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효정-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3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3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3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38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2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전과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조손가정 아동에게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이에 조손가정 아동이 겪는 과정과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조손가정 아동 2명으로,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4차시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매 차시가 종료되는 시점에 개인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조모와 모친과의 심층면담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업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수업과 심층면담은 녹음 및 전사하여 자료로 수집, 분석하였다. 그 외에도 양육자의 심층면담자료, 수업 관찰일지, 작품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분석 방법 중에서도 월코트(Wolcott)의‘기술’,‘분석’,‘해석’의 연구절차를 따랐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 후, 주제를 발견하여 분석하여 해서에 도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나뉘어 도출되었다. 조손가정 아동이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경험하였을 때의 범주는 상위주제인 자아의 성숙에 따른 하위주제<자아에 대한인지>,<해결방안 수립>,<자아평가>,<긍정적 표현력의 증진>,<스스로에 대한 신뢰>,<자신감과 도전> 그리고 상위주제인 힐링에 따른 하위주제<감정의 해소>,<성취감>,<미술에 대한 흥미> 그리고 상위주제인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그에 따른 하위주제<가정에 대한 사랑과 신뢰>,<가정의 긍정적 피드백>,<가정구성원과의 소통>, 상위주제인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그에 따른 하위주제<타인에 대한 배려(공감, 문제해결방법, 관찰력)>,<타인에게의 긍정적 피드백>,<미래에대한 다짐> 그리고 마지막 상위주제인 가족전체의 변화와 그에 따른 하위주제인 <보호자의 적극적인지지(공유하고자 하는 태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경험적인 과정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작품을 완성에 도달하는 성취감을 매 차시 경험하였으며, 차시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내면에 담긴 이야기를 털어놓거나 가족과 긍정적으로 소통하는 행동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성취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아존중감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심리적인 행복감에 대한 스스로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미술 작품을 제작하면서 자신의 즐거웠던 경험과 감정을 작품으로 담아내면서 내면에 담긴 감정을 표출하고 자신을 이해하는 기회로 삼으면서 미술작품을 매개로 언어적, 시각적 자극을 받아 자신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조손가정 아동은 낮은 자아존중감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자신 스스로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더 나아가 미래를 바라보는 다짐을 다잡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을 자극하는 미술 프로그램으로서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경험을 통해서 조손가정 아동에게 성취감과 자신감을 부여하고 감정의 정화를 일으켜 자연스럽게 표출하게 함으로서 그동안 알아차리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선행 연구에서 조손가정 아동을 병리적으로 바라보고 치료적인 접근을 취해왔던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자극하는 미술 프로그램이 다각적인 방식으로 필요함을 깨달았으며, 조손가정아동과 연결된 주변인물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확장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conducted the reestablished art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who have overcome challenges and crise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grandparents' children in a phenomenological wa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grand children and the art program of self-esteem was conducted 24 times from March to May 2018 and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at the end of each session.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grandmothers and mothers of the participant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Researchers guided the classes directly and class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recording and transcriptio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data of the care-giver, class observation log, and photographs of the works were collected. Among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study followed Wolcott research procedures of 'technolog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fter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open coding, then the subject was discove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5 high-level subjects and 18 low-level subjects were deducted. The categories in which the grandparents' children experienced the art program of self-esteem are classified into sub-theme <Recognition of Self>, <Establishment of Solution>, <Self Evaluation>, <Enhancement of Positively Expressing Ability>, <Trust in Self>, <Confidence and Challenge>, and main theme which is family self-esteem and sub-theme based on it, including <Love and Trust in Home>, <Positive Feedback from Home>,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main theme which is social self-esteem theme, and sub-theme based on it, including <Consideration for Others(Empathy, Problem Solving Method, Observation Power)>, <Positive Feedback to Others>, <Commitment to the Future>, and finally and main theme which is the change in the whole family, and sub-theme based on it, including <Active Support of Parents(attitudes to share willingly)> were derived from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elf-esteem through the empirical process of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in every session in which they accomplished the work while engaging in the self-esteem art program. Furthermore, as the session processes, change of the behavior such as communicating with family and interacting positively with family could be obser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was examined. Second, the self-esteem art program offered an opportunity to the participants to help judge themselves in terms of psychological happiness. While creating their own art works, they tried to accept themselves by embracing linguistic and visual stimuli through their artworks a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understand themselves while expressing the experiences and feelings with their own art work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study was able to discover the fact that grandparents’children do not have low self-esteem, but they have enough abilities to accept and understand themselves. Furthermore, the study also found a way to keep up with the promises of the future. As an art program that stimulates self-esteem, it gives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confidence to grandparents’children through the experiences of purifying their emotions and naturally expressing themselves, in which they realized that they had an opportunity to objectively understand and accept their own image which they had not noticed in the meantim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multifaceted art program which stimulates the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through an educational approach, away from the way proposed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grandparents' children have been pathologically viewed and considered as patients who need a therapeutic approach. It is also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will be obtained given that the program is exten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with family members connected with the home chi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Ⅱ. 이론적 배경 8 A. 조손가정 8 1. 조손가정의 개념과 특성 8 2. 조손가정이 직면한 문제 12 B. 자아존중감 18 1. 자아존중감의 개념 18 2. 아동의 자아존중감 19 C. 아동대상 미술교육 25 1. 아동미술교육의 개념 및 목적 25 2. 아동미술교육에서의 표현의 발달 단계 3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43 A. 연구 방법 및 설계 43 1. 질적 사례연구 46 2. 연구 설계 및 절차 49 B. 연구 참여자 53 1. 연구 참여자 선정 53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54 C. 연구 도구 56 1. 수업 설계 56 2. 수업 도구 64 D. 자료수집 및 분석 81 1. 자료수집 81 2. 자료분석 87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92 A. 연구결과 92 B. 질적분석 99 Ⅴ. 해석 및 결론 133 A. 자기성취감과 심리적행복감" 135 B. 결론 및 제언 139 참고문헌 143 부록 156 ABSTRACT 2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10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교육을 실시한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Study on the Self-Esteem of Grandparents' Children with an Art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Hye-Jin-
dc.format.pagevi, 23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미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