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난숙-
dc.contributor.author김기랑-
dc.creator김기랑-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3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목적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학교급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행태,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한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YRBS) 자료가 사용되었고,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행태,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의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 집단의 스마트폰 이용서비스 중 SNS와 메시징 사용이 높기 때문이며,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을수록 학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많은 선행연구와 같이 여학생 집단의 학업지장, 스트레스 인지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여학생 집단에 비해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남학생 집단의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과 핵심역량 함양에 따른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부모의 학력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행태,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아버지 학력 고졸 이하 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 스트레스 인지, 주중과 주말 수면 시간이 높고, 아버지 학력이 대졸 이상인 청소년은 학업지장, 피로회복 정도, 주관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 학력 고졸 이하 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 스트레스 인지, 주말 수면 시간이 높고, 어머니 학력이 대졸 이상인 청소년은 피로회복 정도, 주관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에 관심이 높아져(행복매일신문, 2015) 부모 학력이 고졸 이하 청소년 집단의 주중과 주말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과 만족도가 높은(김미곤, 2015)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행태,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주관적 경제상태 상인 집단의 주관적 수면 충족과 주관적 행복감이 높고, 하인 집단이 주중과 주말의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 문제적 경험 중 가족 갈등, 친구 또는 선·후배 갈등, 학업지장, 스트레스 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정의 경제수준이 상위층인 청소년의 85.8%가 행복(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한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감이 가정의 경제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가족과 친구와의 갈등, 학업지장, 스트레스 인지가 높은 것은 행복감이나 삶의 만족도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지 않도록 사회와 학교현장에서의 청소년 정책에 대한 관심과 이행 촉구가 절실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교급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행태,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중학교 집단의 스마트폰 사용 문제적 경험 중 가족 갈등, 친구 또는 선·후배 갈등, 주관적 수면 충족 중 피로회복 정도, 주중과 주말의 수면 시간, 주관적 행복감이 높고, 고등학교 집단의 스마트폰 사용 문제적 경험 중 학업지장, 스트레스 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청소년에게 있어서 인생의 중요한 선택이 될 수 있는 입시에 대한 학업의 부담과 심리적 요인임에 따라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대처와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의 관심과 교육현장에서의 전반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다섯째,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학생일수록, 아버지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급이 높을수록, 주말에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학습목적으로 사용할수록, 스마트폰 사용 손상경험이 있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습목적으로 주말에 스마트폰 사용하는 평균 시간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와 주말에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 청소년 시설 및 공간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섯째,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수면 충족 중 피로회복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학생일수록,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를 낮게 인식할수록, 학교급이 낮을수록, 주중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주말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적을수록, 정보검색을 할수록, 게임을 이용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검색, 게임 이용으로 주중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음에 따라 가정과 학교현장에서의 스마트폰 바른 사용에 대한 지도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일곱째,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수면 충족 중 주중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학생일수록,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어머니 학력이 낮을수록, 학교급이 낮을수록, 주중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적을수록, 학습목적으로 이용이 적을수록, 게임을 이용할수록, 스마트폰 사용 손상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자녀의 학업에 관심이 낮아짐에 따라 학습목적으로 이용이 적고, 게임 이용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학교급이 낮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이 높게 나타난 것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입시준비에 따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부모의 학력이 낮은 중학교 남학생 집단의 주중 스마트폰 사용이 적을수록 주중 수면시간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중 수면시간이 부족한 청소년의 수면부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여덟째,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수면 충족 중 주말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학생일수록, 아버지학력이 낮을수록, 어머니 학력이 낮을수록, 학교급이 낮을수록, 학습목적으로 이용이 적을수록, 정보검색을 할수록, 게임을 이용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관적 수면 충족 중 주중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력과 동일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말 수면시간이 부족한 청소년의 수면부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주중 수면시간과 동일하게 청소년의 주말 수면시간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 청소년의 수면권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아홉째,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학생일수록,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학교급이 낮을수록, 주중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이 적을수록, 스마트폰 사용 손상 경험이 적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 학교, 사회의 다양한 정책과 상호 연계되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데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우리의 실생활 전반에서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차원을 벗어나 균형과 조절을 통한 스마트폰 순기능의 활용 기회를 확산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청소년 진로교육 시, 스마트폰 이용서비스 중 정보검색을 진로적성 탐색으로 활용하고, 건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청소년의 건강한 사회참여를 지도하여야한다. 더 나아가 청소년 스스로 스마트폰 순기능에 대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추론영역을 강화하고, 사회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마련을 하여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he education level of fathers,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s, subjective economic status, smart phone usage behavior according to school ranking,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levels among adolescents to assess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behavior on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levels. The 13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KYRBS) conducted directly by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7) was used for data, and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 18.0 was the program used f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t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 of smart phone use,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has shown that on average female students use their smart phones more than male students. This was due to the high usage of smart phone services such as social media and messaging among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ve shown higher academic difficulties and stress perception as displayed by preceding studies that show higher dependence on smart phones lead to higher academic stress. Therefore, having less academic stress, male students higher show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s. These findings demand that an establishment of a platform for proper communica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and fostering of cor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by policies. Second,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smart phone use behavior,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 the father's academic background has shown that adolescents with fathers with an highschool level of education or less have higher average smart phone use time, stress perception, and sleep longer during the week and weekend, while adolescents with fathers who have a university level of education or higher show higher levels of academic difficulties, fatigue recovery, and happiness. Adolescents with mothers with an highschool level of education or less have higher average smart phone use time, stress perception, and sleep longer during the week and weekend, while adolescents with mothers who have a university level of education or higher show higher fatigue recovery and happines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e more interested their children were in education (Happy Daily Newspaper, 2015), adolescents with fathers with an highschool level of