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4 Download: 0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 평가

Title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 평가
Other Titles
Mentoring Program Evaluation for the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s : Application of CIPP Model
Authors
최희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 프로그램 목표 달성 여부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반영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도출된 멘토링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도출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한국어 기초학력 향상이 이루어 졌는가? 연구문제 4.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한국문화 이해 향상이 이루어 졌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사전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분석은 2016년 2학기부터 2018년 1학기까지의 총 4권의 멘토링 프로그램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사전 요구조사를 위해 과거 P기관의 멘토링을 경험했던 멘티 5명과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를 만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전 요구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와 방향에 대해 설정한 후 본 프로그램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멘티(중도입국 청소년), 멘토(대학생), 운영담앙자, 담임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부족한 부분은 관찰연구와 설문조사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의 평가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CIPP 평가모형이란 Stufflebeam(1971)에 의해 설계된 모델로서 의사결정모델에 해당되는 모형이다. 의사결정모델이란 교육 프로그램의 의사결정자가 정확히 판단하여 의사 결정 내릴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평가활동과 의사결정 사이의 순환관계로서 평가자와 의사결정자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개선하여 나가는 것에 있다. 즉, 이 모형은 교육평가의 목적을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촉진시키는데 두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평가모형은 다른 평가모형과 달리 폭넓게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 따라 CIPP 평가모형을 선정하였다.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P기관의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의 연구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다문화 교육환경,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환경, 멘토링 프로그램 인식, 멘토링 프로그램 저해환경 등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증가 속도에 비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교육이나 제도적 뒷받침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며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도 장소나 시간, 교재 등 다양한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의 연구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은 크게 다섯 가지가 도출되었다. 첫째, 멘티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멘토링 진행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현재 멘토링 프로그램은 한국어 수업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한국어 문법 지도 수업에 집중하고 있지만 한국에 온지 얼마 안 된 중도입국 청소년의 경우 교재를 사용한 한국어 수업보다는 관심사에 대한 공유나 대화, 놀이 등 멘티가 좀 더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멘토링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를 위한 충분한 사전교육이 필요하다. 이 부분은 멘토 선별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며 더욱 더 효과적인 멘토링을 진행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셋째, 멘토와 멘티의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관계형성은 한국어 문법, 한국어 의사소통뿐 아니라 한국 호칭에 대한 이해, 높임말에 대한 이해 등 넓게는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향상까지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진로 상담 및 지도 멘토링의 진행이다. 학령기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고 알아볼 시기이지만, 서툰 한국어, 한국 교육제도나 입시에 대한 부족한 이해, 관련 정보를 얻기 힘든 부분 등 다양한 어려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들은 멘토링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대학생 멘토는 비교적 최신 입시나 진로, 입학정보에 대해 익숙하므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멘토링과 튜터링의 혼합 운영을 통해 프로그램 목표를 좀 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운영되는 P기관의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와 멘티의 관계 형성을 통한 멘티의 요구사항에 대한 해결보다는 한국어 능력 향상, 교과학습 능력 향상 등 학습능력 향상의 목표가 크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 해결을 위해서는 멘토링과 튜터링을 혼합한 제도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의 연구 결과, 멘티들은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어 기초학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멘티들은 그들의 대안학교 수업에서 혼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멘토에게 질문하는 경우가 많고, 그것을 통해 성적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티를 대상으로 한 멘토링 사전·사후검사 비교 결과, 한국어 기초학력 향상과 관련된 측정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서는 멘티의 개별적 학업능력 수준(한국어 수준)을 파악하고 멘티 특성을 고려한 멘토링 진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왔다. 네 번째 연구 문제의 연구 결과, 멘티들은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문화 이해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티를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멘티들은 한국문화 이해 향상과 관련된 영역에서 기본적인 인사예절 이해와 한국 교과목 이해 영역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호칭 이해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멘토링 때 사용하는 호칭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멘티들은 호칭 이해에서 큰 도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기관의 2018년 2학기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P기관만이 아닌,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을 위한 평가척도와 평가문항이 개발되어 이를 통해 환류 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이 도출된다면 이는 지속 가능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정착시키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진행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티 개인별 평가를 통해 멘토링 프로그램의 정확하고 구체적인 효과 측정이 필요하다. 한 학기의 멘토링을 평가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멘토링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the achievement of the program goal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for the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s,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The mentoring program,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imed at the mentoring program of the "P" institution located in Pocheon-si, Gyeonggi - do. "P"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2005 by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Promotion Committee. The main focus of the project lies in operating the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Center, Ministry of Justice Social Integration Program which is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Additionally, it also conducts various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Among these, the mentoring program is conducted for a period of one hour per week for every one semester in conjunction with community colleges. The objective of the mentoring program is to improve the menteeʼs basic academic ability and also to bette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ere was an inevitable demand for an enhancement of the mentoring program was foreseen within the "P" institution when the 7th seminar was held in 2nd semester of 2018 academic year.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ngoing mentoring programs prior to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program and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current mentoring program can achieve its goals. In order to full fi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to be answered.