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김우영-
dc.creator김우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8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39-
dc.description.abstract영어는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이 서로의 의사소통을 위해 함께 쓰는 국제어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인들은 영어 언어 지식을 갖추어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이 좀 더 효과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 학습에 대한 이해, 외국어 사용자의 삶과 문화, 학습 능력 등이 학습되어야 한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세계인으로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한국 영어 교육은 여러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어 다독 활동은 영어 읽기 능력, 어휘력, 쓰기 능력을 높여주고 더 나아가 영어를 통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유용한 활동으로서 변화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문법 위주의 정독 수업에 치중하고 있으며 영어 도서를 확충되어야 하는 문제 등으로 교육 현장에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을 통한 영어 다독과 종이책을 통한 영어 다독을 실시하여 두 다른 다독 자료 유형에 따라 영어 다독의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영어 다독의 효과는 영어 읽기 능력, 영어 읽기 속도, 그리고 다독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 학급은 종이책 다독 집단, 다른 학급은 전자책 다독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영어 읽기 능력 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사전 읽기 능력 및 읽기 속도 평가와 사전 기본 설문을 진행하였다. 다독 활동의 규칙, 다독일지 작성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다독 자료 선택 방법에 대해서 안내하였으며 그 뒤로 12주간 다독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본인의 자유 시간을 이용하여 다독 활동을 하였으며 2주에 1권씩 책을 읽도록 권장되었다. 또한 책을 읽을 때마다 다독일지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다독일지는 일주일에 한 번 수업시간에 교사에 의해 점검되었다. 전자책 다독 집단 학습자들은 전자책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파일을 반드시 들으면서 다독 자료를 읽어야 했으며 원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독을 하면서 전자책의 다른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 활동 이후에는 사후 읽기 능력 및 읽기 속도 평가, 사후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는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하향식, 상향식 읽기 능력으로 구분하였고 사전․사후 읽기 속도 평가는 읽기 자료로는 문학 작품 활용하였으며 읽기 속도가 적절한 글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해 평가 문제도 함께 포함하였다. 이와 함께 각 집단의 학습자가 작성한 다독일지를 선정하여 학습자의 다독 과정에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으며 사전․사후 기본 설문조사, 사후 심화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다독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점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은 아니었다. 그러나 전자책 다독 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전반적인 읽기 능력 평가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에 아주 근접하였으며 사전․사후 하향식․상향식 읽기 능력 향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향식 읽기 점수에 주목할 만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영어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집단내 사후 읽기 속도 평가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미한 점수 향상은 아니었다.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 읽기 속도 향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종이책 다독 집단이 전자책 다독 집단에 비해서 더 높은 읽기 속도의 향상이 있었다.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다독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에서는 두 집단 모두 다독에 대한 느낌과 감정과 같은 정의적 태도 설문 영역에서 사후에 유의미한 응답 변화를 보였다.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에서는 다독의 자발성이나 적극성과 관련된 행동적 태도 설문 영역에서 두 집단의 학습자들 사이의 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자책 다독 집단의 행동적 태도 설문 영역 응답에 있어 가장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상향식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전자책 영어 다독 활동이 효과적이며 읽기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종이책 영어 다독 활동이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독 자료 유형에 상관없이 영어 다독 활동은 영어 다독을 통해 다독에 대해서 긍정적인 느낌과 다독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며 다독 행위에 대한 자발성과 적극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전자책 영어 다독 활동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다독 활동을 진행할 때에는 학습자가 다독 활동을 위해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영어 능력이 무엇인지, 어떤 목적으로 다독 활동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이해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다독 자료 유형을 선정하여 활동을 진행해야할 것이다. 또한 후속 연구로 6개월 이상의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실험이나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 학습자들을 영어 수준별로 나누어 영어 다독을 실험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English is an essential language for communicating in a globalized world. For effective English communication, L2 learners should not only improve the four language skills, but also acquir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language learn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English speakers and their lives and the ability to learn. These properti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are reflected in the “core values” of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extensive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by improving four language skills and improv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Despite these benefits, extensive reading is rarely included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sever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exclus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s. One of these factors is the heavy focus on intensive reading. Another reason is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xtensive reading programs. A potential solution that addresses these factors is using e-books. Additionally, various functions of e-book can confer benefits on English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thus purposes to implement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through