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10 student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students of a control group) and 14 peer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4 peers took part in 9 classroom sessions(100 minutes per session) where they were instructed on new information and skills related to the cafe management. Also, four sessions(60 minutes per session) were combined with classroom instruction to give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 skills in a cafe environment.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ased cafe activity club.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career decision efficacy compared to a control group. In particular,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problem-solving and future planning that were sub-domains of career decision efficacy.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oal selection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Seco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vocational readines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ed in self-esteem, social skills, and vocational skills that were sub-domains of vocational readines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rdinary life skills, cognitive skills,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test-posttest changes of social distance of peer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will, which was a sub-domain of social dista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tact, knowledge, and emotions. As shown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ased cafe activity club positively affects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vocational read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of peer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isabled students. Those findings suggest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based vocational training can be one of approaches on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settings. In addition, this study ha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d a guideline for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ystematic vocational education in which both high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participate toge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