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2 Download: 0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on the empathy ability of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신효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경쟁 속에서 살아가면서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성향으로 인해 원활한 인간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노력과 상대방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존중을 갖는‘공감적 태도’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 교육부의 학교폭력실태조사에 따르면 텍스트 위주로 이루어지는 사이버 공간에서 얼굴 표정, 손짓, 몸동작 등의 비언어적인 소통이 아닌 자신이 드러나지 않는 익명성이라는 공간의 특성을 이용하여 타인을 공격하고 비난하는‘사이버 불링’(cyber-bullying)이 심각한 학교 폭력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교육부, 2018). 따라서 학생들이 나와 타인이 공존하는 사회 속에서 올바른 가치관의 함양과 긍정적인 인성발달을 할 수 있는 공감교육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를 통한 공감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공동체 속에서 책임의식을 갖고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 할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미술교과에서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기 스스로를 성찰하며 미술문화를 보다 폭 넓게 향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미술 감상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계발·성찰하고 미술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미술 감상수업은 학생들이 공감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가치판단, 사고의 전환, 자기인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하여 타인과 자신의 반응을 공유하면서 공감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 감상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사실적인 표현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나 표현활동이 자유로운 고등학생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작품을 해석하고 자신과 경험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연계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반응중심학습법과 공감능력,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개념과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작가의 삶과 시대로 보는 작품 감상을 통해 ‘나의 삶 표현하기’라는 주제로 총 6 차시의 감상수업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Y고등학교 2학년 32명으로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데이비스(Davis, 1980)가 개발한 성인용 대인관계 반응척도를 김성은(1997)이 중학생용으로 번안·수정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업이 종료된 후, 사전·사후 공감능력 검사지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업과정에서 수집된 활동지, 실기결과물, 수업만족도 조사, 수업 소감 인터뷰, 관찰일지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연구 방법으로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공감능력 검사를 비교한 결과 공감능력과 공감능력의 하위영역 평균이 증가하였다. 분석결과 공감능력에 있어서는 사전검사에서 사후검사공감능력이 0.88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의 네 가지 영역에서 모두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작성한 감상 활동지와 표현 활동의 결과물의 질적 분석을 통해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감상수업이 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과 실기결과물의 완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감상과 연계한 표현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아 성찰의 기회를 가지고 자신을 이해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만족도, 학생들의 소감 인터뷰 , 연구자의 관찰일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 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미술 감상수업에 대한 흥미, 관심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이루어진 모둠활동과 작품에 대한 토론활동을 통해 미술 감상수업에 대한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신과 타인의 삶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자신을 둘러싼 주변 세계를 이해함으로서 남을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여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으며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live in competition and have difficulties in making and communicating smooth human relations due to individualism and selfishness. This problem can be easily found among young peop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ck of 'empathic attitude' which involves an effort to understand other people and a serious interest and respect for the othe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actual status of school violenc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recent years, cyber space based on text is attacking and criticizing other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nonymous space, rather than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 hand gesture, and 'cyber-bullying' has become a serious school violence problem(Ministry of Education, 2018). Therefore, empathy education is prerequisite to cultivate the right values ​​and develop positive personality in a society where students and others coexist. At the current school, empathy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is required to enable students to grow into a mature person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the arts curriculum emphasizes appreciation of arts by pursuing to reflect on oneself through art activities and to enjoy arts culture more widely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foster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reflect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while cultivating and reflecting on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participating in art activities. Based on this, art appreciation classes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empathic abilities. Based on this, the art appreciation class is designed to enhance empathy ability by sharing the reaction of others by using the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which involves value judgment, change in thoughts and self-reflection.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an interpretation of the work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free from stereotypes of realistic expressions with objective viewpoints, and associated them with expressive activities that can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fre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on the empathy ability of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empathy ability,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its relationship. And the study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by analyzing the appreciation fields of ​​the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6 classes of appreciation were designed with the theme of 'expressing my lif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works by the artist's life and the tim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middle school students of Y high school in Seoul city and in order to measure empathy ability, empathy ability test revised by Kim Sung eun (1997) from the original adults interpersonal response scale developed by Davis(1980) was utilized. After the class, the pre-and post-empathy test sco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activities, actual results, class satisfaction survey, interviews on class and observation lo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empathy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empathy ability and the sub domain average of empathy abilit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mpathy ability of the post test was increased by 0.88 points in the pre-tes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all four areas of 'empathy', 'taking perspective', 'imagining', 'personal pain', and 'empathic interest'. Secon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the results of the expressive activities, it was discovered that the appreciation classes using the response-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mpathy 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 completion of the practical results. Through expressive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appreciation, students were able to find and confirm their interest in the clas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mselves with the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by trying to express and understand themselve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students' interview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not only improved students' empathy but also increased their satisfaction of class and interest in art appreciation class. In addition, through the group activities and discussions on the works,positive change in learning attitude toward art appreciation class was shown and also affected class participation positivel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ability of the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empathy ability can be improved by cultivating the attitude of respecting others by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world of oneself and others and respecting the lives of and others. Moreover, the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attitude with the reaction-based learning method which increases students' inter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