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홍콩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텍스트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

Title
홍콩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텍스트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written texts of Hong Ko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intermediate to advance level
Authors
Wong, Li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홍콩 지역에서 광동어 모어 화자인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에서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고찰하고 결과를 토대로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지도 제안을 찾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문법적과 어휘적 응결 장치의 분석을 통해서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를 작성할 때 응결 장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홍콩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같은 주제의 쓰기 과제를 작성하게 하였고 수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한 후에 두 집단의 글쓰기를 비교하여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이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며 기존 한국어 교육에서 응결 장치에 관한 연구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적절한 응결 장치 사용이 문어 텍스트의 조직적인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기존 연구 가운데 대부분 중국어 모어 화자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룬 연구다. 그러나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룬 쓰기 교육 연구가 드물 뿐만 아니라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룬 응결 장치 연구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구별하여 따로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 연구를 다룰 필요성이 보인다. 이어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비롯하여, 연구 주제와 관련한 텍스트와 텍스트성, 응결성과 응결 장치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학자들이 한국어 응결 장치를 분석하기 위해 규정한 응결 장치 분류 체계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분석 틀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는 홍콩의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15명, 한국어 모어 화자 16명으로 구성하였다. 홍콩 한국어 학습자는 모두 홍콩이나 한국에 있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이며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에는 주로 한국에 있는 대학교에서 진학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인 20~30대 남성과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실험을 통해 홍콩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응결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 예비 실험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에 본 실험의 분석 도구인 쓰기 과제를 선정하였다. 두 집단에게 같은 쓰기 과제를 작성하게 한 후에 수집하여 응결 장치를 문법적과 어휘적 응결 장치로 분류하여 두 집단이 문어 텍스트에서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작문에서 응결 장치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먼저 두 집단이 전체적으로 응결 장치를 사용한 빈도와 각 응결 장치 하위 분류의 사용 비율을 비교하였는데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마찬가지로 어휘적 응결 장치를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한 반면에 문법적 응결 장치인 지시 응결 장치의 사용 빈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에는 1절에서 문법적 응결 장치를 지시와 접속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이 응결 장치의 사용 특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지시의 응결 장치를 매우 적게 사용하여 일부의 응결 장치 표현만 편중적으로 사용하므로 지시 사용의 미숙함에 있어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밝혀졌다. 접속의 경우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한정적인 표현만 사용한 뿐만 아니라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서 사용하는 표현을 구별하지 못하는 점을 보인다. 이에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문법적 응결 장치의 여러 기능과 표현을 인식하게 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구어체와 문어체의 문법적과 어휘적 차이에 대해도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2절에서는 두 집단의 어휘적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슷하여 동일어 반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유의어, 반의어, 상-하위어를 낮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유의어, 반의어와 상-하위어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어휘의 다양성이 부족하므로 이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홍콩 학습자에게 다양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수가 필요하며 어휘를 활용하여 텍스트 응결성을 유지하는 전략에 대해 지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V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홍콩 한국어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에서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지도 항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홍콩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룬 문어 텍스트에서의 응결 장치 연구로서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의 양이 적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일반화하기가 어려움이 있어 한계점이 있다는 점을 앞서 밝힌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 of usage of cohesive devices in written texts of L3 Korean learners with Cantonese as their mother tongue in Hong Kong, in order to find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writing education for Hong Kong Korean learners. The study examines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written text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through grammatical and lexical devices. In this study, Hong Kong Korean learners with intermediate to advanced proficiency level in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were instructed to complete a written test with the same topic, and data was collected for analysi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the two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content and organization. In Chapter I, the study purpose and necessity were revealed and the recent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in cohesive devices in Korean language and the pattern of use of cohesive devic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discussed.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cohesive devices in organizing the structure of written texts has been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ye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targeted on Chinese Korean learners as L2 Korean learners.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only limited studies in the aspect of written education which were targeted on Hong Kong Korean learners were conducted, and there is yet any study is conducted o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Hong Kong Korean learners and to conduct a study which is targeted only on Hong Kong Korean learner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discussed where concepts of text, textuality, cohesion and cohesive devices, which are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examined. Moreover, categories of cohesive devices in Korean language being set by scholars in previous studies were rearranged and the categories of cohesive devices for this study was organized accordingly. In Chapter III,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explained. The testing groups of this study was formed by 15 Hong Kong Korean learners wi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 Korean proficiency and 16 Korean native speakers. Targeted Hong Kong Korean learners were females in 20s who all had experiences in learning Korean in Korean education organizations in Hong Kong or Korea. Korean native speakers were mainly males and females in 20s to 30s who are currently studying undergraduate or postgraduate programmes in universities in Korea. A pre-test was taken, and it has proved that the usage pattern of cohesive devices of Hong Kong and Chinese Korean learners in written texts are different. After that, the problem of the pre-test was discussed and the writing topic for the experiment was set accordingly. Two group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complete a writing task with the same topic, and the passages collected were then being analyzed under two categories: grammatical devices as well as lexical devices. In Chapter IV, the analyzing resul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Chapter III were depicted. First of all, the overall frequency of usage of cohesive devices and the proportion of usage of different kinds of devi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have shown that Hong Kong Korean learners used lexical devices the most, which was similar to Korean native speakers, yet reference was used with the lowest frequency. In Section A, the use of grammatical devic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where grammatical devices were divided into reference and conjunction.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of reference appeared in the written text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was low where limited expressions were used, which showed that the learners were not familiarized with use of reference in written texts. Also, the variety of conjunction expressions appeared in the learners’ texts was low, and the problem for the learners to use colloquial expressions in written texts was show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 of a variety of grammatical devices with different functions for Hong Kong Korean learners is required,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learners to b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written and colloquial expressions. In Section B, the usage of lexical cohesive devices of the two groups in written texts was examined. The result showed similar patterns of use between the two groups where the frequency for using repetition was the highest among all types of lexical devices, yet synonym, antonym and superordinate rarely appeared in two groups’ written texts.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 variety of synonym, antonym and superordinate expression used by the learner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the education for the learners to acquire a variety of lexical expressions is needed, but also the education in utilization of lexical cohesion in written texts is required. In Chapter V, the study findings i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in written texts were summarized.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where suggestions on writing education to Hong Kong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were made.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rimary study for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Hong Kong Korean learner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as only small amount of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find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