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ensory Play Program with Mothers on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uthors
최미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유아기는 신체, 정서, 감각 등의 전인적 발달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육학자들은 흔히 유아기를 스펀지에 비유하며 발달초기 유아들이 환경적 경험에 의해 습득된 정보를 빠르게 흡수한다고 서술한다. 특히, 유아기는 자신이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사회 및 정서적 발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에게 적절한 환경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발달의 초기에 이러한 지원은 유아에게 가장 밀접한 가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얻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유아는 놀면서 성장하고 배우기 때문에 놀이 자체는 유아들의 삶 그 자체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을 표현하고 배우는 가장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교육 방식 가운데 하나가 놀이이므로 유아 시절 경험과 학습은 주로 놀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놀이는 발달지체유아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발달지체유아의 경우 자신이 가진 장애 특성으로 감각적 예민함을 보이거나 신체, 사회 등의 영역에서 지연된 발달로 놀이 시도 및 참여시간이 낮을 수 있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특이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자녀와의 놀이 방법 및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제공한 뒤, 감각놀이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감각놀이프로그램은 유치원교육과정(만 3세 누리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신체를 활용한 놀이, 일상생활 사물을 활용한 놀이, 식재료를 활용한 놀이의 세 가지 영역으로 감각놀이 활동을 구성한 것이다. 사전면담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감각적 특성이 반영된 놀이 활동을 계획하고 소그룹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회기 중 개별면담을 3회 포함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가 필요한 피드백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유치원 특수학급, 어린이집, 특수학교에 다니는 만 2-4세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 9쌍이다. 참여자의 주거지 및 유아가 다니고 있는 기관에 따라 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구성하여 한 그룹은 ㄷ육아종합지원센터 소강당에서, 나머지 한 그룹은 ㄱ특수학교 교실에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감각놀이프로그램은 제3차 표준보육과정의 탐색 및 놀이 교수 단계를 참고하여 안내하기, 제시하기, 탐색하기, 놀이하기, 놀이 확장하기, 정리하기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별 활동 후 가정연계 자료를 가정으로 배부하여 가족이 함께 가정에서 습득한 놀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가 끝난 후 연구자는 참여 어머니 간의 교류시간을 제공하여 활동에 대한 소감 및 양육정보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PSI)와 양육효능감(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행동은 어머니행동 평정척도(K-MBRS)와 아동행동 평정척도 (K-CBRS)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 종속변인 모두 참여 어머니와 유아의 개별적인 점수의 변화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하위영역인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하위영역인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에 참여한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의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모든 하위 요인(반응성, 효율성, 지시성 행동)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 상호작용 행동도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모든 하위요인(활동적, 사회적 행동)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며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가 가정에서 쉽게 자녀와 실시할 수 있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참여 유아의 개별적 감각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한 점,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감각놀이 활동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는 점, 가정연계 자료를 배부하여 가정에서 가족이 함께 감각놀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던 점, 개별면담과 모바일 앱을 통해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하여 개별 어머니의 놀이 활동의 일반화를 촉진시켰던 점, 발달지체유아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n Infancy is important period for forming holistic development of body, emotion and sense etc. An educators have been reported that children in early development can quickly obtain information by environmental experience. Especially, supporting a proper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an infancy because infant and children ha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by a first contacted circumstance. The support in early development is offered from their family. Infants usually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play and form soci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play is one of the most natural and efficient ways of teaching. Play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nsory sensitivity or delayed development may cause difficulties in play attempt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us, the research developed a sensory play program with mother.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nsory Play Program with Mothers’ affect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nsory play program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kindergarten curriculum and referring to prior study. The program organized activities into three areas: play using the body, play using everyday objects, and play using food materials. The researchers planned play activities that refle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hildren and conducted programs in small group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ine pairs of development-delayed infants and mothers aged between 2 and 4 who attend kindergarten, daycare centers and special schools in Seou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of the participant and the institution where the infant was attending. The two groups were given 12 sessions each, including orientation and completion ceremonies. In addition,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r mothe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mother three times individually. The sensory play program consisted of guiding, presenting, exploring, playing, extending and organizing. After each play activity, play materials were sent to households so that families could play together. After each play activity, the researchers provided discussion time among participants so that they could share their impress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i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found in mother’s parenting stres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mother-child interac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the mother of a child with development delayed has developed a sensory play program that can be easily played with her children in the home and learned how to interact positively with child. In addition,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upported sensory play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ed and their families and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