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김보연-
dc.creator김보연-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5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3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 음악의 복잡성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독립변인은 PSE 음악의 유무와 복잡성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나누었으며, 종속 변인은 어깨관절 굴곡, 팔굽관절 신전, 아래팔 회외, 수근관절 신전의 ROM과 장악력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소재의 한 기관에서 1회기 동안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피험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세 가지의 음악 조건, 즉 무음악(사전), 단순 PSE 음악, 복잡 PSE 음악, 무음악(사후)이 각각 1회씩 제공되었고, 이 과정은 동작별로 ROM 또는 장악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실험 후 뇌성마비 아동은 음악적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보고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상지 움직임별 PSE 음악의 유무와 복잡성을 나누어 분석되었고 다음과 같다. 상지 ROM은 PSE 음악을 들으며 상지를 움직일 때 즉각적 향상 효과를 보였고, 음악의 복잡성이 클수록 상지 기능의 변화 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큼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에 반해 장악력은 힘의 신호가 강조된 복잡 PSE 음악 제공 시 높은 수행도를 기록하였고, 단순 PSE 음악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PSE 음악에 활용된 음악요소의 복잡성이 클수록,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촉진에 즉각적 변화를 도모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PSE 음악의 복잡성을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기초 자료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뇌성마비 아동 대상 PSE 기법의 적용 및 장기간 중재를 통한 효과성 검증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on upper limb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ccording to musical complex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non-music, simple PSE music, and complex PSE music. Dependent variables include ROM of shoulder flexion, elbow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wrist extension, and grip strength. Te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in an institution and all experiment conditions were administrated individually. Shoulder flexion, elbow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wrist extension ROM and grip strength were measured once in non-music, simple PSE music, and complex PSE music.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In additio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fter the experiment reported subjective awareness of musical experi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PSE music promoted the upper limb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simple and complex PSE music was found, but the variation width of the complexity of musi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Since the performances of complex PSE music are compared based on performance of simple PSE music, the improvement range is narrow. This is attributed to the ceiling effect on the upper functional level. This suggests that using more elements of PSE music causes a more immediate change of upper limb 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 that the basic data on the complexity of PSE music should be presented to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require auditory cues for upper limb movemen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support previous studies using PSE techniques for neurological diseases. I propose the validation of applying of PSE techniqu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its effect on long-term interven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뇌성마비의 정의 및 운동 특성 6 1. 뇌성마비의 진단적 특성 6 2. 유형별 분류 7 3.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특성 11 B.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평가 13 1.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관절가동범위 13 2.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장악력 16 C. 패턴화된 감각 증진 음악의 특성 18 1. 신경학적 음악치료 18 2. 패턴화된 감각 증진 기법의 신경학적 원리 19 3. 패턴화된 감각 증진 음악의 복잡성 22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자 25 1. 대상자 모집 절차 25 2. 대상자 선정 기준 25 3. 대상자 구성 26 B. 연구 절차 26 1. 연구 기간 및 장소 26 2. 연구 설계 및 절차 27 C. 측정 도구 30 1. 관절각도계 30 2. 상지평정척도 31 3. 악력계 31 D. 상지 기능별 단순 및 복잡 PSE 음악 적용 34 1. 어깨관절 굴곡 관절가동범위 36 2. 팔굽관절 신전 관절가동범위 38 3. 아래팔 회외 관절가동범위 39 4. 손목관절 신전 관절가동범위 41 5. 장악력 42 E. 자료 분석 46 F. 윤리적 고려사항 46 Ⅳ. 결과 및 논의 47 A. 결과 47 1. 연구 참여자의 임상적 특징 47 2. 상지 기능별 음악 조건에 따른 수행력의 차이 49 3. PSE 음악의 유무 및 복잡성에 따른 즉각적 변화량 51 4. 상지 움직임별 PSE 음악의 유무와 복잡성에 따른 비교 분석 52 5. PSE 음악 적용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 조사 56 6. 청각적 민감도에 따른 단순 및 복잡 PSE 음악의 수행도 차이 58 B. 논의 60 Ⅴ. 결론 및 제언 64 A. 결론 64 B. 제언 65 C. 제한점 66 참고문헌 68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77 부록2. 비디오 촬영 동의서 79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7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패턴화된 감각 증진(PSE) 음악의 복잡성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mmediate impact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music complexity on upper limb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dc.creator.othernameKim, Bo Yeon-
dc.format.pagev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