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0 Download: 0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he School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of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uthors
이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태어나 남한에 온 이후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교육제도 내에서 살아온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를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사회 내 탈북청소년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그들의 교육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특히 탈북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및 학교에서의 적응 문제가 집중적으로 조명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탈북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언어적·문화적 차이와 상이한 교육체계 및 과정의 생소함, 그리고 탈북 과정에서의 교육 공백 등에 의해 중층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은 물론 민간 차원에서도 탈북청소년들의 교육적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적 차원의 개입은 탈북청소년들의 공교육 진입을 확대하고 학업중단률을 감소시키는 등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탈북청소년의 교육 문제는 그동안 대개 ‘적응’의 차원에서 논의되었으며, 교육 지원 역시 학습지원 및 필요한 물품 지원 등 ‘보상’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물론 탈북청소년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적응에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러나 적응 담론 중심의 논의와 보상적 차원에서의 지원 위주 정책 등은 탈북청소년의 부적응을 개인의 문제로 귀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들을 우리 사회에 일방적으로 적응해야 할 존재 또는 지원을 받아야 할 존재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최근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에 관한 논의는 ‘적응’을 넘어 ‘사회통합’ 수준의 논의로 그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탈북청소년의 교육에 관한 논의에서도 일방적 적응과 지원 중심의 담론을 넘어서서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수준의 통합적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탈북청소년의 교육 문제에 있어서 ‘정체성’의 문제는 초창기 연구부터 지금까지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져 왔다. 탈북청소년들은 학교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출신 배경을 드러내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와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남한 학생들과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청소년들이 보이는 이와 같은 정체성의 혼란은 그들의 학교생활 및 남한사회 정착에 결정적인 장애가 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에서는 정체성 혼란이 하나의 문제로 규정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다소 일방적이고 규범적인 차원의 논의가 뒤따르게 된다. 그러나 한 개인의 정체성은 그 개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요 타인과의 관계나 그 개인이 속한 집단에 대한 사회의 인정 등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으며 변화해간다. 따라서 탈북청소년들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그 자체를 문제로 규정하기에 앞서서 그러한 정체성이 어떠한 관계적·사회적·제도적 맥락 속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인지, 그리고 정체성 혼란이 어떠한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것인지 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탈북청소년들에게 ‘학교’는 그들이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게 되는 주요한 사회적 공간으로서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퍼즐을 구성하였다. 첫째, 두 탈북청소년이 자신의 삶의 맥락 속에서 구성해 가는 정체성은 어떠한가? 둘째,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퍼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출생하여 남한에서 거주하는 만 24세 이하의 청소년’, ‘남한에서 통합형태의 정규학교를 경험한 탈북청소년’이라는 두 가지 선정 기준과 함께 탐구 주제인 정체성 구성 과정에 대한 풍부한 이야기를 제공할 수 있는 참여자 두 명을 최종적인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주된 자료는 참여자들과의 일대일 면담이었으며, 면담은 2017년 1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두 탈북청소년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정체성은 서로 다른 삶의 조건과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남한에 온 이후 이전까지 그들의 정체성을 조형해왔던 삶의 맥락은 사라지고, ‘북한 출신’이라는 정체성이 부각되었다. 이들은 모두 북한에서 출생하였고 시기적으로는 ‘고난의 행군기’라는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 속에서 태어났다는 공통점을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각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차이에 의해 매우 상이한 삶을 살았고 북한의 국경을 넘은 시기나 이유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남한에 온 이후에는 그들의 정체성을 조형해왔던 서로 다른 삶의 맥락은 사라지고, ‘북한 출신’이라는 정체성을 둘러싼 고민과 갈등이 핵심적인 이슈로 드러났다. 두 탈북청소년들의 학교교육 경험은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시선과 차별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 양상을 드러냈으며, 그러한 대응은 점차 변화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그들의 정체성 또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두 탈북청소년의 학교교육 경험과 정체성 변화의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북한과 남한 사이에서의 혼란과 이해의 확장이다. 두 탈북청소년은 한국에 온 이후에도 가정이나 교회, 또래관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이라는 분리된 두 세계 사이에 존재하며, 그 가운데 문화적 차이로 인한 혼란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두 참여자들은 차이를 거듭하여 경험하면서 혼란과 갈등을 거치는 가운데 ‘남한’ 또는 ‘북한’이 아닌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둘째, 남한 학생들과의 ‘동등함’을 증명하기 위한 분투와 변화이다. 두 탈북청소년들에게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의 교육 경험은 ‘버팀’의 의미였다. 초, 중, 고등학교 때까지의 ‘버팀’은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같음’으로 바꿔내기 위한 노력이자 ‘동등함’을 증명하기 위한 분투였다. 그러나 이러한 ‘동등함’을 증명하기 위한 분투는 ‘남한’에 맞추어졌던 잣대를 ‘자기 자신’에게 옮겨 놓는 과정을 통하여 점차 변화되었다. 셋째, 침묵당한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두 탈북청소년들의 차별 경험에 대한 우선적인 대응은 주로 ‘침묵’이었다. 이러한 ‘침묵’은 학교와 사회적 관계 속에서 그들이 경험한 ‘힘’의 질서에 따른 결과였다. 차이를 수용하기보다는 주류 집단의 가치와 문화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학교를 포함하여, 남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들은 그러한 ‘힘’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은 점차 변화되고 있었으며, 이 변화는 ‘소수’와 ‘다수’, ‘우리’와 ‘그들’이라는 경계 사이에서 점차 그들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고 있는 과정으로서의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탈북청소년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는 정체성 구성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탈북청소년들의 정체성을 조형하는 중요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학교’, 그리고 교사 및 또래관계 등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진지하고도 반성적인 성찰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탈북청소년들의 경험과 정체성을 고려한 교육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추후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탈북청소년을 위한 교육 방향을 논의하는 데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of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ho were born in North Korea and lived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 until university after having come to South Korea.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n Korean society has continuously grown, problems regarding their education have become important social issues. In particular, the school life and school adjustment proble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have been focused on and accordingly, research regarding their school adjust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ccording to their study results,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had layered difficulties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in school, a different educational system and unfamiliar courses, and the educational gap that occurred during their defection process. At this, various forms of educational support have been given on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levels to improve on the educational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lso, the intervention of such institutional dimensions has had practical effects in expanding their entry into public education and decreasing their study suspension rates. However, the education probl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has mostly been discussed from dimensions of ‘adapt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has failed to move past dimensions of ‘compensation’ such as learning support and the supply of needed goods. Of course, educational support needed for adjustment is necessary fo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to adjust to Korean society. However, adaptation focused discussions and support oriented policies of compensatory dimensions can