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중학교 자율동아리 참여 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교 자율동아리 참여 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Learning 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 Focusing on Art Activities
Authors
이주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오늘날처럼 정보화, 글로벌화, 과학화가 진전될수록 현대적 리더십에 대한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장영철 외, 2006). 통제와 지시를 강조하는 전통적인 리더십으로는 구성원들의 성취를 더 이상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리더십 대체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자기관리의 개념을 확장하면서 새로운 리더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강정애 외, 2010).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의해 1986년 Manz에 의해 최초로 셀프리더십에 대한 개념을 제안되었다. 셀프리더십이 현대에 주목받게 된 것은 리더십과 비교되는 셀프리더십만의 차이점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리더십이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라면, 셀프리더십은 ‘자기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영향력의 행사에 있어 외부적으로 리더십을 보던 관점을 내부적 프로세스로 돌린 것이 셀프리더십이다(이임정 외, 2009). 셀프리더십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기실현적·주기주도적·자기계발적 리더십을 의미한다(황재영, 2016). 특히 중학교는 논리적 사고가 발달하고 자신의 내면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는 단계(전희일 외, 2018)라는 점에서 셀프리더십 개발에 중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셀프리더십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관련된 동아리를 개설하여 만든 자율동아리 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휘된다. 특히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자율동아리는 활동과정에서 셀프리더십의 전략을 사용할 기회가 많이 주어지는데, 이는 미술의 특징과 관련되어 있다. 미술은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율성, 책임감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의사와 개인적인 권리를 존중하며, 스스로 생각하여 자신을 평가하도록 이끈다(임정기 외, 2006). 이처럼 학생들이 자신의 자발적인 의사를 존중하고 스스로 생각하여 본인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은 셀프리더십의 전략을 연습할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렇듯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활동이 요구되면서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심리적 현상을 나타나는 학습몰입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학습몰입은 학습자가 과제해결을 하기 위하여 모든 활동과 정신과정을 하나로 만드는 최상의 집중경험을 의미하며, 셀프리더십에 관련된 심리적 현상이다. 몰입상태를 경험하기 위해 필요한 자율성 중심의 내적 리더십이 셀프리더십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이다(김유미, 2016).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환경의 변화에도 자신 내면에서 주도권을 갖도록 돕는 셀프리더십을 통해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 양상을 파악하고 그 결과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소재의 8개 학교, 10곳의 미술활동 중심의 자율동아리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셀프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는지 양상을 파악하고, 정량적 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교육에서 학습몰입을 이루기 위해 자율동아리와 셀프리더십과 관련한 제안점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자율동아리에서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교 자율동아리에서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과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의 상대적 기여도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들은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자율동아리를 통해 어떤 양상과 과정으로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8곳, 10개의 자율동아리 참여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총 108(100%)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양적 결과에 대한 통계적 자료처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으로 분석할 수 없는 부분은 주관식 문항과 인터뷰룰 통하여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얻은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자율동아리에서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셀프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인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모두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교 자율동아리에서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이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영향력의 크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몰입은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은 행동 중심적 전략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은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으로 나타났다. 감성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은 자연적 보상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은 자율동아리에서 미술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행동적 전략인 자기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비평과 인지적 전략인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을 모두 사용하여 셀프리더십을 활발하게 발휘하고 있는 것을 학생의 지술과 담당교사의 인터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 별로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다르고, 자율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미술활동에서 셀프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앞으로 학습자의 잠재된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중학교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몰입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As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and scientification advance, the need for modern leadership is increasing (Jang Young-chul et al, 2006). Recognizing that traditional leadership, that emphasizes control and direction, no longer improves members' achievements, a need for new leadership emerged as it expands the concept of self-management based on the theory of leadership substitution (Gang Jung-ae et al, 2010). By the demands of these times, the concept of self-leadership was first proposed by Manz in 1986. The reason why self-leadership has become the center of attention in modern times is because self-leadership has a unique difference compared to leadership. While the leadership so far is the process of influencing others, self-reflection is the process of influencing oneself. Self-leadership is a shift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of leadership to an internal process in the exercise of influence (Lee Im-jung et al, 2009). Self-leadership refers to self-directed, self-realization, and self-improvement leadership to achieve one's goals (Hwang Jae-young, 2016). Especially middle schools are an important time for developing self-leadership in that students develop logical thinking and start paying attention to the inside of themselves (Jeon Hee-il, et al, 2012). Self-leadership is naturally us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where students set up a club related to their careers and aptitudes. In particular, voluntary club activities centered on art activities provide many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se self-leadership strategies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which a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rt. Art emphasizes learners' activism, autonomy and responsibility, respects students' voluntary thoughts and personal rights, and leads them to think for themselves and evaluate themselves (Im Jung-ki et al, 2006). Allowing students to respect their own voluntary intentions and to think for themselves and evaluate themselves can be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The demand for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each learner's autonomy draws attention to learning flow, which shows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about students’ learning. Learning flow refers to the best concentration experience that enables learners to combine all of their activities and mental processes to solve a task, and is a psychological phenomenon related to self-leadership. This is because internal leadership centered on autonomy which is needed to experience a state of flow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elf-leadership (Kim Yu-mi, 2016).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learning flow through self-leadership, which helps them to take the initiative within themselves in the changing circumstance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spects that students perform self-leadership and how it affects learning fl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how self-leadership works in participating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10 voluntary club activities centered on art activities of eight middle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ddition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student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nd provides suggestions related to voluntary club activities and self-leadership to achieve learning flow in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pecific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self-leadership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affect their learning flow in a middle school? Second, what is the relative contribu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and the sub-variables of learning flow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Third, with what aspect and process do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 self-leadership through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108 students from age 12-16 that joined 10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from eight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All 108(100%)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s the final analysis material. The data was collec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quantitative results and was processed electronicall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sion 19.0.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ections that could not b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were analyzed to derive conclusions through subjective items and the interview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of a middle schoo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flow.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such as behavioral-orient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all been identified as variables that affected learning flow.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tent of the influence in that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related to art in a middle school affected the sub-variables of learning flow. Cognitive flow, the sub-variables of learning flow, emerged as behavioral-oriented strategies,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that affected behavioral flow appeared as behavioral-oriented strategies and natural-reward strategies.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that affected emotional flow have been found to be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Thir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teachers in charge of voluntary club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ble to actively exercise self-leadership, using both behavioral strategies such as self-goal setting, self-reward, self-criticism and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art activities. The above study found that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that the relative extent of influence on the sub-variables of learning flow by the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was different, a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performed self-leadership in their art activities. I hop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learning flow more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and develop their potential self-leadership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