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reat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2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97-
dc.description.abstract연구에서는 여성 암 환자의 수술 이후 불안감소를 목적으로 시각적 심상중심 음악감상 심리치료를 시행하고 변화된 불안의 심상의 내용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S 대학병원 여성 암 외래환자 3명으로, 주 1회씩 총 5회기 개별 세션이 제공되었다. 시각적 심상중심 음악감상은 지지적 자원 심상 형성에 도움을 주는 음악심상기법(Supportive Music and Imagery, 이하 SMI)의 원리를 적용하여 준비하기, 불안대처 심상 초청하기, 선곡하기, 호흡 & 이완, 음악감상 & 그리기, 맺음의 6단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음악중재전문가(Korean Certified Music Therapist, 이하 KCMT) 4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은 16곡의 음악을 선곡하여, 이 중에서 회기별 프로그램 진행 시 참여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감상 음악을 선택하였다. 음악감상 후 심상의 내용과 의미 분석을 위해 참여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녹음, 녹취하여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심상에서의 불안감소 과정과 음악을 통한 불안감소 과정에 대한 의미를 회기별로 서술하여 불안감소에 음악과 심상의 역할을 탐색할 수 있도록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암 환자들은 감상을 통해 변화된 불안대처 심상이 형성되었다. 그 내용으로는‘특정 대상에 대한 이미지’,‘특정 장소에 대한 이미지’,‘불안의 감정을 표현한 이미지’이다. 그 중 특정 대상인 ‘가족’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암 치료과정에서 불안감소를 위해 지지자원으로 자녀를 떠올리며, ‘모성애’를 인식하는 경험으로써 의미가 있다. 둘째, 여성 암 환자들은 시각적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으로 불안을 인식, 수용, 안전하게 표출하는 과정으로 대처자원으로써의 심상을 사용하였다. 시각의 확장을 통해 암 치료과정에서의 회복의 동기, 긍정적 신체 상(body image)과 편안한 마음을 경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이는 음악의 선율, 음색, 빠르기, 다이내믹, 리듬과 같은 다양한 음악 요소들이 여성 암 환자들의 불안 정서를 반영함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의 정서적 교감은 음악과의 공감을 통해 지지자원으로써 사용되었다. 그중 리듬은 참여자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유도하여 긍정적 에너지를 경험하도록 하며, 선율은 감정정화와 불안을 감소하도록 유도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결론은 여성 암 환자들이 치료의 과정에서 불안이 감소하도록 음악과 심상 활용이 대처자원으로써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A visual imagery focused music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to reduce post-operative anxiety in female cancer outpatient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imageries and subjective meanings related to anxiety during music listening. Three female cancer outpatients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a total of five individual weekly sessions. The visual imagery focused music intervention program applied the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SMI) techniques that help clients to build supportive resources. Each session was carried out in six stages, i.e. check-in; recall imageries related to coping with anxiety; music selection; breathing and relaxation; music listening and drawing imageries; and closing. 16 music pieces, verified by four Korean certified music therapists, were selected prior program development. The final music piece used in sessions were selected by the client from the music pool. The verbal responses after music listening of participan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hich were further qualitatively analyzed.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aspects in imageries and music related to reducing anxiety from each session to investigate how music and imageries affected anxiety reduction. Results demonstrated firstly, that participants showed changes in imageries related to coping with anxiety, in images of specific places, person, and emotions. Images of ‘family’, especially children, were the most expressed supportive resource during cancer treatment, which further made the participants aware their ‘maternal love’. Secondly, participants showed similar processes developing images to reduce anxiety, which were first to become aware of their anxiety followed by accepting and finally expressing the anxiety in a safe environment. This suggest that expanding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enabled motivation for recovery, positive body image and experiencing comfort. Thirdly, music elements, such as tempo, melodies, dynamic, and timbre reflected participants’ anxiety, which showed that a channel to emotions were formed by musical empathy that further affected anxiety reduction. Particularly, rhythmic elements were related to experiences of positive energies that facilitated emotional stability in participants, and melodies for related to emotional catharsis. Results indicate that using music end imageries can be beneficial in reducing anxiety in female cancer patients, which should be studied further in future research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범위 4 Ⅱ. 이론적 배경 5 A. 여성 암 환자의 특성 5 1. 여성 암 환자의 신체 및 생리적 특성 6 2. 여성 암 환자의 심리 정서적 특성 6 B. 암 환자의 불안 7 1. 암 환자의 일반적 불안 8 2. 여상 암 환자의 재발 불안 9 C. 암 환자와 음악 10 1. 암 환자 증상에 따른 음악치료 선행연구 10 2. 암 환자의 불안과 음악치료 12 D. 심상 중심 음악감상 13 1. 음악감상 15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1. 연구 참여자 특성 18 B. 연구 설계 및 절차 20 1. 연구 설계 20 2. 연구 기간 및 절차 20 3. 세션 진행 장소 22 4. 자료 수집 및 분석 23 C. 시각적 심상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 24 1. 시각적 심상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 세부내용 24 2. 감상 음악의 선곡 27 3. 선곡의 타당도 확보를 위한 전문가 검증 28 4. 반 구조화 인터뷰 구성 및 내용 31 D. 윤리적 고려사항 3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3 A. 연구결과 33 1. 참여자들이 경험한 심상의 내용 33 2. 참여자의 회기별 심상 변화과정 36 3. 불안감소를 위한 심상경험에 기여한 음악의 요소분석 49 B. 논의 68 Ⅴ. 결론 및 제언 71 A. 결론 71 B. 제언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420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시각적 심상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을 통한 여성 암 환자의 불안감소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reducing anxiety in female cancer patients using a visual imagery focused music intervention program-
dc.creator.othernameLee, Jihye-
dc.format.pagevi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