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의 설명문 읽기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의 설명문 읽기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call and Output on Korean Adults’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Learning
Authors
이수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글로벌 시대가 구축되면서 읽기와 쓰기에 비해 듣기와 말하기와 같은 구두 의사소통 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접하는 학습자들은 목표 언어에 노출되거나 의사소통을 할 기회보다 글을 읽을 기회를 접하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우리나라의 성인 학습자들은 학업적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영어로 쓰인 글을 자주 접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외국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를 학습하는 성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영어로 쓰인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글로벌 시대이자 정보화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으로 영어 읽기를 수행해 온 학습자들은 어휘와 문법 및 번역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글의 전체적인 맥락과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은 영어 읽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영어 읽기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시대이자 정보화 사회에서 자주 접하는 다양한 설명문을 중심으로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명문을 읽은 후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말해보고 검토하는 활동과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요약해보고 검토하는 활동을 고안하였고,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설명문 읽기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성인 영어 학습자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의 실시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활동의 종류에 따라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말해보고 검토하는 다시 말하기 집단과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요약해보고 검토하는 요약하기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단별 인원은 11명으로 구성되었다. 학습자들의 설명문 읽기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읽기 평가와 차시별 설명문 읽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심층적인 의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심화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설명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후 읽기 평가에서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 또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설명문 읽기 평가에서 다시 말하기 집단과 요약하기 집단 모두 번역하기 집단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상향식 및 하향식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후 읽기 평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향식 문항에서는 번역하기 집단과 다시 말하기 집단이 집단 내 유의미한 하락을 보였고 하향식 문항에서는 다시 말하기 집단이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설명문 읽기 평가의 상향식 및 하향식 문항을 비교한 결과, 하향식 읽기 능력에서 다시 말하기 집단과 요약하기 집단이 모두 번역하기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학습이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에 비해 해당 설명문의 주제나 요지를 파악하는 하향식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이 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지 및 사후 심화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영어 읽기학습 태도와 관련하여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시 말하기 집단이 번역하기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기 활동을 수행한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말해보고 검토하는 학습이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에 비해 영어 읽기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고취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문 활용 영역과 관련하여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시 말하기 집단과 번역하기 집단이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집단별 학습방식을 통한 설명문 읽기 태도 분석 결과, 다시 말하기 집단과 요약하기 집단이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실험 이전과 비교하여 다시 말하기 활동을 통해 설명문 읽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생겼고 요약하기 활동을 통해 설명문 읽기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후 심화 설문지를 바탕으로 활동에 대한 심층적인 의견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공통적인 의견은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을 통해 무엇을 이해하고 있고 무엇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지 깨닫게 되었고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에 비해 글의 전체적인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효율적이었으며 해당 내용을 더 잘 기억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다시 말하기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과 같은 인지적 과정을 통해 설명문 읽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와 자신감도 고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영어 설명문을 읽을 때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이 어휘와 문법 및 문장단위의 번역에만 초점을 두는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에서 벗어나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면, 글의 주제 파악 등 전반적 이해를 도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영어 설명문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성인 학습자가 아닌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거나 더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회상하여 읽은 내용을 출력하는 활동의 효과를 연구한다면 교육적인 효과와 시사점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Even though o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is still be considered crucial for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Korean EFL adult students read expository texts in English more often for academic situations and their daily lives than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the language. Since Koreans do not use English to communicate together, they need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However, these learners have difficulties understanding main ideas and overall context of expository texts since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rather focusing on discrete lexical items, grammatical rules, and sentence translation. In addi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affective attitude of Korean adult learners is negative since the method they have performed is grammar translation method that seems not positively influential on students’ affective attitud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and main ideas of expository texts, learners need output activities, ways to perform what they are learning, such as retelling or summarizing. That would help them to realize that there is a gap between what they have understood and what they can actually speak or write. These output activities help learners comprehend the text more efficiently, while at the same time raising their interest and their confidence level. Repeated exposure to the text by performing such activities, they naturally experience meaningful and self-initiated learning compared to teacher-driven learning.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guide these activities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be motivated readers in this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all and output activities on Korean adults’ English expository text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weeks with 33 adult learner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retelling group retold what they had understood without looking at the passages; the summarizing group summarized what they had understood without looking at the passages; and the control group read the expository text based on grammar translation method. To measure the affects of the experiment on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took pre-test and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four expository comprehension tests during the experiment. To measure if recall and output are influential on affective learning, they also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expository text reading, and learning activ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r difference in the posttest resul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expository text comprehension test results, not only between the retell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also between the summariz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bottom-up reading in the posttes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top-down reading in the retelling group. Where expository text comprehension tests are concern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regarding top-down reading. To be specific, the retell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ummariz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retelling activity and the summarizing activity are effective in achieving top-down reading ability such as identifying the gist or theme of expository text compared to grammar translation method. Third, each category of affective domain had significant improvement or difference. The retell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learning English through expository text reading’ and ‘expository text reading through activ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English reading’, suggesting that the retelling activity is positively influential on learners’ interest toward ‘English reading’ compared to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building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 ‘expository text reading’. In addition, the summar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expository text reading through activity,’ suggesting that the summarizing activity is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confidence toward ‘expository text reading’. Finally, opinions from the questionnaire on the output activity and expository text reading indicate that the output activity helps learners realize that there is a gap between what they have understood in their mind and what they can actually produce through speaking or writing. They also mentioned that they could not only understand main ideas and overall context more easily but also remember the content much longer through this repeated process. The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output activity that helps learners understand better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and expository text reading. From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may be derived. First, teachers should consider output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successful top-down reading of expository text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reading and expository text reading. Second, this kind of output activity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with adult learners but also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a regular ba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develop output activities adapted for level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