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참여한 여성학습자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참여한 여성학습자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the female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art education program as adult education
Authors
주민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 학습자들에 대해 이해하고자 함이며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의 동기, 생각, 가치관, 삶을 질적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프로그램으로 판화를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크스크린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판화는 다른 회화수업과는 달리 여러 장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복제성의 특징을 가지는데 특히 실크스크린은 다른 판화의 방법과 다르게 작업의 단계가 간략하고 용이하다는 점, 그리고 어느 표면에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크스크린은 에코백이나 파우치, 달력, 노트 등 학습자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직접 사용할 물건을 만든다는 점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삶과 미술교육이 더욱 긴밀하게 연관 지어 질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인 여성 2명으로 2018년 10월에서 11월까지 하나의 프로그램이 4시간으로 설계된 총 5개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방법 중에서도 하나의 현상을 관찰하는 현상학적 측면의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에 따른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문화 기술적 연구 방법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문화 기술적 연구의 자료 수집 방법인 현장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의 방법을 통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장 참여 관찰은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녹음을 하여 수업이 끝난 즉시 전사를 하였으며 전사하는 과정에서 특별하게 관찰되었던 연구 참여자들의 몸짓이나 표정, 언급한 단어를 강조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모든 자료는 기술의 단계에서 전사를 하였고 그 외에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작품사진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해석함에 있어서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 방법 중에서도 Wolcott의 ‘기술’, ‘분석’, ‘해석’의 연구절차를 따랐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 코딩 작업을 거쳐 범주화 단계에서 자료를 하위 범주와 상위 범주로 구분한 뒤 주제를 찾아 분석하여 해석에 도달하였다. 심층 면담은 반 구조화된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여 개방형 인터뷰를 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반복적 비교 분석법의 방법을 통해 상위 범주와 하위범주를 토출하였다. 도출된 상위 범주와 하위범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범주 ‘자신감’에 따른 하위 범주로 ‘자기 자신을 위한 지식 추구’, ‘사회적 가치로서의 존재’로 구분되었다. 둘째, 상위 범주 ‘내면표출’에 따른 하위 범주는 ‘감정해소’, ‘일상의 이야기 또는 소재’로 구분되었다. 셋째, 상위 범주 ‘소통’에서는 하위 범주 ‘사회 활동’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넷째, 상위 범주 ‘자아 성찰’에서는 ‘삶 되돌아보기’, ‘앞으로의 계획’이란 하위 범주를 구성할 수 있었다. 다섯째, 상위 범주 ‘만족과 성취’는 ‘자발적 학습’이라는 하위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렇게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한 범주화를 통해 총 5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참여한 여성학습자에 대한 질적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였던 성인여성학습자들에게 학습의 의미는 공통적으로 ‘자아’와 연관이 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 참여 동기를 ‘원하는 것을 하기 위한 지식 추구’와 ‘스스로 사회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 참여 동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동·청소년과는 다르게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심층 면담을 진행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즐겁다’, ‘재밌다’, ‘만족스럽다’라는 단어를 많이 언급하였다. 이처럼 자발적인 학습의 참여가 그들에게는 가치 있는 교육이 되며 그것으로 인해 교육의 만족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현재 삶의 만족도 함께 올라가는 것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미술교육만이 가지는 작품 제작 활동과 감상 활동은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여성학습자들에게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참여의 의미는 작품 제작 활동을 경험하면서 궁극적으로 그 안에서 여성학습자의 자아 실현을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성인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기관들의 현황을 분석하거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 또는 중년 여성이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대상이 중년에서 노년층 여성인 이유는 성인교육이 평생학습의 한 형태이기 때문임을 이해함과 동시에 30-40대의 성인 전기의 여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았다. 앞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들의 정서적,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그들의 삶과 연관한 성인교육의 참여 동기와 학습자들의 사회적, 개인적 배경이 함께 고려된 깊이 있는 질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male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art education program as adult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learners' motivation, thoughts, values, and life gained through the art education program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amine phenomenological cases. In this study, prints were selected as an art education program, and among them, the study focused on silk screen. Unlike other painting class, prints are characterized by its reproducibility that can produce several pieces of work at once. In particular, silk screen is different from other printing methods in that the steps of work are simple and easy, and that they can be produced on any surface. For this reason, the fact that the silk screen makes things such as eco bags, pouches, calendars, and notebooks which people can directly use in their everyday life through their own works indicates that their lives and art education can be more closely related so that it can be the appropriate subject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females and the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five art education programs, which was designed as a 4-hour progra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8. The study implemen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henomenological aspects of observing a phenomenon. The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nd then,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field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method which is the method of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On-site participation observation was recorded during the course, and then it was transcribed after class.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gestures, expressions, and words of the participants observed during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Besides, all data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ransferred at the stage of description, and used to interpret the research. The study followed Wolcott's "Technolog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research process amo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nd t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and top categories to analyze and make conclusion. In-depth interviews consisted of open interviews by desin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deducted top and bottom categories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derived upper and lower catego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category 'confidence' is classified into 'pursuit of knowledge for oneself' and 'existence as social value' as sub-category. Second, the upper category 'inside expression' classified into 'emotion release' and 'everyday story or issue' Third, in the upper category 'communication', 'social activity' and 'interaction with others' were shown as sub-category. Fourth, the upper category consisted of 'self reflection', subcategories of 'looking back through life' and 'future plans'. Fifth, the upper category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as classified into subcategory of 'voluntary learning'. Through this categorization wit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5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to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on female learners participating in art education as adult education are as follows. For adult female learners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meaning of learning can be associated with 'self'. The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engage in the education to 'pursue knowledge to do what they want' and 'to be a valuable person in society'.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are different from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at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learning as it can be seen from their motivation. During the in-depth interview, the they mentioned words like 'enjoyable', 'fun', and 'satisfactory' a lot. In this way, since the participation of voluntary learning is a worthwhile education for them, it is identified that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their current life as well as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increa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only art production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of art education can genuinely fulfill the role of medium expressing inner emotions or assisting interaction with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art education as adult education for female learners is ultimately for their self-realization by experiencing the work of making art pieces. Currently, study on art education as adult education is mainly focused on researches on analyzing the status of institutions or developing programs, or research on middle-aged women or elderly people. The reason why the subject is an elderly woman in middle age is that the study of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s is not active, and adult education is a form of lifelong learning. Althoug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 the program,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learners of various age groups and to conduct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considering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adult education and their social and personal backgrounds. In this sens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se fields which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