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초현실주의 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현실주의 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class applying surrealism technique on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bility : focusing on the 1st and 2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Authors
안혜성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를 맞아 범람하는 이미지와 정보의 체계 속에서 누구나 이를 무한정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복잡하고 비 구조화된 문제에 부딪혔을 때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며,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 낼 수 있도록 인지적 융통성의 배양과 더불어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입시위주, 암기위주의 경쟁이 만연한 교육환경 속에서 학생은 일상 속 시각을 전환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갇힌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고차원적이며 다원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게 될 것이다. 더불어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미적 감각의 함양과 더불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교양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편적인 교육을 받는 학습자가 미적 감각을 소유하고올바른 방식으로 문화를 향유하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아동기부터‘창의적 표현능력’의 함양이 필요하다.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 까지 미술교과의 목표는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한 표현 및 감상능력과 창의성의 증진에 방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목표와는 달리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킬 미술 프로그램의 활용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실제 교육현장에서 창의성계발을 위한 적절한 미술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입각해 학습자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안으로 20세기 미술사조 중 가장 실험적이었고, 인간의 내면세계와 창조적 상상력의 세계에 주목하였던 초현실주의 사조의 기법의 활용을 제시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의 원천은 자유로운 상상력이기 때문이다. 초현실주의에서 발견되는 무의식, 꿈, 우연성에 의한 대담한 방식의 결합 등을 살펴보고 초현실주의의 주제, 기법, 구성방식을 미술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시각적사고의 유연성(손지현, 2014; 이모영, 2006)이 성장할 수 있을 것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창의성 및 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초현실주의 대표기법을 선정,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현실주의, 아동미술 그리고 창의적 표현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초현실주의와 아동미술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둘째, 초현실주의와 아동미술의 관련성을 찾기 위해 본 연구대상의 연령을 아우를 수 있는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과정에서 적용된 초현실주의기법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가졌으며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단원을 선정, 초현실주의의 대표기법 6개로 구성한 7차시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양천구 목동에 소재한 M초등학교의 돌봄 교실 1-2학년 3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실험연구를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창의적 표현력 검사를 실시하고 7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뒤 사후 창의적 표현력 검사를 재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창의적 표현력 검사는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실기결과물의 평가도구는 윤성연(2013)과 변아영(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실기 평가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제작하였다. 평가영역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의 미술교과 내용체계와 5세 누리과정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였고, 하위 영역은 Lowenfeld(1987)가 제시한 창의성 요소 중 9가지를 선정하여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항목 및 채점기준의 내용타당도는 아동미술교육전문가 1인과 전공지도교수로부터 검증받았다. 이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미술교육 관련 전문가 2인과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사전·사후 결과물을 평가기준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평가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만족도 설문을 통해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검증하여 본 연구의 효과성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창의적 표현력의 평가자간 일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급내상관분석(Intra-Class Correlation : ICC)을 실시하였고, 창의적 표현력의 내적 일관성 검사로 Cronbach's α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실험 집단의 사전, 사후 실기 결과물 검사지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초현실주의 기법을 활용한 수업은 창의적 표현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상의 세계를 주제로 다양한 표현기법의 적용한 수업, 특히 그중에서도 초현실주의기법의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즉, 개인의 표현능력에 관계없이, 학생들은 자유롭고 우연적인 표현기법을 접함으로써 미술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창의적인 사고능력과 표현력이 높아진 것이다. 본 연구가 실제 아동미술수업에서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후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초현실주의의 기법에 대한 주제와 관련하여 발전된 형태의 수업이 진행되어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In the ag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 it has become possible to share and utilize information indefinitely in the system of images and information which is abundant everywhere. When faced with complex and unstructured problems within this socio-cultural context, it is prerequisite that students cultivate cognitive flexibility and creativity so that they can actively construct knowledge and find the best solution.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competition for entry-oriented and memorization is prevalent,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an in-depth and various way of thinking, by escaping from the trapped conventional thinking and making the experience of changing the viewpoint of everyday lif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ow into a cultivated person who can enjoy culture with developed aesthetic sense as the ultimate purpose of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n order for learners with universal education to possess the aesthetic sense and to enjoy culture in the right wa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from childhood.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e primary goal of the arts curriculum is to improv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Nonetheless, unlike the goal of the curriculum, there is still a lack of actual arts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s art program which adequately satisfies these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art programs for creativity development in actual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bove needs,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application of surrealism techniques that were the most experimental of the 20th century art fiction and focused on human inner world and creative imagination world as one way to improve learners' creativity. This is because the source of creative thinking is free imagination.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flexibility of visual thinking (Son, 2014; Lee, 2006) will grow by looking at surrealism, dreams, and the combination of bold methods of surrealism found in surrealism and applying surrealism's themes, techniques, and constructs to art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design and select surrealist representative techniques that can enhance children's creativity and expressive ability, and to enable art classes using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 to affect the creative expressiveness of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way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explain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ealism and children's art is examined through previous surveys on surrealism, children's art, and creative expression abi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surrealism and children's art, the study analyzed the methods of surrealism applied in the 5 year-old class and the third grade art curriculum, which can include the whole age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a new unit and developed a 7 teaching methods of surrealism consisting of six representative units of surrealism.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art program.Second, 35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in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 of care class in M elementary school in Mok-dong, Yangcheon -gu, Seoul. Third,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al study,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ubjected to a pre-creative expression test, followed by the 7 classes, and then the post-test creative expression test was conducted again. The purpose of the pre- and post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est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change of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he evaluation tools of the practical results were modified by adapting the practical evaluation tools to the present study by referring to the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ools used in the researches of Yoon (2013) and Sang (2017). The evaluation area wa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5-year-old clas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nd the lower part was composed of selected 9 items proposed by Lowenfeld (1987).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and scoring criteria was verified by one child art education expert and the professor. The evaluation tool was us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re- and post-results of the three art education experts, including two experts and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Finally, the study has conclude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demonstrating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of the art program using surrealism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and intra-class correlation (ICC)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greement between the evaluators of creative expressive ability of the study subject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 of creative expressive ability. Second,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uted statisticall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 <.05, p <.01, p <.001. In conclus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rt class using surrealism technique on the creative expressiveness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lass using surrealism technique had a meaningful and positive effect on all sub-domains of creative expressiveness. In this sens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anifests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pplying a variety of expressive techniques on the imaginary world, especially surrealist technique.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individual expressive ability, students became confident in art activities by encountering free and accidental expressive techniques, which enhanced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expressive power. I hope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p the actual art education of children and will be able to help improve the creativity of the learners by progressing in the form of advanced forms related to the theme of surrealism technique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