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수언-
dc.contributor.author최서아-
dc.creator최서아-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3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5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92-
dc.description.abstractThe revised 2015 curriculum was implemented to suggest the image of ‘creative/fusion type people’ who were equipped the core ability that the future society need and improve problems sugges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is to foster creative/fusion type people who can solve problems and create new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using what they learn at school in a new environment rather than a school of learning lots of knowledge simply quantitatively. However, at the educational field in Korea today, teachers perform lecture education of knowledge delivery connected with knowledge with the content of textbooks only rather than stimulating students’ creativity and curiosity while the school classes are not breaking away from lecture styles. To solve problems of these public education in the field and realize the current curriculum successfully, the school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or this, teachers’ teaching method should be changed most of all.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teachers used to plan the class contents and methods first and evaluate how students had achiev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later. However, this kind of method lacks the connection between classes as well as units and tends to not achieving the ultimate goal which the course seeks as it focuses on delivering fragmentary knowledge. Students were also concerned of exam results which were evaluated by the mid-term or final exams after the class and teachers judged whether students arrived at the goal which the course sought through the exam results only. However, the necessity of class design which focuses on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s the interest in the recent process oriented curriculum gets increased. Especially, the achievement standard which is ‘the function and category of general information and functions that learners should know and perform’(Kendall & Mazano, 1996) should be accompanied in the learner-centered class design. The cour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he one that fosters the ability to solve life problems. The life problem is permanent involving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in overall. Thus, this study was to compose a class which applied the backward design model suggested by Wiggins and McTighe focusing on the usability of it in the educational filed of the home scie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ducation in the filed based on that critical min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8 sessions apply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to the ‘dietary life’ uni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detailed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d the content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dietary life’ uni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revised 2015 middle school subject. Second, it developed 8 sessions of teaching·learning plan in total for the ‘dietary life’ uni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the backward design model was applied. For the study, it figured out contents of 12 middle school textbooks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core concept of the ‘dietary life’ unit for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subject for the revised 2015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based on them, it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plan by apply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designed by Wiggins and McTighe (2005) and got the evaluation from professional groups on the usability of it in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the ‘dietary life’ unit of the subject of the revised 2015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included to the area of ‘home living and safety’ and the core concepts were ‘living culture’ and ‘safety.’ In the achievement standard, the way of managing dietary life was emphasized through ‘importance of nutrition in youth’, ‘dietary problem in youth’, ‘dietary behavior evaluation.’ The learning elements were ‘balanced meal’, ‘nutrition in youth’, and ‘plan and choice of meals’ and it set the subject ability as the judgemental ability of nutrient and balanced dietary life a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12 textbooks on the dietary life unit, most of them dealt with core concepts, but lacked in the content or activity which sought the permanent understanding on the ‘nutrition in youth’, ‘dietary life’, and ‘dietary behavior.’ Second, the teaching·learning plan on the dietary life uni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hecking desired result, deciding the acceptable evidence, and learning experience and class planning’ which was the third level procedure of the backward design model and completed the final 8 session template after the self-checking and the review by the professional. It is thought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designing the class when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use and apply in their classes at the school field for the class method of realizing the intention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 unit and the teaching plan are used as materials for the class on the dietary life unit which is meaningful for learners in the educational field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furthermore, it also hopes that classes of applying the backward model would be increased in the educational field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uture.;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제시하고, 지금까지의 교육과정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목적이 단순히 많은 교과의 내용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어떠한 환경에서라도 학교에서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식의 장을 열어주는 것에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및 호기심을 자극하기보다 교사가 교과서의 내용만을 가지고 지식과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지식전달식의 강의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학교 수업은 여전히 강의식 수업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질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행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이 달라져야만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하는 것은 교사의 수업방식이다. 전통적인 수업방식에서는 교사들이 수업 내용과 방법을 먼저 구상하고, 학생들이 성취 기준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가를 나중에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식 이였는데 이러한 수업방식은 수업과 수업, 단원과 단원간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단편적인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두게 되어 교과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수업 후 중간고사나 기말고사를 통해 평가하는 시험 점수만을 쫒게 되고 교사들은 오로지 시험 점수로 교과가 추구하는 목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최근 과정 지향적 교육과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성취기준 중심의 수업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에서는 반드시 성취기준 즉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고 수행해야만 하는 일반적 정보와 기능의 기준과 범주(Kendall & Mazano, 1996)’가 수반되어야 한다. 가정교과는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과이다. 삶의 문제는 항구적인 문제이며 개인, 가족,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장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정교과의 교육현장에서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여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 내용 중 ‘식생활’ 단원에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1차시부터 8차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의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둘째,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총 8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성취기준과 핵심개념을 분석하여 중학교 12종 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Wiggins와 McTighe(2005)가 고안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한 뒤 전문가 집단에게 교수·학습 지도안의 현장 활용도를 평가받았다.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은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핵심개념은 ‘생활문화’와 ‘안전’이었다. 성취기준에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 ‘식행동 평가’를 통하여 식생활 관리 방안이 강조되었다. 학습요소는 ‘균형잡힌 식사’, ‘청소년기 영양’, ‘식사의 계획과 선택’이었고, 영양소 판단능력과 균형잡힌 식생활 능력으로 교과역량을 설정하였다. 식생활 단원의 12종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었지만 ‘청소년기 영양’과 ‘식생활’, ‘식행동’에 대한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이나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개발은 백워드 설계 모형의 3단계 절차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 경험과 수업 계획하기’의 순서에 따라 식생활 단원을 개발하였으며 자가 점검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8차시의 템플릿을 완성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를 구현한 수업 방식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가정과 교사가 수업에 활용하고 적용하여 수업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원과 수업지도안이 학교의 가정교과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삶에 의미가 있는 식생활 단원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에 나아가 앞으로 가정교과의 교육 현장에서 백워드 설게 모형이 적용된 수업이 늘어나길 기대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와 연구내용 4 C.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백워드 설계 모형 6 1. 백워드 설계 모형의 개념 6 2. 백워드 설계 모형의 특징 7 3. 백워드 설계 모형의 템플릿 10 B. 백워드 수업 설계 12 1.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12 2.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20 3. 학습 경험 계획하기 23 C. 선행연구 고찰 27 Ⅲ. 연구방법 31 A. 연구 절차 31 B. 연구 방법 32 Ⅳ. 연구결과 34 A.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식생활 단원 분석 34 1. 성취 기준 분석 34 2. 식생활 단원의 교과서 내용 분석 35 B.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식생활 단원의 수업 지도안 개발 39 1.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39 2.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40 3. 학습 경험 계획하기 47 4.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 49 5.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 검증 54 Ⅴ. 결론 및 제언 57 A. 요약 및 결론 57 B. 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1. 학생활동지 64 부록2. 전문가 지면 평가 참여요청서 7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03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Dietary Life’ Uni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dc.creator.othernameChoi, Seo A-
dc.format.pageviii, 78 p.-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contributor.examiner고광석-
dc.contributor.examiner주수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