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0 Download: 0

2015 개정 교육과정 High school English 교과서에 나타난 탈어휘 동사 do, get, give, have, make, take의 코퍼스 분석 연구

Title
2015 개정 교육과정 High school English 교과서에 나타난 탈어휘 동사 do, get, give, have, make, take의 코퍼스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Delexical Verbs do, get, give, have, make, and take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uthors
이지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수연
Abstract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행 영어 교육은 어휘의 양적 확대를 중시하면서, 개별 어휘와 그 의미를 모국어로 일대일 대응시켜서 암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Hill(1990)에 따르면 원어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어휘의 70%를 연어가 차지하고 있으며, McCarthy(1990)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도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 연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개별 어휘가 아닌 어휘 간의 결합관계인 연어(collocation) 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들이 자연스러운 연어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Lewis, 1993). 그 중에서도 탈어휘 동사는 매우 중요한 고빈도 동사에 속하며, 뒤에 결합하는 명사에 따라 전체적인 의미가 결정되기 때문에 탈어휘 동사의 다양한 의미와 그 연어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언어입력을 제공하는 기본 수단인 교과서가 탈어휘 동사의 다양한 의미갈래와 용법을 제시하고 있는지, 교과서에 탈어휘 동사의 연어 분포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코퍼스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10종의 본문을 Wordsmith Tools 7.0을 활용하여 코퍼스로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탈어휘 동사의 쓰임을 분석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교과서가 각 탈어휘 동사를 어떻게 제시해왔는지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권 코퍼스를 기반으로 하는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LDOCE)를 기준으로 동사별 의미갈래를 분석한 결과, 동사별로 교과서 코퍼스에 가장 높은 빈도수로 제시된 의미갈래가 LDOCE의 그것과 일치하였다. 이에 본 교과서 코퍼스에 동사별 의미갈래가 비교적 진정성 있게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과서 코퍼스에 나타난 ‘do’, ‘get’, ‘give’, ‘have’, ‘make’, ‘take’의 의미갈래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정 몇 가지 의미갈래에 심각하게 편중되어 있다. 또한 LDOCE에 제시된 동사별 의미갈래 중에서 교과서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 의미갈래도 있었다. 셋째, 교과서 코퍼스에 제시된 각 동사의 탈어휘적 사용을 나타내는 연어의 분포도 제한적이다. 특히 ‘get’은 학습자들이 많이 접하게 되는 중요한 고빈도 동사임에도 불구하고 그 탈어휘적 사용을 보여주는 연어가 매우 적었으며, 결합된 명사의 종류도 세 가지에 불과하다. 분석 대상인 6개의 동사 모두 LDOCE가 제시하고 있는 동사별 탈어휘적 사용 연어의 종류에 비해 교과서 코퍼스에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넷째, 2015 개정 이전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를 분석한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본 교과서 코퍼스에 사용된 ‘take’의 의미갈래는 더욱 다양해졌으나 이 외의 나머지 동사들은 교과서 코퍼스에 가장 많이 사용된 의미갈래에 있어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교육과정이 개정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교과서 코퍼스에 보다 다양한 의미갈래가 제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사별로 연어로 결합된 명사의 종류와 그 빈도수가 조금씩 다르긴 하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교과서 코퍼스에 탈어휘 동사의 연어가 더 다양하게 제시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연어 학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들이 탈어휘 동사의 다양한 의미갈래와 연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가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이 탈어휘 동사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교과서에 탈어휘 동사의 연어 목록을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탈어휘 동사의 다양한 의미갈래와 연어를 제대로 파악하고, 학습자들이 이를 충분히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코퍼스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활동지와 수업 자료를 제작하여야 한다. 넷째,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연어 능력 신장을 위해 개별 어휘의 양적 확대보다는 연어를 중심으로 하는 어휘 교수를 실시하여야 하며, 교실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어 교수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코퍼스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더욱 다양한 어휘와 연어로 확장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어휘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진정성 있는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어휘 교수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One of the primary goal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for students to acquir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achieve this goal, learners should develop collocational competenc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English vocabulary. Also, collocations are essential to learn as they are used with high frequency in authentic language environments. Thus, it is crucial for EFL students to learn many collocations and to have opportunities to use the various collocations naturally for improv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articular, delexical verb collocations should receive special attention because the whole meaning of a delexical verb collocation is determined by the meaning of the following noun, not the verb itself. Delexical verb collocations are also of great importance because they mainly involve extremely high-frequency verbs, such as do and have. However, many Korean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using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and it is imperative to teach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in a systematic fash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frequencies of the six delexical verbs, do, get, give, have, make and take and the collocations including them, presented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anings of each delexical verb are analyzed based on a corpus-based dictionary,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s (LDOCE) classification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frequenc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corpus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textbooks well present the diverse meanings of these verbs and collocations found in LDOCE. It is also examined whether the usage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in the textbooks has better reflected the usage presented in LDOCE as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revised, by comparing the current results to other corpus studies based on the previous curriculums. The current corpus was constructed from te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nalyzed using WordSmith T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frequently used meanings of each delexical verb in the present textbook corpus are in good accord with the meanings that native speakers of English often use in daily communication presented in LDOCE. Second, the textbook corpus presents only a restrictive set of meaning categories of the delexical verbs, compared to LDOCE. There are several meaning categories of each verb that are not presented in the textbooks at all. Third, the textbook corpus involves only a small number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Particularly, the get collocations are the least used in the textbook with only three types of collocations. Fourth, even though the 2015 Korea National English Curriculum has been revise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do not display more divers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compared to the textbooks based on the earlier curriculums revised in 2007 and 2009.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he English textbooks should reflect more authentic examples of English from native corpus data and provide more examples of the high-frequency delexical verb collocations with various meanings. In the EFL situation in Korea, most students have little opportunity to use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in real-life language situations, in which they are used very frequently. Therefore, as the main source of language input, the textbooks should contain a more significant number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so that students can become used to authentic language data. Also, it should be helpful to have a list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s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students’ learning. Nex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rasp the diverse meanings and usages of the delexical verbs and collocations by using corpus-based programs. It will also allow teachers to create teaching material effectively based on students’ proficiency levels. Develop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s also required to improve students’ collocational compe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