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3 Download: 0

발목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동적균형과 발목 불안정성의 차이

Title
발목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동적균형과 발목 불안정성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lance and ankle instability of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patient
Authors
주사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불안정성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동적균형감각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 이다. 대상자는 무용전공 5년 이상 전공한 성인 여성으로 만성발목 불안정성(CAI) 환자의 표준 포함 기준에 만족하는 30명을 모집하였다. 독립변인은 발목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이며, 구성은 코어운동, 발목강화운동, 코어와 발목강화 복합 운동 프로그램으로, 총 세 개의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동적 균형 감각은 동적균형감각평가 (Y- BALANCE TES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ver.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집단의 운동 전,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ANOVA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 하였다. 모든 통계의 검증의 유의수준은 〈.05 로 하였다. 발목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동적 균형 감각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적 균형 감각평가(Y - BALANCE TEST )를 진행한 정면,뒤사선바깥,뒤사선안 쪽 세 방향에서 뒤사선바깥,뒤사선안쪽 두 집단이 유의하게 크게 났다. 정면(AT) 방향 에서는 코어와 발목강화운동 프로그램 〉 코어운동 프로그램 〉발목강화 운동 순으로 사전 사후 평균차이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발목강화운동만 진행하는 것보다는 코어운동과 발목강화를 통합한 두 그룹이 발목불안정성에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바깥사선(PL)방향 에서는 코어와 발목강화운동프로그램〉코어운동프로그램〉발목강화운동프로그램 순으로 사전 사후 평균 차이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쪽사선(PM)방향에서는 코어와 발목강화 통합 운동프로그램 〉 발목강화운동 프로그램 〉 코어 운동 순으로 사전 사후 평균 차이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목 불안정성 척도(CAIT) 결과 코어운동, 발목강화운동, 코어와 발목의 통합운동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세 집단 중 발목강화운동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다섯째. 동적균형감각평가(Y-BALANCE TEST) 중 앞 방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쪽사선(PM)에서는 코어운동과 발목강화 복합운동 프로그램 이 더 유의하게 높았으며, 바깥사선(PL)에서도 코어운동과 발목강화 복합운동 프로그램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발목 불안정성척도(CAIT) 결과발목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운동 프로그램 중 코어운동과 발목강화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 이였다. 안쪽사선(PM),바깥사선(PL)에서는 코어운동과 발목강화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 이였으며, 발목불안정성척도(CAIT) 결과 발목강화운동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이러한 결과는 코어운동과 발목강화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무용을 전공한 발목불안정성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 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ifferences in dynamic equilibrium sensI tivities according to type of exercise program for ankle instability patients. The following is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senses according to the exercise program for ankle instability patients. First, the two groups in the front, backside, and backside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hree directions on the front, backside, and backside, where the dynamic balance assessment (Y - BALANCE TEST) was conducted. Second, in the PL dir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e, the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the core exercise program, and the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followed by the previous average difference. Third, In the "Inside Line" dir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core and ankle strength combined exercise program 〉 ankle reinforcement program 〉 core movement 〉 core movement 〉 is high. Fourth, ankle instability scales (CAIT) showed significant movement for core, ankle hardening, and integration of core and ankle movements, but among the three groups, ankle hardening move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ifth,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dynamic balance assessment (Y-BALANCE TEST). Finall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CAI patients in this study, so we expect to analyze the various exercise programs and items of hip and buttress muscles according to more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shape of the pelvis, length of the leg, and flexibility of the leg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However, this study selected adult women who majored in dance with stable ankle. Therefore, the research on the use of foot by each major and the difference in exercise program by dance major is a later ta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