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한 디자인 수업이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한 디자인 수업이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esign Class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sciousness through Sustainable Develpment Education Using PBL : Focusing o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uthors
공수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움직임을 이끌고자 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다. 학습자의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학습자 주체적인 경험과 생활에의 전이에 효과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기존의 환경교육을 뛰어넘어 학습자의 의식과 태도에 직접적인 변화를 돕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데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미술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환경 문제를 다루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 때 학습자 태도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이끌기 위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고등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 실천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캠페인 형태의 수업 제재를 문제로 선정하여‘넛지를 활용한 환경보전 캠페인’을 위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은 디자인의 기획, 재료, 과정, 폐기에 이르기까지 환경을 고려하며 사회적 책임의식을 지닌 디자인 개념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이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고 책임의식, 반성적 사고 함양을 목적으로 하며 총체적 접근으로 해결방안을 고민하여 지속가능발전으로의 태도 확립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BL의 활용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환경보전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연구의 가설을 세우고, PBL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환경보전의식, 문제중심학습,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미술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단순 무선 표집으로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 이들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경부(2014)의『환경교육 만족도 및 환경의식 태도변화 조사 결과보고서』의 설문지를 환경보전의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각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진행, 실험집단에는 독립변인 'PBL'을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식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처치하였다. 실험 후 환경보전의식의 측정 결과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 후 비교,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 환경보전의식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0.45점 높게 나타났다. 즉, 강의식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보다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환경보전의식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환경보전의식 검사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 수업은 실험집단의 환경보전의식과 환경보전의식의 하위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사전 환경보전의식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0.77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환경보전의식의 하위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두 집단의 실기 결과물을 평가하여 PBL이 학습자의 실기 결과물 완성도에 더욱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PBL을 통해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과정을 거치며 문제해결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업 만족도 설문 조사를 통해 PBL을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PBL 문제로서 환경보전 캠페인이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을 돕고, 이 과정에서 주제에 대한 흥미도와 활동에 몰입도가 더욱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한 고등학생의 환경보전의식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개발‧실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환경보전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객관적인 결과를 확인하였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한 디자인 수업의 효과와 실천적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은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 습관,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 신장으로 하여금 환경보전의식을 비롯한 삶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적용하여 실천하는 소양을 기를 수 있음에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This study is based on the movement towar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aims to lead the global movement to solve the environmental crisis facing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aims to suggesst Education for Sustainable (ESD), which helps to create an effective art education program for learner-oriented experience and transition to life through direct activities of learners, and to help students directly change consciousness and attitude beyond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stainable design lesson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learners by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 necessity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associating art educ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order to derive the natural change of the learner's attitude, problem-based learning (PBL) was applied to develop practical ability such as higher-order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designed a sustainable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ampaign' using Nudge, by selecting a campaign type of classroom sanction which can induce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Sustainable Design’ is a design concept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 from the planning, materials, process, and disposal of design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into account. Therefore, sustainable design classes can be expected to establish students’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 purpose of making them consider social issues, raise responsibilities and reflective thinking, and take into account solutions through a holistic approach. In this study, PBL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the use of PBL would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sustainable design class. Based on these plans, it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arts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problem-based learning, sustainable design. Two classes in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were selected research subjects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and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se two classes, the questionnair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Attitude Change Research Repor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was used to measu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sciousness. Each class was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conducted experimental study.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to sustainable design class by using independent variable 'PBL', and traditional style of sustainable design clas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sciousne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Ver. 21.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ost-environmental consciousness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0.45 point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 using PBL had more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an lecture style class of sustainable desig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and post-environmental consciousness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s class positively influenced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sub-area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vealed to be 0.77 point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the pre-environmental consciousness test, and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lso observed in the sub-area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sciousness. Third, by evaluating the actual results of the two group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BL more influenced the completion of the learner's actual product. This implies that the lesson would have been a learner-led class through the PBL and practically helped solve the problem. Fourth,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survey of class,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sustainable design class by applying PBL was high. This is because the PBL probl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campaign assists the learner-led learning, and helped learners raise the interest in the topic and the become more immersed in the activity in this process. The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sustainable design class' using PBL to effectively raise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rt subject. Through this study, it demonstrated the fact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 learner's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t also discovered the effect and practical possibility of design class throug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addition, in the arts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the less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ims to develop the self-directed studying habit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pply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includ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