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0 Download: 0

사춘기 자녀 양육 경험에 나타난 부모의 성인학습 과정 분석

Title
사춘기 자녀 양육 경험에 나타난 부모의 성인학습 과정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Adult Learning Process in the Parents's Experience of Rearing Adolescent Children : Focusing on Highly Educated, Middle Class, Middle Aged Parents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dult learning topography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by examining parents' learning process, learning style, and learning contents in adolescent child rearing experience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tal five women between 47 and 50 years old who perceive the experience of rearing adolescents child as a life ev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the subjects.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a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ctical eclecticism. This study described the story of parents' experience of adolescent child rearing and presented stage, form and contents of the learning in the process of adolescent child rearing as follows. First, parents experienced ‘cracks’, ‘early confusion' and ‘disconnection’ in . In the stage of ‘cracks’, cracks of usual mind, cracks of trust, cracks of authority, system and norms, cracks of viewpoint of rearing and sense of values have been ​​spread to the whole life including cracks of daily life which started from child 's deviant behavior. After the crack stage in all areas of life, parents entered the early confusion stage. In the early stage of confusion, parents were expected to return to their former calm lives by correcting their children’s deviant behavior, but there children were fiercely opposed to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lost control for the adolescent children who are opposing against the attempt to correct felt a sense of despair as the sky collapses. In this process, marital friction was accompanied and intervention of the grandparent who perceived the deviation of grandchildren increased confusion. Children who identified different position from that of their parents during the early confusion stage considered their parents' correction efforts as an attack on them and "disconnected" themselves from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prolonged deviant behavior and disconnected have abandoned the expectation that their children will be improved and that they will give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confusion of the adolescent child rearing, which started with a crack in the daily life, led to a disconnection of family relationships. Second, the parents who had gone through the stage of disconnection from the crack stage made ‘the awareness of the loss and determination after that’facing with . There were various subjects of loss including aggressive loss which loses the child, passive loss which loses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loss of family due to family disorganization, loss of economic support and loss of health. The stages from loss to reconstruction were repeated several times during the period of adolescent child rearing. The awareness of the loss and determination after that was an opportunity for the parents who experienced adolescent child rearing to enter the learning. Third, the parents had various types of intangible and non-formal learning in , discovery and later confusion and were aware of the subjective ideas which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 and spouse. In the stage of seeking for a solution, various learning aspects of the parents were revealed. The parents did not prefer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because of the awareness that their experience was a non-normative event, a rejection for the stereotyped educational messages and lack of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They were mainly learning through informal learning such as small groups, religious activities, reminiscence, conversation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reading and listening to music and some nonformal learning such as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the stage of seeking for a solution, the parents have experienced the emergence of a framework of cognition in various modes of learning. ‘Revealing' means that the parents did not explore a particular system or category by applying their own perceptions, but found them when they looked at situations in their homes at various levels and angles. In this study, the parents' perceptions are the confusion of the process and reality which the parents had for the school, the passing down rearing method, the dogmatism that parents know more than child does or the way of living of the parents was always right and different family ideologies and favoritism which may cause a conflict. The parents who have identified the frame of their