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ading-based Freewrit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Writing and Affective Domain
Authors
김수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영어는 세계인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능력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최근 들어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인터넷, 스마트폰, SNS 등을 활용하여 영어로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기회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영어의 네 가지 언어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능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영어 교육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고득점을 받기 위하여 읽기 능력의 향상에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평가 문항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한국의 영어 학습자는 읽기 능력의 함양에 계속해서 초점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청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은 각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가에서 서술형 및 논술형 평가의 비중을 늘리고 진정성 있는 쓰기 과업을 통해 통합적으로 영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한국의 영어 학습자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각 학교에서 실시되는 지필평가에서 요구되는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을 함께 습득할 수 있는 통합 학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읽기·쓰기 통합 활동으로 읽기 수업 중에 실시되는 쓰기 활동인 독해 기반 자유작문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및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어 평가에서 자주 활용되는 설명문 자료의 첫 문단을 읽기 전 단계에서 읽고 예측하는 내용이나 떠오르는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영어로 작문을 한 후 전체 읽기 자료를 독해하고 이해 정도를 확인하는 자유작문을 기반으로 한 읽기 활동이 영어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3개 학급 9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사전 읽기 및 쓰기 평가를 진행하였고 사전 읽기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 모두 자유작문을 해본 경험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독해 기반 자유작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실험 활동을 소개하고 연습하는 시간을 갖고 그 후 네 개의 서로 다른 읽기 자료를 바탕으로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 활동 이후에는 사후 읽기 및 쓰기 평가와 함께 사후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사고 구술을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평가는 전체 읽기 능력 및 하향식, 상향식 읽기 능력으로 구분하였고, 사전·사후 쓰기 평가는 전체 쓰기 능력 및 유창성, 내용, 구성, 언어사용 측면에서 채점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각 집단의 학습자가 작성한 독해 기반 자유작문을 임의로 선정하여 집단별 특징을 심도있게 비교하였고, 사후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참가자들의 영어 읽기, 쓰기 및 실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고 구술 자료를 통해 독해 기반 자유작문 내용이 읽기 자료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고 영어 능력 수준 집단별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실험에 참여한 상, 중, 하위 집단별 학습자 모두 사후 읽기 능력 평가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실험 활동이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된 것으로 볼 수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중위 및 하위 집단 학습자의 전체 읽기 능력과 하향식·상향식 읽기 능력만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사후·사전 읽기 능력의 향상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 읽기 능력은 상위·중위 집단, 상위·하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향식 읽기 능력은 모든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상향식 읽기 능력은 상위·하위 집단 간의 차이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읽기 능력과 마찬가지로 사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영어 능력 수준 집단별 학습자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전체 쓰기 능력은 중위 집단에서, 구성 영역은 중위 및 하위 집단에서, 언어 사용 영역은 중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자유작문 활동이 쓰기의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기존 연구와 달리 유창성과 내용 영역은 어느 집단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사전 쓰기 능력 향상도에 대한 집단 간 비교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 이후 진행된 사후 설문과 심층 면담의 결과를 통해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 모두 실험 활동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을 통해 읽기 과정에서 핵심어와 주제를 파악하는 능력이 길러졌으며 읽기 자료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쉽게 떠올리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평소에 거의 영어로 쓰기 활동을 하지 않는 학습자에게 글쓰기를 꾸준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영어 능력 집단별 학습자의 독해 기반 자유작문 과정과 읽기 과정에서 작문 내용과 읽기 자료가 서로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사고 구술 자료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학습자의 쓰기 과정과 읽기 과정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두 과정에서 모두 자신의 선험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읽기 전 단계에서 실시한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은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읽기 자료의 내용을 빠르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중학교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어 읽기 수업에서 읽기 전 단계에서 실시하는 독해 기반 자유작문 활동은 영어 쓰기 수업 시간을 마련하여 쓰기 활동을 하지 않아도 읽기 수업 중에 읽기와 쓰기 활동을 모두 할 수 있어서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학습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문법 지식과 어휘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데 부담과 어려움을 느끼는 중위 및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 자유작문은 영어 글쓰기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더불어 다소 학술적이고 어려울 수 있는 설명문 유형의 글을 독해하기에 앞서 이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떠올려보는 과정에서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독해 과정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국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어 읽기 수업에서 독해기반 자유작문을 읽기 선행 활동으로 활용한다면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쓰기 활동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줄 수 있고 아울러 읽기와 쓰기 능력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독해 기반 자유작문과 같은 읽기 선행 활동으로의 읽기·쓰기 통합 활동을 활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English has been used as a global and official language and it is essential to have a good command of English in the era of international society. In particular,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gins and the use of Internet, SNS and smartphones increases, people from various countries interact with other more frequently than before, and English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However, Korea education still puts much emphasis only on developing English reading ability. This tendency will not change unless the English examination of Korean SAT is renovated. Under this circumstance,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ven makes a law that achievement assessment of secondary school should involve more than 35 percent of descriptive and essay type ques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perform writing activity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in reading class, which will facilitate integrated learning of English reading and writ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reading-based freewriting, that can be implemented in English reading class as a pre-read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based freewrit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writing and affective domain.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gular classes for four weeks at a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90 EFL third grad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levels by their pre-reading test scores. There was no control group and all the participants followed the same procedure of experiment. As a pretest,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reading test and an essay-type writing test. Since all the participan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of freewriting, students had tim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reewriting and practice how to do reading-based freewriting in adva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sing four different expository reading materials. In each experiment period, the participants started the lesson by performing reading-based freewriting in the pre-reading stage for five minutes. Then, they individually read the whole text, which was followed by fiv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to check their understanding. After four periods of experiment, they performed a post test and filled out a post- questionnaire. In addition, a few participants with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had in-dept interview and performed think-alou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rticipants’ scores increased in the post-reading test; the intermediate and low leve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top-down and bottom-up reading ability. Their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advanced group, which illustrates they had a better improvement. Second, the participants’ scores also increased in the post-writing test;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writing ability. In analytic analysis of writing ability,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while low level students appeared to improve only in organization. Thir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participant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post-questionnaire and in-dept interview.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ading-based freewriting activity performed in pre-reading stage. In particular, they responded that they could develop their reading ability such as recognizing key words and a topic sentence. The analysis of students’ think-aloud protocol demonstrated that their writing and reading material were closely related in that they used their prior knowledge both in writing and reading process as well as compared their freewriting with reading material while reading the whole 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eading-based freewriting, as a reading-writing integrated activity,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reading class as a pre-reading activity, and thus students can learn reading and writing simultaneously by improving bot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Reading-based freewriting will help students easily comprehend the text because, before reading the whole text, they have time to come up with their own thought or experience related to the topic and become engaged in the reading text. Contrary to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the participants’ fluency in writing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The study period is one of the reasons because four weeks was too short to improve writing fluency.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y extending the period of the study and this will lead to different results. Reading-based freewriting, as a pre-reading activity, makes students naturally practice English writing in regular reading class. In particular, Korean students, who feel too much pressure in English writing and making errors, will be free from vocabulary errors and grammatical accuracy in reading-based freewriting. Korea English education should consider various ways to implement reading-writing integrated activity in reading class and reading-based freewriting will be one of the solu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