lead to conclusions that the maladjustment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s a personal matter and that they are people who must unilaterally adapt to our society or that they are simply people in need of our aid. Recently, discussions regard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id of North Korean refugees has moved past ‘adaptation’ and has placed more of its focus on discussions of ‘social integration’ levels and with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move past unilateral adaptation and aid focused discussions to find an integrated educational plan of a new level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ir identities in discussions regarding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ctually, ‘identity’ problems have been dealt with as an important issue since early studies until now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probl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t was shown that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xperienced stress and anxiety in revealing their native backgrounds at school and that they suffered from identity confusion due to constant perceptions of their differences with South Korean students. Such identity confus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has been perceived to be a critical barrier in their school lives and in their settlement into South Korean society. Within such perceptions, identity confusion is fixed as one problem, leading to discussions of slightly unilateral and normative dimensions that emphasize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However,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is not constructed independently by that one individual; rather it changes, continuously being affected by relationships with others or by social acceptance within the group that individual is in.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before fixing it as a problem in itself, it is necessary to observe in depth how that identity is formed and through what process and in what relational, soci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along with which situations that identity confusion becomes a problem in. In particular, ‘school’ is the main social space in which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xperience identity confusion so it is necessary to observe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 processes togethe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achie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of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t this, the present study constructed the following two research puzzles. First, what are the identities that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re constructing within their contexts of life like? Second, what are the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of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like? Following these research puzzles, this study selected two participants who fit the two selection criteria of ‘adolescents under the age of 24 who were born in North America and now resid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ho have experienced regular schooling of an integrated form in South Korea’ and who could speak abundantly about their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the research topic. The main material of the study was one-on-on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December 2017 to June 2018. Study results showed first, while the identities constructed within the life contexts of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ere formed within different conditions of life and within different contexts, the contexts of life in which they had molded their identities before they came to South Korea disappeared and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native’ was focused on. Both were born in North Korea and while they were commonly born into a socioeconomically poor environment called the ‘North Korean Famine’, they lived very different live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their families and they also showed great differences in timing and reasoning for crossing the North Korean border. However, despite these differences, after coming to South Korea, their differing life contexts in which they had molded their identities had vanished and worries and conflicts surrounding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native’ rose as core issues. The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of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revealed the social perceptions and discriminations they experienced along with their coping patterns and such coping methods changed gradually. Also, this showed that their identities were not fixed but changing.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of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ppeared in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it appeared in the expansion of confus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xisted between the two separated world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ir family, church, and peer relationships even after coming to South Korea and within that, they experienced confusion due to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as the two participants repeatedly experienced differences and went through confusion and conflict, they were creating their own personal methods of living, not as ‘South Koreans’ or ‘North Koreans’. Second, it appeared in struggle and change to prove ‘equality’ with South Korean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meant ‘endurance’ for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ndurance’ through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as a struggle for them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difficulties they felt from ‘differences’ experienced at school to ‘commonality’ and to prove ‘equality’. However, struggles made to prove such ’equality’ gradually chang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y moved the standards they had set to ‘South Korea’ to their ‘selves’. Third, it was a process in which they found their own voices which had been silenced. The first coping method the tw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used was mainly ‘silence’. Such ‘silence’ was a result of the order of ‘power’ that they experienced within school and social relationships. Rather than an acceptance of differences, with an inclusion of school in which the values and culture of the mainstream group is accepted as ‘natural’, they had experienced such ‘power’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uth Korean people. However, such coping methods were gradually changing and such changes were significant as a process in which they were gradually finding their own voices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minority’ and ‘the majority’ and ‘us’ and ‘them’. Such study results not only aid i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that forms within the life context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but they also demand serious and reflective introspection regarding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which is an important social space which molds the identiti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earched for implications regarding educational direction that took into account the experiences and identiti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se discussions, meaningful insight can be provided in the discussion of educational direction fo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from dimensions of social integr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