perception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to a more meaning structure. In the ‘late confusion' stage, the parents evaluated the past child rearing with the transformed meaning structure. The parents who have removed the mediators that have interfered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or spouse have experienced a desire to modify their own life structure in a situation where they felt a deep mental wounds of their children, a sense of regret for their children, a division between existing meaning structures and new meaning structures, moral confusion between a new judgment standard and existing familiar standard etc. Fourth, the parents who experienced the stage to seeking for a solution faced the with . The parents who have transformed their perception after identifying the frame of perception were able to change the errors and contradictions resulting from the old meaning structure into a new meaning structure reached the reconstruction stage and a stage where a change in the whole life is generated. In the reconstruction stage, ‘thinking', ‘conscious and intentional practice' and ‘trial and error' appeared. In the stage of 'thinking', parents asked the question of being on rearing according based on a new meaning perspective. They put down the values that society has injected, the standards they have built, the things they learned. Instead they focused solely on children or themselves. Parents sought rearing behavior suitable to a transformed meaning perspective to overcome the existing contradictions during this stage. ‘Conscious and intentional practice' is a process of discarding old and familiar relationship patterns and making new ones familiar. If the parents' efforts shown at the crack and early confusion stages were to correct the deviations of their children, the efforts shown at the conscious stage were focused on correcting their own behavior. The conscious practice of the parents removed the frame of perception which worked as a mediator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 and considered the child as a subject to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as ‘you’ rather than ‘it'. In the stage of ‘trial and error', continuous efforts were required to make sure that one attempt could be established as a rearing pattern, otherwise the process of attempt to improve consciousness has been repeated. This was a process of denying themselves. Parents who were aware of fear of loss faced without avoiding this process of self - denial. Parents experienced ‘recognition of their independence', ‘recovery of unconditional love for their children', ‘expansion of self and awareness', and ‘human maturity' in the stage of change. And as a result, parents and children were restored to a personal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 child rearing period is an existential crisis that enables parents to qualitatively transform their lives.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gan to learn to reflect on life with a chance of the awareness for the loss experienced in the child rearing process. The experience of loss made the parents possible to ask about the existence. In this case, through the question of existence, the parents reflected the frame of perception that had been applied to nurture up to now and restored the relationship with child and achieved human maturity. Seco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restored through four stages during adolescent child rearing. In the first stage, the parents were aware of the loss and decided to recover the relationship. In the second stage, they looked back upon themselves. The third stage was a stage of self denial, in which the parent’s ego was broken and expanded. The fourth stage was the step of parent’s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after removing the mediator between themselves and child. Third, in the adolescent child rearing period where they experience the awareness for the loss, the parents experienced learning for maturity through existence question. Human maturity of the parents through the existence question brought not only individual achievements but also social outcomes such as mutual understanding, trust, participation in social problems. Fourth, a lifelong education plan for the parents who raise the adolescent child is to create a ‘parent learning network’ so that the learning leadership can be exercised with the minimum educational inter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ach to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child rearing in this study may help parents in understanding painful situations and solving problems and provide an inspiration in supporting educational help that can lead their daily experiences to parental maturity. ;본 연구의 목적은 사춘기 자녀 양육 경험에 나타난 부모들의 학습과정, 학습양태, 학습내용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고찰함으로써 평생학습 맥락에서 성인학습 지형을 드러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총 5명으로 47세에서 50세의 사춘기 자녀 양육 경험을 생애 사건으로 인식하는 중년여성들이다. 