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1 Download: 0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Collage Technique on Communic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lub Activity.
Authors
김여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현재의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과 공동체를 이뤄 살고 있기 때문에 타인의 의견을 원만하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미술교과는 자신이 생각한 바와 느낀 점을 시각적으로 구체화시켜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교과로서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면의 목적에 맞게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교육부, 2015). 소통이란 단순히 대화를 하는 것에서 나아가 나의 가치관 및 생각을 이해하고 타인의 가치관과 생각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는 토론 활동을 통해 이러한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콜라주 기법은 이미 있는 이미지로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표현력의 한계에 있어 미흡함을 두려워하는 학생으로 하여금 보다 더 효율적으로 창의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돕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이근매·양종국,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과 콜라주 기법, 자화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탐색한 후 수업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소통능력과 콜라주 기법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조사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하고 수업에 적용하였을 시의 교육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셋째,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자화상 표현 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본 연구와의 관계성을 살펴본다. 넷째, 의사소통능력과 콜라주 기법이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표현 활동과 관련된 단원을 선정한 후 평가도구를 선정한다. 실기평가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여섯째, 서울시 소재의 J고등학교 미술 동아리 남학생 10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고 표현수업을 위한 사전 인식도 설문지 조사 및 의사소통능력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6차시에 걸쳐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의사소통능력 검사 실시 및 학생 자기평가지 및 동료평가지, 수업만족도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소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여덟째, 학생들의 제작활동 결과물과 인터뷰, 평가지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아홉째, 실험을 마무리한 후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의사소통능력의 사전·사후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 및 방법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집단의 의사소통능력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의 전체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어서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인 해석, 역할수행, 자기제시, 목표설정, 메시지 전환능력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자의 관찰평가와 실기 결과물의 질적 분석을 통해 활동지와 토론 활동이 잘 이뤄진 학습자의 실기 결과물이 토론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은 모둠에 비해 비교적 높은 완성도와 구성면에 높은 점수를 이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 제작에 앞서 진행된 토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다양하게 낸 모둠의 경우 그 모둠 안의 그룹원이 다른 조원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완성도와 창의적인 작품을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수업 이후 진행된 수업 만족도 설문 결과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새롭게 접한 콜라주 기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토론을 통해 타인의 시선과 생각을 알아가고 자신이 생각한 것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방법과 타인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수업을 통해 타인과의 대화 방식에서의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타인의 의견과 생각을 수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업에 만족도 또한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의사소통능력 측정 결과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전체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기 결과물, 평가지, 연구자의 관찰평가, 인터뷰 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inevitable that we currently live in a community with various people, it is essential that people should possess the ability to accept others' opinions smoothly. Therefore, the art curriculum is a curriculum which enables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by visualizing what they think and feel, and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can construct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purpose they want to express (Ministry of Education, 2015). Communication should be a matter of understanding conversation as well as understanding my values ​​and thoughts,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s values ​​and thoughts and this study has enabled this communi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 collage technique has the advantage that it makes people easily express their feelings with images already existing, and it is a technique to help students who are afraid of lacking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more efficiently, creatively and abstractly (Lee Geun-Ma·Yang Jong-guk, 201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portrait expressions using collage technique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communication ability, collage technique, and self-portrait, the study derives the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and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to figure 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 Seco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ge techniques were examined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dentified when applied to class.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self-portrait in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and its relation with this study will be examined. Fourth, how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age technique are utilized in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was suggested and based on the analysis, after analyzing high school art course curriculum and high school art textbook in 2015 revis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ifth, after selecting the unit related to the expression activity, the evaluation tool is selected. The practical evaluation wa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Sixth, 10 male students of J high school art clubs in Seoul were selected as a single group, and questionnaire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previously surveyed. Seventh, the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the collage technique was carried out for 6 times, and post-communication ability test, student self and peer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proceeded to stud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tudents asking them of their feelings after class. Eighth, the results of students' production activities, interviews, and evaluation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Nin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statistic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e- and post-results of communication ability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 WIN statistical program 22.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verage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tes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single group. Consequently, meaningful results were acquired in all field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cluding interpretation, role performance, self presentation, goal setting, and message transfer ability. Second, through the observation evaluation of the researcher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ractical result of the learner who performed well with the activity log and the discussion activity achieved a high score in the higher level of completeness and composition compared to the group in which the discussion activity was not actively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group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activities and suggested various opinions prior to the production of the work, it was found that the group members which presented a number of diverse opinions produc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completeness and creative work than the other staff members. Thir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the class,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interest in new collage technique increased.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discussions, learners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viewpoints and thoughts and learn how to deliver their thoughts to others,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mpromising with others as well. In addition, through the class, positive changes were recognized in the way of conversation with oth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of gathering opinions and respecting others' thoughts. As a result,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lass was see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the collage techniq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communication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onclusion that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collage technique positively affect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result, evaluation survey, researcher's observation log and interview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