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Aye Mya Thandar Maung-
dc.creatorAye Mya Thandar Maung-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2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5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56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8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d and perform Korean refusal speech acts. First, this paper explored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fusal speech acts and how they differ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ir performances of these speech acts.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and execution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Previous research papers we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1)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of refusal speech acts and (2) studies on the performance aspect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question 1 is as follow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nderstanding Korean refusal speech acts?’ Research question 2 i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way in which they perform Korean refusal speech acts?’ The final research question is ‘is there a connection between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fusal speech acts with the way in which they execute them?’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observing the concept, variables and strategies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As a result of this observation, a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Its formation considers four kinds of refusal speech act variables that include situations of ‘requests, invitations, proposals, and offers’ according to Beebe et al.(1990). In addition, factors of social power and level of intimacy were included in correspondence to Haiyoung Lee(2003). The category of social power is further divided into ‘upper, equal, and lower’ levels, and degree of intimacy is distinguished by ‘familiar and not familiar’. As for the strategic analysis framework of this paper, it is divided into categories of ‘direct rejection’, ‘indirect rejection’ and ‘supplementary expressions’ in reference to Beebe et al.(1990).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various strategies was prepared by referencing Haiyoung Lee(2003).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hich includes the research procedure,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t Y University in Myanmar and 30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for this study, four different surveys were conducted: (1) a survey about the probability of situations, (2) a proficiency assessment survey, (3) a survey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refusal speech acts, and (4) a survey on the performance aspect of refusal speech ac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and discusse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1)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s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2)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ir performances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s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ree groups in understanding Korean refusal speech acts. While the Korean native speakers understood the intentions of the speaker in his/her performance of a refusal speech act, Myanmar learners often accepted the speaker’s refusal strategy as plain speech instead of understanding its pragmatic meaning.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items 1, 5, and 23 in the act of rejection in Korea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other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 Myanmar learners performed the same kind of refusal speech acts as Korean native speakers in those situations. In all three groups, explanation and apology strategies were the most preferred, but caution/reproach and compensation strategies were the least preferred. As for the final research problem,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the more refusal speech acts were performed, similar to the performances by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V,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future research plans were proposed. The study was significant due to its investigat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performed by Myanmar Korean learners, which was a research topic that had never been conducted b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Myanmar Korean learners’ performance, but also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was able to recognize the features and shortcomings of Myanmar Korean learners in their executions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However, it could not analyze the results with various variables and could not provid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relevant follow-up study.;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거절 화행을 이해하고 실현함에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이해와 실현 양상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서술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결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거절 화행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며,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 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마지막 연구 문제 3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이해와 실현 양상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이다. II장에서는 거절 화행의 개념 및 변인, 거절 화행의 전략을 관찰함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개념 및 변인, 또는 전략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거절 화행 변인을 Beebe 외(1990)에 따라서 ‘요청, 초대, 제안, 제공’ 4가지의 상황으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권력이나 친밀도는 이해영(2003)에 따라 사회적 권력을 ‘상, 동등, 하’로 구분하며 친밀도는 ‘친, 소’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전략 분석틀은 Beebe 외(1990)를 참고로 하여 ‘직접 거절’, ‘간접 거절’, ‘부가 표현’으로 구분하되, 세부적인 전략 분류를 위해 이해영(2003)을 참고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전략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도구,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얀마 소재의 Y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어 전공 학부 과정 학생 60명과 이에 대한 비교 집단인 한국어 모어 화자는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료를 수집할 때는 상황 개연성 조사, 숙달도 평가 조사, 거절 화행 이해 능력 평가, 거절 화행 실현 양상 평가 등 4개의 실험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 검정(Scheffe’s test),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결과는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마다 유도 화행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거절 화행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세 집단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의 경우 대화 발화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 거절 화행을 이해하고 있는 반면 미얀마인 학습자는 발화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략을 보고 이를 화용적 의미보다 발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어의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문항 1, 5, 23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의 상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유사하게 거절 화행을 수행하고 있었다. 세 집단 모두 ‘단정적 거절 전략’ 및 ‘설명하기 전략’, 또는 ‘사과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주의 주기/책망하기 전략’ 및 ‘보상하기 전략’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연구 문제에서는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해 이해도가 높을수록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 데에도 한국인과 유사하게 거절 화행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해도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한국인처럼 거절 화행을 수행하기 위해 ‘동정/이해 구하기 전략’이나 ‘회피하기 전략’, ‘받은 셈 치기 전략’ 등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이러한 전략 사용이 보기 드물었다.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고 앞으로 이루어야 하는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던 미얀마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뿐만 아니라 아직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던 학습자의 화행 이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점,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시의 특징이나 향후 교육 시에 필요한 보완점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양한 변인을 가지고 결과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 또는 미얀마인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였다는 점들을 한계점으로 남기며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문제 9 II. 이론적 배경 11 A. 거절 화행의 개념 및 변인 11 B. 거절 화행의 전략 14 III. 연구 방법 27 A. 연구 절차 27 B. 연구 참여자 28 C. 자료 수집 도구 30 1. 상황 개연성 조사 30 2. 숙달도 평가 34 3. 거절 화행 이해 능력 평가 35 4. 거절 화행 실현 양상 평가 37 D. 자료 분석 방법 3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0 A.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40 1. 요청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이해 40 2. 초대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이해 43 3. 제안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이해 45 4. 제공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이해 47 B.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 52 1. 집단별 전략 사용 양상 52 2. 유도 화행별 전략 사용 양상 55 가. 요청 상황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55 나. 초대 상황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58 다. 제안 상황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61 라. 제공 상황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63 C.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 67 1. 요청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67 2. 초대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70 3. 제안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72 4. 제공 상황에서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75 D. 소결론 78 V. 결론 83 참고문헌 88 부록 상황 개연성 조사 90 부록 2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능력 평가 98 부록 3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 평가 106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67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sion and performance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dc.format.pagev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