education or less, have longer average smart phone use during the week and weekend. In addition, these are similar results to the study that showed higher the level of a father's academic background, higher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Kim, 2015). Third, the difference in smart phone use behavior,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e subjective economic status, shows that the merchant group has high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while the servant group uses their smart phone longer on average during the week and weekend, along with higher smart phone use problems such as family conflict, conflict between friends and other students, academic difficulties, and stress perception. This shows that the happiness level of adolescents differs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groups in a lower economic status have higher dependence on smart phones, conflicts with family and friends, academic difficulties, and stress perception, due to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the parents’socioeconomic status. This was the same result as the study that showed 85.8% of upper class adolescents are happy. Therefore, there was an urgent need for adolescent policies within society and schools to prevent the relative deprivation of low-income teenagers. Fourth,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smart phone use behavior,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differences based on school levels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show high levels of smart phone use problems such as family conflict, conflict between friends and other students, fatigue recovery during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hours of sleep during the week and weekend, and happiness. High school students show high levels of academic difficulties and stress perception. As the college entrance exam, which was an important decision for Korean high school adolescents, was also a burden and psychological factor, teachers’attention and general school guidance are needed to aid academic stress management and happiness. Fifth, stress perception factors for smart phone use behavior are higher with female students, higher education level of fathers, higher perceived economic status, higher level of schooling, more average time spent on smart phones on the weekend, smart phones used for academic purposes, and previously experienced smart phone damage. This concludes that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a longer time spent on smart phones for academic purposes show higher stress perception. Therefore, support policies must be actively established to secure facilities and space for adolescents in areas utilized for weekend leisure and for relieving stress of adolescents. Sixth,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fatigue recovery factors for smart phone use behavior are higher with male students, lower education level of fathers, lower perceived economic status, lower level of schooling, more average time spent on smart phones during the week, less time spent on smart phones on the weekend, more information searched, and more games played. This shows that more time spent on smart phones during the week due to games leads to decreased hours of sleep, which calls for guidance and management within families and schools regarding proper smart phone use. Seventh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ours of sleep factors during the week for smart phone use behavior are higher with male students, lower education level of fathers, lower education level of mothers, lower level of schooling, longer time spent on smart phones during the week, used less for academic purposes, more games played, no experience of smart phone damage. A lower level of the parents’ education leads to less interest in studies, which leads to smart phones being used less for academic purposes with more games played,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smart phone use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have lower smart phone use. In summary, the lower the number of 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with parents’with a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they sleep during the week.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nalyze and find ways to improve upon the lack of sleep and problems of teenagers who lack sleep during the week, which can affect the growth of adolescents. Eighth,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ours of sleep factors on the weekend for smart phone use behavior are higher with male students, lower education level of fathers, lower education level of mothers, lower level of schooling, less academic purposes, more information searched, and more games played. This was the same as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ours of sleep during the week. Therefore, just as with sleep during the week, it was necessary to analyze and find ways to improve upon the lack of sleep and problems of teenagers who lack sleep on the weekend, which can affect the growth of adolescents. A plan to develop and manag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adolescents’ right to sleep. Ninth, happiness level factors for smart phone use behavior are higher with male students, lower education level of fathers, lower perceived economic status, lower level of schooling, less time spent on smart phones during the week, and less experiences with smart phone damag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hat can generate synergy in the promotion of happiness of adolescents by interconnecting various policies of households, schools, and society. Consequentially, as internet use through mobile devices has become ubiquitous, it was imperative to go beyond preventing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expand proper smart phone function utilization opportunities through balance and control in order to utilize information searches for exploring career aptitude, and to guide social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through constructive communication during career education in schools. Furthermore, home economics curricula should strengthen practical reasoning to facilitate valuation of proper smart phone function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smart phone use environment for adolesc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스마트폰 7 1. 스마트폰의 정의 및 특징 7 2. 스마트폰 이용행태 9 B.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스트레스 인지 11 C.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주관적 수면충족 13 D.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주관적 행복감 15 Ⅲ. 연구방법 18 A. 분석대상과 자료수집 18 B. 측정도구 2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2. 스마트폰 이용행태 22 3. 스트레스 인지 23 4. 주관적 수면 충족 24 5. 주관적 행복감 24 C. 자료 분석 25 Ⅳ. 연구결과 26 A.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26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2. 스마트폰 이용행태 28 3.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 32 4.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33 B.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 37 1. 성별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 37 2. 아버지 학력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 40 3. 어머니 학력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 42 4.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와 분산분석 45 5. 학교급에 따른 관련 변인의 차이 48 C.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관련변인에 미치는 영향 51 1.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 51 2.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수면 충족에 미치는 영향 54 가.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피로회복 정도에 미치는 영향 54 나.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중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57 다.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말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59 3. 스마트폰 이용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61 Ⅴ. 결론 65 A. 연구요약 및 시사점 6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 록 81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1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YRBS)를 바탕으로-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Stress Perception,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with Smart Phone Use Behavior: Based on the 13th (2017)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KYRBS)-
dc.creator.othernameKim, Gi Rang-
dc.format.pageviii, 90 p.-
dc.contributor.examiner정제영-
dc.contributor.examiner고광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