e-books in English reading classes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ch a program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rate, and attitude towards extensive read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gular classes for four week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52 EFL third 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was assigned to read paper books and a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read e-books. As a pretest,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reading ability test and a reading rate test. Also,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regarding attitudes towards extensive reading. Before the experiment, students were instructed how to read extensively and presented with the recommended book list based on their reading ability. During the experiment, students freely selected the books and read them in their free time. They were required to submit a reading log once in a week. After 12-weeks of experiment, they performed a post test for their reading ability and reading rate and filled out a post questionnaire. In addition, several students were selected for an in-dept interview; and separately, a few students’ reading log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rticipants’ scores of reading ability increased in the post-reading test. Though all the improv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lose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gain that was very close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tom-up reading ability. Second, the reading rates were also increased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arger than one in the control group, though both of them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like the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 Thir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participant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ost-questionnaire, in-dept interview and reading journal. Most students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extensive reading activity they participated in.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ward extensive reading; however, the differences of the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between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 their willingness to read extensively.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ager to read English books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n particular, they reported the sense of achievement which led them to became autonomous learners of English. Additionally, they also showed positive attitude and willingness toward extensive reading via e-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tensive reading through e-books is more effective when it comes to improving bottom-up skills of English reading and willingness to read extensively. It is more effective, however, to read extensively through paper books to increase a reading rate. This suggests that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ow to select the mode of extensive reading according to the need of students and objective of the lesson. The further work of this study can be conducted with longer time perio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the modes of extensive reading could be needed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rate, and the affective domain among the participant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With all these implications in mind, teachers could carefully choose the modes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when implementing English extensive reading program in the lessons. By doing so, it will eventually lead students to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Englis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다독의 교육적 효과 4 1. 다독의 정의 및 필요성 4 2. 효과적인 다독 활동을 위한 요건 6 3. 다독의 효과와 유용성 8 B. 전자책을 이용한 읽기 교육 10 C. 선행 연구 11 1. 다독 활동을 활용한 읽기 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11 2. 전자책을 활용한 다독 활동에 관한 연구 20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질문 25 B. 연구 대상 26 C. 연구 자료 26 1. 다독 자료 26 2. 다독일지 29 3. 사전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지 30 4. 사전사후 영어 읽기 속도 평가지 31 5. 사전사후 기본 설문지 33 6. 사후 심화 설문지 및 면담용 질문지 34 D. 연구 절차 36 1. 실험 이전 절차 36 2. 실험의 주요 활동 38 3. 실험 이후 절차 41 E. 자료 분석 42 1. 사전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지 채점 42 2. 사전사후 영어 읽기 속도 평가지 채점 42 3. 다독일지 분석 42 4. 설문 조사 결과 분석 43 5. 통계 분석 43 F. 연구의 제한점 4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5 A. 영어 읽기 능력의 비교 45 1.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46 2.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48 B. 영어 읽기 속도 능력의 비교 50 1.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 읽기 속도 향상도 비교 51 2.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 읽기 속도 향상도 비교 52 C. 다독 활동에 대한 정의적 태도 변화 비교 53 1.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 사전사후 설문 결과 변화 비교 53 2.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 사전사후 설문 결과 변화 비교 55 3. 다독일지 변화 비교 분석 56 4. 심화 설문 및 면담 결과 분석 66 Ⅴ.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5 부록 93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26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전자책을 통한 영어 다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속도 및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through E-book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Rate and Attitude-
dc.creator.othernameKim, Wooyoung-
dc.format.pageix,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