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웰빙의 차이

Title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웰빙의 차이
Other Titles
Volleyball club members’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ence depending on level of participation
Authors
김우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은아
Abstract
본 연구는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생활체육으로써 배구 동호회 활동의 효과와 가치를 입증하여 배구 동호회 활동 참여 및 생활체육에 대한 참여를 장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표본 집단은 서울, 경기 지역을 소재로 하는 배구 동호회의 20세 이상의 남, 여 회원 300명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하여 표집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등 연구에 사용하기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7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였고 통계분석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구 동호인의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회복탄력성 전체, 유능감, 신뢰 및 부정적 감정의 인내, 변화수용 및 안전한 관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의 평균값이 여자의 평균값보다 다소 높았다. 연령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회복탄력성 전체에서 30대가 20대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유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차이는 도출되지 않았다. 신뢰 및 부정적 감정의 인내, 변화수용 및 안전한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 및 직업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구 동호인의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심리적 웰빙 전체, 환경 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남자의 평균값이 여자의 평균값보다 높았고, 개인적 성장과 자아수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개인적 성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차이는 도출되지 않았고, 심리적 웰빙 전체, 환경 통제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개인적 성장에서 대학원 졸업 이상이 고등학교 졸업 이하, 대학교 졸업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 전체, 환경 통제력,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개인적 성장에서 학생이 가정주부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 전체, 환경 통제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참여빈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신뢰 및 부정적 감정의 인내에서 주 3회가 주 2회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전체, 유능감, 변화수용 및 안전한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시간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유능감에서 4시간 이상이 1시간이상-2시간미만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전체, 신뢰 및 부정적 감정의 인내, 변화수용 및 안전한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른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자아수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차이는 도출되지 않았다. 한편 심리적 웰빙 전체, 환경 통제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빈도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참여시간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심리적 웰빙 전체에서 4시간 이상이 2시간이상-3시간미만보다 높은 평균값, 개인적 성장에서 4시간 이상이 1시간이상-2시간미만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환경 통제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배구 동호인의 참여정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웰빙에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웰빙이 높았으므로 배구 동호회 활동을 통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인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웰빙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fferences i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olleyball club members and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volleyball clubs by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and value of volleyball team activities as sports for all. The research was compil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e method with 300 participants aged over 20 from the Volleyball Club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78 participants’ responses of the survey was used as final analysis data, with the exception of questionnaires that are not suitable for use in research, such as inept responses. SPSS 18.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way ANOVA, Scheffe’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by the gender of a volleyball club memb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resilience, personal competence, trust in instincts and tolerance of negative affect, positive change acceptance, secure relationships, and the average of men was slightly higher than women.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by age has been significant, indicating higher average of 30s than 20s in total resil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or occupation.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gender in volleyball club memb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environmental mastery, and the average of men was generally higher than women.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age has been significant in personal growth.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growth, with higher average of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occupation was significant, with students showing higher averages than housewives in personal growth.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olleyball club memb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with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with higher average of three times a week than two times a week in trust in instincts and tolerance of negative affect.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with the time of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average of more than 4 hours is greater than 1 to 2 hours in personal competence. Fourt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olleyball club members was significant in self acceptance ov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time of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average of more than 4 hours is higher than 2 to 3 hours in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verage of more than 4 hours is higher than 1 to 2 hours in personal growth. In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olleyball club. Participating in volleyball clubs three times a week and participating in volleyball for more than four hours will help improve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