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current problems of the mentoring program?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measures to improve the mentoring program? Research Question 3. Did the mentoring program improve the basic academic ability of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Research Question 4. Did the mentoring program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of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report of results of the mentoring program from 2nd semester of 2016 to 1st semester of 2018 were analyzed and a pre-requisite analysis was conducted by meeting the mentees and the program operational personnel respectively. Following that, the 2nd semester of 2018 mentoring program had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university mentors,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mentees, and homeroom teachers. Further observation studies and surveys were also conducted on items with limited scope for analysis by in-depth interview. The overall evaluation of this process was carried out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CIPP evaluation model is a model designed by Stufflebeam(1971) that corresponds to a decision model. This evaluation model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enable decision makers of educational programs to determine precisely and to make decisions. Particularly, this evaluation model can select a wide range of targets unlike other evaluation models. It is recognized as high in useful that it can be designed effectively in making decisions and evaluating the situations which influences the program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by apply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problems of the mentoring program were derived mainly from the four categorie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mentoring program operating environment, mentoring program recognition, mentoring program inhibition environment and 12 subcategories. When mentoring programs are compared with the increasing rate of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there is not enough education or institutional support available for them and there are many places lacking to provide adequate monitor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re are five ways to improve the mentoring program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of the second research problem. Firstly, the mentoring process needs to be don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the mentee. Currently, the mentoring program focuses o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es and Korean culture, but for multicultural immigrants student who have just come to Korea, mentoring programs such as sharing interests, talking, and playing are needed in order to be mentored more easily. Secondly, mentors must be trained well with prior education. Thi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entor screening process that plays vital role in complemen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and also for mentoring more effectively. In f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mentoring is the competency of the mentor. Mentor’s approach, preparation, attitude, and competence in mentoring are the other key factors that lead the way to a successful mentoring. Thir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mentor and mentee. Continuous relationship formation can help not only the Korean grammar and Korean communication,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Korean name, to wide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and also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bout Korean culture. Forthly, Career mentoring should be included to mentoring programs to guide the mentee about their career paths. Young people in school age are worried about their own career, bu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poor Korean languag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system and entrance examination and difficulty in obtaining the relevant information. These can be solved through mentoring, especially with college students who are relatively familiar with the latest entrance exams, career paths, and admissions information which can afford a great help to middle school students. Fifthly, a mix of mentoring and tutoring needs to achieve program goals more efficiently. Currently, the goals of mentoring program is aiming at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bility such as impr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solving the mentee's requirements through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or and the ment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 that mixes mentoring and tutoring to solve these goals. As a result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reveals that the improvem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of the mentees was achieved through the mentoring program. Comparison of mentoring pre-test and post-test of mente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measurement related to improvem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In fact, mentees often ask questions/doubts to their mentor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alone in their alternative school classes, and it turns out that they are directly helpful in improving their grades.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basic academic ability of the mentees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individual academic ability level (Korean level) of the mentee and to conduct the mentor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ee. As a result of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it found that mentee’s understanding of basic Korean manners etiquett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subjects were helpful in the field related to improvement of Korean culture, but understanding of Korean title did not help much. It seems like mentors do not provide much help in understanding the words/titles. But in general mentors use limited words/titles for mentoring. Through this study, the mentoring program of the "P" institution’s second semester of 2018 was evaluated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evaluate mentoring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entering multicultural families rather than just P agencies. If a multicultural immigrant student mentoring program develops evaluation measures and evaluation questions and also if educational conclusions a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n it will be stepping stone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mentoring program. Also,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accurate and specific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through the mentees of the ongoing mentoring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