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안계남-
dc.creator안계남-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02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0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31-
dc.description.abstract무용전공자들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입문동기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직업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무용전공자들의 무용입문동기의 동기유형을 탐색하고, 동기에 따라서 현재 무용전공자들의 심리적 자기효능감과 무용 관련 직업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있는 무용 졸업자들 중 무용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문동기를 묻는 개방형 질문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척도 문항, 직업만족도척도 문항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였다. 200명의 연구대상 중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총 197명의 응답자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분석, 주요 변인 간에 기술통계, 주요 변인 간의 비교분석, 주요 변인에 대한 독립 t검증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용전공자들의 입문동기는 내적인 무용입문동기를 가진 연구대상자 107명, 외적인 무용입문동기를 가진 연구대상자 90명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의 대상자 197명에게 동기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직업만족도에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 t검증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요인에서 하위 요인 자신감요인, 자기조절효능감요인, 과제난이도요인을 측정한 결과 무용입문 내적동기를 가진 연구 대상자들에게서 무용입문 외적동기를 가진 연구 대상자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내적입문동기와 외적입문동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업의 만족도 요인에서는 하위 요인 직업만족도와 직무자체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무용입문 내적동기를 가진 연구 대상자들에게서 무용입문 외적동기를 가진 연구 대상자들보다 직업만족도에서 역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내적입문동기와 외적입문동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간에 자기효능감과 직업만족도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며 무용전공자들의 심리적 연구들은 앞으로도 요구되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무용전공자들의 입문동기에 따라 위와 같은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무용전공자에게 필요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의 중요한 의의를 가 질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무용 전공분야의 대한 다양한 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촉구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It is no doubt that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dance major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troductory motivation to dance major for dance major students.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what the introductory motivation to dance major is, how they affect psychological self-efficacy of dance major students. an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dancers majoring in dance among the dance graduates in Korea.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using open-ended questions ask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responses of 197 respondents, except for two questionnaires lacking credibility of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among the variable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and independent t-test statistical processing on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 persons who were motivated by in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and 90 persons who were motivated by ex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troductory motivation. This study performe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at self-efficacy factor, self-regulated efficacy factor, and task difficulty factor in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category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ho has in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to dance major than the group who has ex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Furthermore, it indicates that satisfaction of job factor and satisfaction on duty factor in the sub-factor of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ho has in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to dance major than the group who has ex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that have internal and external introductory motivations to dance major. There have not been many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study on dance major.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study on above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motivations of dance major and to build fundamental research for dance major.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on psychological motiv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ance major and we expect to be able to activate and motivate various studies on psychological variab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변인 5 D.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동기의 개념 및 특성 7 B. 무용동기 8 C. 자기효능감 11 D. 직업만족도 20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대상 25 B. 조사도구 26 1. 연구도구 26 2.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8 C. 조사절차 31 D. 자료분석 31 Ⅳ. 연구 결과 32 A.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32 B. 직업만족도 분석 결과 34 V. 논의 36 Ⅵ. 결론 39 참고문헌 41 부록 설문지 46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59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 전공자들의 무용입문 동기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직업만족도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AhnKyeNam-
dc.format.pagevi, 53 p.-
dc.contributor.examiner이용현-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contributor.examiner박승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