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 협동수업 사례 연구

Title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 협동수업 사례 연구
Authors
이새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육의 목표를 과학기술 창조력과 인문학적 상상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의 육성으로 명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창의 융합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의 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여러 기관 중에 학교는 아동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모든 학생에게 지속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여 창의적 인재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관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데, 예술가와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한 차원 높은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 전문적인 배움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와 함께 하는 협동수업의 중요성과 효과성을 알아보고, 예술가 협동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 예술가 협동수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예술가 협동수업 사례 조사와 관계자 개인 면담을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예술가 협동수업 설계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예술가 협동수업을 설계하였다. 넷째, 연구자가 설계한 예술가 협동수업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갖는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객관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하는 ‘2016 문화예술교육 효과 지표 구축 기초 연구’에 제시된 효과 측정 설문지를 측정 도구로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예술가 협동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실험학급 담당 교사 2명과 예술가 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등을 진행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섯째, 수집한 설문의 통계 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정량 분석하고, 심층 면담 및 관찰 일지를 종합하여 정성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참여 학생들의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사후 검사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사전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검사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문화적, 인지적,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예술가 협동수업이 실험 참여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 설문, 학생 8명 대상 심층 면담과 관찰 일지를 통해서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예술 흥미도와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실험에 참여한 실험 학급 담당 교사, 예술가, 학생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대상별로 프로그램에 기대했던 다양한 효과를 얻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와 교사 2명과의 심층 면담을 한 결과,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 정책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장기적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제도 구축, 선발된 예술가 강사 역량 관리 시스템, 교사와 예술가의 중간 매개자 필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 같은 개선 요구를 반영해서 수준 높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예술가 협동수업의 효과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 예술가와의 협동수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양적 결과로 분석하고 교사·예술가의 면담을 통해 질적 결과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예술가 협동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사, 예술가, 학생 의견을 심층적 탐구를 통해 종합하여 예술가 협동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와 연구결과가 앞으로도 진행될 예술가 협동수업을 비롯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연구에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tated that the aim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alented students who have a science and technology interdisciplinary creativity and humanistic imagination. As a result, efforts are being made to foster creative tal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Discussions on the revitaliz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re being carried out as part of these efforts. Among various institutions that provide cultural arts education, school is an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constant art education in school culture to all student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nd it is regarded as an institu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which raises its significance.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lessons with artists provid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artistic experience and professional 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class with artists as a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and to suggest specific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ng collaborative arts class.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riv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study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n culture arts education, school culture arts education, and artist cooperative class. Second, materials were collected for designing artistic cooperative classes as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cooperative classes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Thir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artist cooperative class was designed as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Fourth, pre- and post-questionnaires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art classes designed by researchers as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to 54 students in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quire more accurate results, questionnaires of '2016 Cultural Art Education Effectiveness Measurement Index' presented by the Korea Culture & Arts Promotion Agency were utilized as a measurement tool to conduct pre- and post-questionnaires on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th,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5 teachers in order to identify how to activate artistic cooperative classes as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wo teachers of experimental class and one artist. Sixt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22.0, and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lo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ooperative class with the artist was effective as a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art education in post-test was significant in all area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cultural, cognitive, and social fields of the subscales of the effectiveness test of cultural art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stic cooperative class design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effectiveness toward participant students in the experiment. Third, the questionnaire on satisfaction of class, an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logs of 8 students showed that artistic cooperative classes as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in arts and their perception. Fourt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rtists, an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lass sugges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y gained various effects expected from each program. Fifth, the questionnaires for 55 teachers were conducted and the two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y have a positive perception since they intend to cooperate with the arti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activate the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gram at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level. In the long term,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to provide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to establish the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of selected artists, teachers, and mediators between teachers and artists. There is a need to build a system which can provide a high quality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for impro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