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Rosyadi, Alfiana Amrin-
dc.creatorRosyadi, Alfiana Amrin-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54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5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1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14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이 완화 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특히 숙달도와 상호 작용의 강도라는 변인이 완화 장치의 사용에 있어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네시아어와 한국어에서 발화를 약화시키는 완화 장치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학습자들이 부적절하거나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I장에서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완화 장치의 사용을 연구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밝힌 후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드러난 아쉬움이 무엇인지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인도네시아인 중급 학습자를 상위와 하위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한국어 모어화자와 비교하여 완화 장치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2는 숙달도와 상호 작용의 강도 중에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에 어떤 요소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II장에서는 크게 완화 장치의 개념 및 유형과 상호 작용의 강도에 주목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완화 장치를 정의하고 있는 영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의 연구들을 검토한 후에 어휘적 완화 장치와 문법적 완화 장치로 유형을 분류하고 의미기능적 유형에 따라 한국어 표현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상호 작용의 강도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고 기존의 설문 문항들을 참고하여 상호 작용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구체화하였다. III장에서는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어떻게 진행했는지를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8개의 상황을 제시하여 DCT(담화완선형설문지)로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과 중급 한국어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인도네시아인 중급 학습자는 실시한 숙달도 검사 결과에 따라 중급 상위 학습자 24명과 하위 학습자 16명을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IV장에서는 세 집단, 즉 한국인, 중급 상위 학습자, 중급 하위 학습자의 어휘적 완화 장치와 문법적 완화 장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 다음에 숙달도와 상호 작용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고 총 사용과 상황별 완화 장치의 사용으로 나누어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집단이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슷하게 사용하거나 다르게 쓰는 완화 장치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부자연스러운 완화 장치들을 따로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학습자들이 어휘적 완화 장치를 문법적 완화 장치보다 더 잘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 집단이 사용하는 유형이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면 문법적 완화 장치를 사용하는 빈도가 상위와 하위 학습자들 모두 낮게 나타났다. 어휘적 완화 장치의 사용과 비슷하게 사용 유형도 매우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이 문법적인 완화 장치 사용을 위해 제시한 응답 중에 인도네시아어 전이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 있었다. 넷째, 숙달도와 상호 작용 강도 중에 어떠한 변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상호 작용 강도가 학습자의 어휘적 완화 장치 사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법적 완화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는 두 변인이 모두 영향력을 미치지 않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논의한 다음에 연구의 의의나 응용과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도네시아인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다양한 변인에 따른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 분석을 연구하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examined the use of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by Indonesian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ompared their results to Korean native speakers. By comparing both populations, not only can it be expected to answer how good the learners use the downgraders, but also it can be used to find out what kind of factors have influenced the use of downgraders. Since Indonesian and Korean language have different types of downgraders to minimalize the effect of utterance,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donesian Korean learners will use improper or unnatural expressions. In the first chapter, this paper exposed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e use of downgraders by Indonesian learners and then followed by introducing downgraders related to previous researches.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and observing their limitations,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in two questions. To answer question number 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downgraders by dividing the population into three groups, Korean native speaker (KNS), Indonesian Intermediate high grade and low grade. And to answer question number 2, between the proficiency and the intensity of interaction,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s of both factors and discussed which factor has a greater influence in the use of downgraders.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understand downgraders, this chapter is divided into definition and types of downgraders. First, it describ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downgraders given from various researchers in English and Korean education. Then, by analyzing the downgraders types with consideration of Indonesian downgraders’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were arranged and explained for each type’s form. For the intensity of interaction, the survey’s questions for this research were formed by using the references from previous surveys. Chapter 3 described the process of pilot project and main research by also giving details on how it was performed. To answer question number 1, this research collected answers from 20 Korean native and 40 Indonesian Intermediate Learner students using the DCT (Discourse Completion Task). Also,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arners, the learner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24 Indonesian Korean learners with high level proficiency and 16 low level proficiency learners. The proficiency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s taken from previous TOPIK exams. In chapter 4,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described into two big topic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s question. The first part discussed the differences in the us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 and Indonesian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types of downgraders and each situation. Each utterance by Indonesian Korean learners was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utterance. Unnatural and improper utterances were discussed to find out the reason behind the phenomena. The second topic explain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use of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by Indonesian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Overall, there are some results that were discussed. First, both groups of Indonesian Korean learners are able to perform the use of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But compared to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have limitations on using several types of downgraders. Second, the use of lexical downgraders is higher than grammatical downgraders. Unlike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tend to repeat the same types. Third, Indonesian language has a big influence in learners’s utterances. This effect makes the learners use improper or unnatural expression when they respond to threatening situations. Fourth, for the use of lexical downgraders, both token or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interac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learner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token, the result for grammatical downgraders are not significant for both factors. In other words, both factors do not give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use of grammatical downgraders by Indonesian Korean learners. Lastly, in chapter V, after discussing the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ndonesian learners. Also, this research started a new topic for Indonesian Korean education especially on how the learners use the lexical and grammatical downgraders in each situation give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was not able to cover intonation or non-linguistic types of downgra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완화 장치의 사용에 관한 연구 4 2. 화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9 C. 연구 문제 13 Ⅱ. 이론적 배경 15 A. 완화 장치의 정의 및 유형 15 1. 완화 장치의 정의 15 2. 완화 장치의 유형 17 B. 상호 작용의 강도의 개념 35 Ⅲ. 연구 방법 38 A. 연구 절차 38 B. 예비 실험 39 1. 연구 참여자 39 2. 자료 수집 도구 40 3. 예비 실험 결과 43 C. 본 실험 45 1. 연구 참여자 45 2. 자료 수집 도구 47 3. 자료 분석 방법 50 Ⅳ. 연구 결과 52 A. 어휘적과 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 52 1. 어휘적 완화 장치 사용 52 2. 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 69 B. 숙달도와 상호 작용 강도에 따른 완화 장치 사용 차이 95 1. 숙달도와 상호 작용의 강도에 따른 어휘적 완화 장치 사용 차이 95 2. 숙달도와 상호 작용의 강도에 따른 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 차이 98 Ⅴ. 결론 101 참고문헌 104 부록1. 한국어 숙달도 측정 도구 110 부록2 예비 실험 설문지 113 부록3. 설문지 1 114 부록4. 설문지 2 117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41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인도네시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e of Downgraders by Indonesian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dc.format.pageix,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