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on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Family Empowerment i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서혜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는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각 생애주기별로 새롭게 주어지는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한 생애주기에서 다른 생애주기로 넘어가는 ‘전환 시기’에 장애아동의 부모는 자녀가 낯선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과 걱정으로 인하여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곤 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는 교육환경 및 체계의 변화와 더불어 사춘기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수반되는 시기로, 이 시기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중학교 진학 및 장애아동의 양육과 관련된 정보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전환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환과 고등 이후의 전환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중학교 전환 시기 장애아동과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와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S시 관내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부모 24명으로, 본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12명의 부모를 실험집단에 우선적으로 배치한 후 장애자녀의 학년, 장애유형, 성별의 변수를 고려한 짝짓기 방법을 통해 일대일 대응시킨 부모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 부모는 약 3개월 간 총 10회기로 구성된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 부모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전환기 자녀 이해, 상급학교 및 지역사회서비스 정보, 전환관련 적응기술, 성교육, 진로지도의 다섯 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되었으며 주제별 전문 강사에 의한 정보지원, 조별 활동을 통한 부모 네트워크 강화와 선배부모와의 만남을 통한 정서적 지원, 가정연계지원과 네이버 밴드(BAND) 커뮤니티지원 등의 기타지원이 제공되었다. 종속변인 측정 도구로는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척도(한수진, 이지연, 2009)와 진로지도효능감 척도(유정이, 2009), 가족역량강화 척도(전혜인, 2006)를 사용하였으며,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또래와의 관계 스트레스, 교사와의 관계 스트레스, 어머니 신체화 증상, 부모역할 스트레스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진로지도효능감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진로지도효능감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진로지도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적극적인 진로지원, 자녀에 대한 수용과 격려, 진로교육 경험, 자녀에게 자율과 책임을 부여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가족역량강화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가족역량강화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가족역량강화의 하위영역인 체계에 대한 옹호, 지식, 능력, 자기효능감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비추어볼 때,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진로지도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 시기 부모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으며 다양한 영역의 전문 강사와의 협력교수를 통하여 정보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였고, 기존의 강의중심 부모교육에서 벗어난 참여활동 중심의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의 참여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전환지원과 관련된 연구가 시기별로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도 장애아동 부모들의 중학교 전환지원에 대한 높은 지원요구에 비해 체계적인 지원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하여 중학교로의 전환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on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family empowerment i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Province of Gyeonggi-do. The participants' children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preparing for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12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other 12 par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was composed of 5 content elements: Understanding of transitional childre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middle school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adaptation skills related to transition, sexual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10 sessions for 3 months at the researcher's school. To prove the effects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he Parenting Stress Scale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ransitioning into middle school(Han, S. J. & Lee, J. Y, 2009),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for Youth Scale(Ryu, J. Y, 2009), Family Empowerment Scale: FES(Koren, Dechillo, & Friesen, 1992)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level. This means that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stress in th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teachers, mother somatization symptom, and parental role stress which are factors of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level. This means that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of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so, among factors of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active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acceptance and encouragemen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self-regulation and accountability.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family empowerment level. This means that the family empowerment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the advocacy of the system, knowledge, ability and self efficacy, which are factors of family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ystematic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needs of parents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iddle school transiti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ing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family empowerment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at the time of middle school transition, a systematic par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upper elementary school, and informative and psychological support was provided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in various fields. Also, through various group activities and discussion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creased as well as their empowerment was strengthened. However, in Korea, studies related to the transition support are being carried out in a specific period, and there is little systematic support provided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compared with the high demand for the support of middle school transi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transition support for middle school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