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 class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sociality and self-efficacy : focusing on th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모든 것이 지능화되고 서로 연결되는 새로운 사회를 의미한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는데, 클라우드 슈밥(Klaus Schwab)은 이 혁명을 기술의 융합(Convergence)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융합기술이 주도하는 새로운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부는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는데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핵심으로 하였다. 이를 목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행복한 학습이 되도록 방향성을 두고 있다.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협동학습’이 있는데,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중 민주적 특성을 지닌 GI협동학습 모형이 대두되고 있다. GI협동학습은 학급이 탐구 공동체가 되므로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학업 성취의 효과가 높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인의 과제가 주어지는 개별적 책무성으로 무임승차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과제와 구성원의 관계지속성이 강조되어 협력 관계를 통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연구는 GI협동학습을 적용하여 미술수업을 실시하고 이러한 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유아 교육기관에서 벗어나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며 이 시기에 형성된 자기효능감은 앞으로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시기의 아이들은 성격의 틀과 자아 개념이 형성되며 학교 적응을 통해 사회성을 키운다(박아청, 2007). 그러므로 학생 참여 중심의 협동학습을 선택하여 학생들에게 친숙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주제로 계절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보고 주변의 현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적용한 입체표현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고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평가지에서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평가와 조원평가를 포함한 학습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GI협동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의 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입체로 표현하는 것이며 학생들이 조를 구성하여 다양한 재료로 각 계절에 어울리는 풍경과 분위기를 표현하는 활동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초등학교 1학년 20명의 학생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사회성 검사도구는 김종두(2010)가 개발한 ‘초등학생 사회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는 김아영(1997)이 수정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에 학생들에게 검사를 실시하고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이 만든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의 내용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0.75점 증가하였으며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0.63점이 증가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측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실기 결과물과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평가지를 통해서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교사의 관찰과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를 통해 알 수 있었는데, 매 차시 학생들이 자신의 조에 작품에 적극적인 태도로 조원들과 협동하여 표현하였으며, 활동 평가에서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GI협동학습을 적용한 봄, 여름, 가을, 겨울 입체표현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 증진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fers to a new society in which everything has become intelligent and interconnected with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the 2016 World Economic Forum, discussion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and Klaus Schwab defined the revolution as a convergence of technologi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new industrial structure led by this convergence technolog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vised the curriculum, which has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at its core. For this purpos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aim at happy learning that fosters core competencies. Cooperative learning i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ith democratic characteristics has been emerging as one of the teaching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highly effective compar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by making class as a studying union and enables students learn more effectively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In addition, it can solve the problem of free rider by imposing individuals on responsibility to take charge of each task and achieve an active interaction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 by emphasizing relation consistency between tasks and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 cooperative learning on art class and the effect of these classes on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th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t ou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djust themselve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e self-efficacy formed at this time has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school life in the future.In addition, the children of this age have a frame of personality and self-concept, which enhances sociality through school adaptation (Park ah-chung, 2007). Therefore, by choosing cooperative learning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students were asked to think about seasonal changes in familiar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ubjects and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surrounding phenomena. As a consequence,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stereoscopic expression art class applying cooperative model on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th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ense, thre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how the art class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mproves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dentify how it also influen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on, social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ociability. Second,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n confidence, self-efficacy of self-control and task level of difficul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Third, the study also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rt lesson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students' practical performance results, activity log, and evaluation log through study guides including observation and peer evaluation. It is an activity that students make a group and express the scenery and atmosphere suitable for each season with various materials. Therefore, the study design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The theme of the designed program is to express 'four season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in three dimens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Seocho-gu, Seoul and 8 class in totall were conducted. In order to estimate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the evaluation tool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by Kim, Jong-Du (2010). The self-efficacy test tool used in the study was the self-efficacy scale modified by Kim, A Young (1997). In order to measure the students' sociality and self-efficacy, the student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and results derived from the actual performance results and activity logs written by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 =-2.986,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ve ability, and sociabil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ociality.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lass us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to pre-test of self-efficacy, the score of post-test increased by 0.63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aspects of 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and task level of difficul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t=-4.341, p<0.001). Third, it is found that the art lesson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positively affects students through the actual performance results of the study, the activities log and the evaluation paper created by the students. In particular, through observation log of teachers and activities written by the students,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in cooperation with their members in an active manner in their groups in each class. This implies that there was a positive interdependency among students during the process of exchanging positive feedbacks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art classes of 3D expressions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study can fi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art class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shows meaningful results in promoting students’ sociality and self-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