자료수집 방법으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였으며,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부모들의 사춘기 자녀 양육 과정에서의 학습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은 자녀의 사춘기 양육 과정에서 <위기의식 고양기>에 ‘균열’, ‘초기혼란’, ‘단절’의 단계를 경험하였다. ‘균열’단계에서 부모들은 자녀의 사춘기 행동에서 시작된 일상의 균열을 시작으로 평정심의 균열, 신뢰의 균열, 권위·체제·규범의 균열, 양육관 및 가치관의 균열 등 삶 전반으로 균열이 확산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초기혼란’ 단계에서 부모들은 이전의 평온했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균열의 원인이 되는 자녀의 사춘기 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노력을 집중하지만 자녀들은 거세게 반발하였다. 자녀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부모들은 절망을 느꼈으며 자녀의 사춘기 행동에 필요한 자원 공급을 중단하고, 자녀의 의견과 요청을 묵살하는 등의 강경한 대응 양식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부부간의 마찰이 동반되었고, 손주의 사춘기 행동을 감지한 조부모의 개입으로 혼란은 더욱 가중되었다. 초기혼란 단계에서 부모와의 시각 차이를 확인한 자녀들은 부모들의 교정노력을 자신들을 공격하는 것으로 수용하였으며, 부모들로부터 자신을 ‘단절’하였다. 사춘기 행동 장기화와 단절을 경험한 부모들은 자녀들이 호전되리라는 기대와 자신들의 영향력 행사를 포기하였다. 일상의 균열로 시작된 사춘기 자녀 양육 과정의 혼란은 가족관계의 단절로 이어졌다. 둘째, 균열단계부터 단절단계를 지난 부모들은 <학습 진입기>를 맞이하여 ‘상실 자각과 결단’을 하였다. 자녀를 상실하는 적극적 상실, 자녀와의 관계를 상실하는 소극적 상실, 가족 해체로 인한 가족의 상실, 경제적 부양의 상실, 건강의 상실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상실단계부터 재건단계는 사춘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간 동안 수차례 순환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상실자각과 상실 극복에 대한 결단은 사춘기 자녀 양육을 경험한 부모들의 학습 진입 계기였다. 셋째, 부모들은 학습 진입기 이후 <인식전환기>에 ‘모색’, ‘드러남’, ‘후기혼란’ 단계를 맞이하여 다양한 무형식·비형식 학습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자녀와의 관계, 부부 관계에 작동하는 주관적 관념들을 인식하게 되었다. ‘모색’ 단계에서는 부모들의 다양한 학습양태가 드러났다. 부모들은 자신들의 경험이 비규범적 사건이라는 인식, 정형화된 교육적 메시지에 대한 거부감, 부모 개개인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고려의 부족 등을 이유로 형식 및 비형식학습을 선호하지 않았다. 이들은 주로 소모임, 종교 활동, 회상, 친구 및 지인과의 대화, 독서 및 음악 감상 등의 무형식학습과 상담, 교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일부 비형식학습을 통해 학습을 이루어 나가고 있었다. 모색의 단계를 지나며 부모들은 다양한 양태의 학습 과정에서 인식의 틀이 드러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부모들의 인식의 틀은 모범생 부모들의 학교에 대한 ‘과정’과 ‘실체’의 혼동, 대물림 되는 양육방식, 자녀보다 더 많이 안다거나 부모의 살아온 방식이 옳다는 독단, 갈등을 유발하는 서로 다른 가족이념, 편애 등이었다. 인식의 틀을 확인한 부모들은 보다 확장된 의미구조로 전환하였다. ‘후기혼란’단계에서 부모들은 전환된 의미구조로 과거의 양육을 평가하였다. 자녀와의 관계 혹은 부부 관계를 가로막고 있던 매개물을 제거한 부모들은 자녀의 깊은 상처, 자녀에 대한 미안함에서 오는 자책, 기존 의미구조와 새로운 의미구조의 불일치에서 오는 분열, 새로운 판단 준거와 익숙한 판단 준거 사이에서 오는 판단 기준의 혼란, 부모 자신의 인생구조를 평가하며 느끼게 되는 인생구조 수정의 욕구 등의 혼란을 경험하였다. 넷째, 인식전환기를 지난 부모들은 <변화기>를 맞이하였다. 인식의 틀 확인 후 인식을 전환한 부모들은 기존의 의미구조에서 비롯된 오류와 모순을 새로운 의미구조로 수정하여 새로운 행동, 관계, 인식으로 나아가는 ‘재건’단계와 ‘변화’단계에 도달하였다. ‘재건’단계에서는 ‘사유’, ‘의식적·의도적 실천’, ‘시행착오’가 나타났다. 부모들은 후기혼란 단계를 지나 기존의 모순을 극복하고 새로운 의미구조에 합당한 일상을 만들고자 ‘사유’하였다. 사유를 통해 부모들은 새로운 의미관점에 따라 양육에 관한 존재물음을 던졌다. 사회가 주입한 도리와 가치, 스스로 쌓아온 기준, 보고 배운 것들을 모두 내려놓고 존재의 의미에 대해 물음을 던지며 오로지 자녀 혹은 부부에게만 집중하였다. 새로운 의미관점으로 양육을 조망한 부모들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과거의 행동패턴이 작동하려는 순간에 유의하며 의식적·의도적으로 새로운 양육행동을 실천하였다. ‘의식적·의도적인 실천’은 오래되고 익숙한 관계방식을 버리고 새롭고 낯선 관계방식을 일상에 적용하는 과정이었다. 균열 단계와 초기 혼란 단계에서 보여주었던 부모들의 노력이 자녀들의 사춘기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의식적· 의도적 실천에서 보여주는 노력은 부모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부모의 의식적 실천은 자녀와의 사이에 장애물로 작용하던 인식의 틀을 제거하고 ‘그것’이 아닌 ‘너’로 자녀와 인격적 관계 맺음을 하려는 노력으로 해석하였다. 의식적·의도적 실천이 성공적인 경우는 한 번의 시도가 양육패턴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었고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는 패인을 개선하여 의식적 실천을 거듭 시도하는 ‘시행착오’의 과정이 반복되었다. 이 과정은 자기를 부정하는 과정이었다. 상실에 대한 두려움을 자각한 부모들은 이러한 자기부정의 과정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였다. 부모들은 ‘변화’단계에서 ‘자녀의 독립성 인정’, ‘무조건적 자녀 사랑의 회복’, ‘자아와 인식의 확장’, ‘인간적 성숙’을 경험하고, 그 결과 부모와 자녀간의 인격적인 관계를 회복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춘기 자녀 양육기는 부모에게 삶의 질적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실존적 위기로서, 본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은 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상실에 대한 자각을 계기로 삶을 성찰하는 학습에 돌입하였다. 상실의 경험은 부모들로 하여금 존재물음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부모들은 지금까지 양육에 작용하였던 인식의 틀을 확인하고 이를 전환함으로써 자녀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인간적 성숙을 이루었다. 둘째, 사춘기 자녀 양육 과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회복은 총 4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첫 단계는 부모가 상실을 자각하고 관계 회복을 결단하는 단계였다. 두 번째 단계는 자신을 마주하는 단계였다. 세 번째 단계는 부모의 자아가 깨지고 확장되는 자기부정의 단계였다. 네 번째 단계는 부모들이 자녀와의 사이에 놓인 매개물을 제거한 후 자녀와 인격적으로 ‘나-너’의 관계를 맺는 단계였다. 셋째, 상실 자각을 경험하는 사춘기 자녀 양육기에 부모들은 존재물음을 통해 성숙을 위한 학습을 하였다. 존재물음을 통한 부모들의 인간적 성숙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성과뿐 아니라 상호 이해, 신뢰, 사회문제 참여 등 사회적 차원에서의 성과도 가져왔다. 넷째, 사춘기 자녀 양육기에 있는 부모를 위한 평생교육적 방안은, 최소한의 교육적 개입으로 학습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도록 부모학습망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사춘기 자녀 양육 경험에 대한 학습 관점의 접근은 고통스러운 사태에 대한 부모의 이해를 돕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일상 경험을 부모의 성숙으로 이끌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을 마련하는 데 영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