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옥-
dc.contributor.author이나래-
dc.creator이나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00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0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2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25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수업 중에 방송댄스, 배드민턴, 그리고 음악 줄넘기 활동이 수업 만족도와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에 참여하는 여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for Window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목별, 학년별, 성별, 참여기간, 참여빈도별로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식,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년에 따른 수업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참여기간에 따른 만족도는 종목에 상관없이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2.50, p<.01**, 배드민턴: F=2.53, p<.01**, 음악 줄넘기: F=2.44, p<.01**). 참여빈도에 따른 만족도는 방송댄스 4회 3.18(±.62), 배드민턴 4회 3.72(±.46), 음악 줄넘기 5회 이상 3.62(±.49)로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2.33, p<.01**, 배드민턴: F=1.85, p<.01**, 음악 줄넘기: F=1.56, p<.01**). 둘째, 학년에 따른 신체적 건강은 종목에 상관없이 학년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1.99, p<.01**, 배드민턴: F=2.02, p<.01**, 음악 줄넘기: F=3.10, p<.01**).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적 건강 역시 종목에 상관없이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2.01, p<.01**, 배드민턴: F=1.99, p<.01**, 음악 줄넘기: F=2.80, p<.01**).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건강은 방송댄스 4회 3.89(±.43), 배드민턴 5회 이상 3.17(±.60), 음악 줄넘기 5회 이상 3.69(±.45)로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2.86, p<.01**, 배드민턴: F=2.12, p<.01, 음악 줄넘기: F=1.60, p<.01**). 셋째, 학년에 따른 사회적 건강은 방송댄스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높아졌고, 배드민턴과 음악 줄넘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참여기간에 따른 사회적 건강은 종목에 상관없이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3.52, p<.01**, 배드민턴: F=2.45, p<.01**, 음악 줄넘기: F=2.50, p<.01**). 참여빈도에 따른 사회적 건강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학년에 따른 정신적 건강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참여기간에 따른 정신적 건강은 종목에 상관없이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방송댄스: F=2.71, p<.01**, 배드민턴: F=1.76, p<.01**, 음악 줄넘기: F=3.54, p<.01**). 참여빈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종목은 방송댄스(p<.01), 배드민턴(p<.01), 음악 줄넘기(p<.05)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세 종목 중 음악 줄넘기가 =.23, 배드민턴이 =22, 방송댄스는 =.12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종목은 방송댄스(p<.05), 배드민턴(p<.01)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 줄넘기는 유의하지 않았다. 방송댄스는 =.154, 배드민턴은 =.296이며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종목은 배드민턴(p<.01), 음악 줄넘기(p<.05)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방송댄스는 유의하지 않았다. 배드민턴은 =.188, 음악 줄넘기는 =.352이며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덟째,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목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만족도가 긍정적이면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도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방송댄스, 배드민턴, 음악 줄넘기는 전체적으로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이 높았으나, 혼자 하는 종목인 방송댄스나 음악 줄넘기보다는 함께하는 게임형식의 경쟁 스포츠인 배드민턴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더 높았다. 그러므로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해 방송댄스나 음악 줄넘기 같은 종목도 상호교환적인 프로그램으로 재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종목별로는 참여기간이 5년 이상으로 길어질 때, 참여빈도는 4회 이상일 때 만족도와 건강도가 높았다. 이처럼 방과 후 수업의 참여기간에 따라 변화되는 만족도와 건강도로 보아 수업 기간을 오래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broadcasting dance, badminton, and music rope skipping activity on class satisfaction,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during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of 315 girl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of elementary school, and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As for the data analysis,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item, grade, gender,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by using SPSS for Window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 The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period gets longer (Broadcasting dance: F=2.50, p<.01**, badminton: F=2.53, p<.01**, music rope skipping: F=2.44, p<.01 **), regardless of item. The satisfaction with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4 times of broadcasting dance 3.18 (±.62), 4 times of badminton 3.72 (±.46), over 5 times of music rope skipping 3.62 (±.49) (broadcasting dance: F=2.33, p<.01**, badminton: F=1.85, p<.01**, music rope skipping: F=1.56, p<.01**). p<.01 **). Second, the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the grad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grade was higher regardless of the items (broadcasting dance: F=1.99, p<.01**, badminton: F=2.02, p<.01**, music rope skipping: F=3.10, p<.01**). The physical health upon participation period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participation period gets longer, regardless of items (Broadcasting dance: F=2.01, p<.01**, badminton: F=1.99, p<.01**, music rope skipping: F=2.80, p<.01**). The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4 times of broadcasting dance 3.89 (±.43), over 5 times of badminton 3.17 (±.60), over 5 times of music rope skipping 3.69(±.45) (Broadcasting dance: F=2.86, p<.01**, badminton: F=2.12, p<.01, music rope skipping: F=1.60, p<.01**). Third, the social health according to grade increased as the grade gets higher only in broadcasting da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dminton and music rope skipping. The social health upon particip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participation period gets longer, regardless of items (Broadcasting dance: F=3.52, p<.01**, badminton: F=2.45, p<.01**, music rope skipping: F=2.50,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health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ccording to grade. (F=2.71, p<.01**, badminton: F=1.76, p<.01 **), music rope skipping: F=3.54,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Fifth, items affecting physical heal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oadcasting dance (p<.01), badminton (p<.01) and music rope skipping (p<.05). It was found that it gives positive (+) impact in the order of music rope skipping of =.23, badminton of =22, and broadcasting dance of =.12, in three categories. Sixth, the items affecting social health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roadcast dance (p<.05) and badminton (p<.01), and music rope skipping was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broadcasting dance is =.154, badminton is =.296, and both give positive (+) impact. Seventh, badminton (p<.01) and music rope skipping (p<.05)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broadcasting dance was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badminton is =.188, music rope skipping is =.352, and both give positive (+) impact. Eigh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lass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ocial health, and mental health, all the item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class satisfaction of was positive, the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were also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roadcasting dance, badminton, and music rope skipping were high in class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ocial health, and mental health, but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badminton, which is a competitive sports in game type doing together, was higher than broadcasting dance or rope skipping, which is doing alon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social and mental heal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tems such as broadcasting dance and rope skipping into mutually-exchanging programs. For each item, when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longer than 5 year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higher when it was over 4 times. Like this,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for a long time, viewing the changing satisfaction and health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in class of after-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가설 4 D. 연구의 제한점 5 E.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방과 후 학교 수업과 종목 8 B. 방송댄스 11 C. 배드민턴 12 D. 음악 줄넘기 14 E. 수업 만족도 16 F. 신체적 건강 17 G. 사회적 건강 18 H. 정신적 건강 19 Ⅲ.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검사도구 22 C. 자료 분석방법 25 Ⅳ. 연구결과 26 A.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26 B. 조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27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방송댄스의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차이 28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배드민턴의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차이 35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음악 줄넘기의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차이 42 F. 종목별 차검정 결과 49 G. 측정요인 간 상관분석 50 H. 방과 후 학교 수업참여가 학생들의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52 Ⅴ. 논의 56 Ⅵ.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0 부록 67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76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방과 후 수업종목에 따른 초등학교 여학생의 수업 만족도,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girls according to class item of after-school-
dc.format.pageviii, 75 p.-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contributor.examiner김옥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